상단영역

본문영역

대통령 경호에 검증되지 않은 예산 8억원 '로봇개' 투입? : 이를 두고 전문가들은 날카로운 지적을 펼쳤다

경호·로봇 전문가들은 검증되지 않은 로봇개를 대통령 경호에 투입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윤석열 대통령/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뉴스1
윤석열 대통령/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뉴스1

윤석열 대통령에게 고액 대선 후원금을 내고 대통령 취임식에 김건희 여사의 명의로 초청된 인물이 실소유한 ㄷ업체가 대통령경호처와 로봇개 임차 운영 계약을 맺은 것으로 드러나면서, 대통령실의 로봇개 도입 배경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안정성이 중요한 대통령 경호에 상용화가 되지 않은 로봇개 도입은 시기상조라고 말한다. 외국에서도 로봇개가 대통령 경호를 맡는 사례가 거의 없고, 기술적으로도 완성되지 않은 단계라는 지적이다.

대통령실 경호에 로봇개를 도입한 것은 윤석열 정부가 처음이다. 지난 3월 서울 용산으로 대통령 집무실 이전이 결정된 뒤 무인 인공지능(AI) 경호가 강조되면서 로봇개 도입이 현실화됐다. 문재인 정부에서 일한 대통령실 관계자는 <한겨레>에 “(로봇개 도입은 대통령실 용산) 이전 티에프에서 추진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올해는 예산이 책정되지 않아 임차했지만 내년에는 로봇개 구입 비용 8억원을 경호처 예산안에 반영했다.

로봇개가 대통령실을 경호한다는 사실은 6월 용산공원을 시범 개방했을 때 로봇개 모습이 보도되면서 알려졌다. 경호·로봇 전문가들은 지능형 폐회로텔레비전(CCTV)이나 드론 등 이미 상용화된 무인 경호 체계가 많은데 검증되지 않은 로봇개를 대통령 경호에 투입하는 것에 의문을 제기한다.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뉴스1
기사와 무관한 자료 사진 ⓒ뉴스1

김기원 대경대 교수(군사학)는 “최고 수준의 경호를 받아야 하는 대통령실에서 활용된 선례가 별로 없는 로봇개를 당장 투입하는 것이 옳은지 의문”이라며 “민간이나 군이 먼저 운용하고 검증한 뒤에 도입해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이어 “군에서는 새로운 무기체계를 도입할 때 시험 평가와 검증에 5~10년의 시간을 갖는다”고 덧붙였다.

다만 김 교수는 로봇개 자체에 대해서는 “대테러 등 여러 분야에서 도입을 해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더불어 “인간이 계속 집중력을 발휘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로봇개를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다. 현재 기술은 낮은 수준이지만 4차 산업 시대의 인프라를 준비한다는 차원에서 여러 영역에 로봇개를 활용해 볼 필요는 있다”고 말했다.

류태웅 동신대 교수(군사학)는 “로봇개가 사람이 볼 수 없는 사각지대를 확인하는 등의 실용성이 있는 게 사실”이라면서도 “대통령 경호까지는 아직 시기상조”라고 말했다. 그는 또 “외국에서도 대통령 경호에 로봇개가 투입된다는 말은 들어보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로봇개 기술 자체가 대통령실 경호를 할 수준이 아니라는 지적도 많다. 이름을 밝히기를 꺼린 한 대학의 로봇공학과 교수는 “(대통령실 경호를 맡은) ㄱ사 로봇의 경우 동작 제어가 불안정해 넘어지는 단점이 있다. 다른 로봇개 역시 아직 경호에 쓸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어 “로봇 분야를 홍보하는 목적일 수 있는데, 그렇다면 왜 외국 회사의 로봇을 사용하는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한 로봇업체 연구원은 “ㄱ사 로봇은 달릴 때 영상이 많이 흔들리는 등 현재 기술로는 요인을 경호하기 힘들다”며 “외국 회사의 로봇개를 쓰면 국외로 보안 정보가 유출되는 문제가 생길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한겨레 김가윤 기자: gayoon@hani.co.kr, 김지은 기자: quicksilver@hani.co.kr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