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3만 원권 나왔으면..." 세뱃돈 고민하는 이적의 제안에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연휴 지나면 국회 결의안을 발의하겠다"고 답했다

"만 원짜리 세 장이면 되지 않냐고? 글쎄..."

뮤지션 이적(좌),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우)  ⓒ뉴스1
뮤지션 이적(좌),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우)  ⓒ뉴스1

세뱃돈 액수를 정할 때, 1만 원과 5만 원 사이에서 고민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에 가수 이적이 3만 원권 지폐가 나오면 좋겠다고 말해 많은 이들의 공감을 샀다.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도 적극 동의하며 "연휴 지나면 바로 3만 원권 발행 촉구 국회 결의안을 발의하겠다"고 밝혔다.

하 의원은 22일 페이스북을 통해 세뱃돈 문제를 거론하며, "1만 원은 좀 적고, 5만 원은 부담되는 국민들이 대다수일 것"이라며 "3만 원권 필요성은 국민 모두에 해당하고 공감받는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미국 달러도 10, 20, 50 단위가 있고 유럽의 유로도 그렇다"며 "한국은 축의금 부조 단위가 1,3, 5로 커지기 때문에 2만 원권 보다는 3만 원권이 적합할 것 같다"고 주장했다. 

앞서, 이적은 지난 2일 인스타그램에 "요즘 드는 생각인데 3만 원권 지폐가 나오면 좋을 듯싶다"는 글을 올렸다. 이적은 "만 원권에서 오만 원권은 점프의 폭이 너무 크다"며 "1, 3, 5, 10으로 올라가는 한국인 특유의 감각을 생각해보면, 3만 원권 지폐는 필시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만 원짜리 세 장이면 되지 않냐고?"라는 물음에는 "글쎄, 또 다른 느낌이 아닐지. 오랜만에 만난 조카에게 만 원을 주긴 뭣하고, 몇 장을 세어서 주는 것도 좀스러워 보일까 봐 호기롭게 오만 원권을 쥐여주고는 뒤돌아 후회로 몸부림쳤던 수많은 이들이, 3만 원권의 등장을 열렬히 환영하지 않을지"라고 글을 남겼다. 해당 글은 현재 1만 8,000개가 넘는 '좋아요' 수를 기록하며 누리꾼들에게 공감받고 있다. 

1만원 권과 5만원 권 자료사진 ⓒ뉴스1
1만원 권과 5만원 권 자료사진 ⓒ뉴스1

지난달 구직사이트 인크루트가 82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명절 비용 지출에 대해 47%의 응답자가 부담된다고 답했다. 지난 16일 취업포털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1,035명을 대상으로 '설날 경비'에 대해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설 연휴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비는 평균 54만 원, 이 중 세뱃돈 예산은 16만 4,000원에 달했다.

한편, 새로운 액면 권 도입은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ATM이나 전산 교체 비용과 같은 사회적 비용이 드는 문제를 고려해야 하기 때문. 또한, 신용카드나 계좌이체 등 비현금지급수단 이용이 늘고, 현금 사용은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지폐 발행이 비효율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제기된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6월 15일 발표한 '2021년 경제주체별 현금사용행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최근 1년간 가구당 월평균 현금지출액은 51만 원으로, 지난 2018년(64만 원)에 비해 13만 원 감소했다. 전체 지출액 가운데 현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신용·체크카드(58.3%)의 절반 수준에 가까운 21.6%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새 화폐를 만드는 데에는 연간 약 1,100억 원(2017~2021년 평균)의 비용이 든다고. 이러한 새 화폐 제조 비용은 궁극적으로 국민경제의 부담으로 연결된다. 2021년 중 훼손과 오염으로 폐기한 화폐는 403백만 장. 그 금액만 2조 423억 원에 달한다. 폐기된 화폐를 낱장으로 쌓을 경우 그 높이가 134km로, 롯데월드타워 높이의 241배, 세계 최고봉인 에베레스트산의 15배 수준에 이른다. 

양아라 기자 ara.yang@huffpost.kr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