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르재단의 원래 이름은 '한류문화재단'이었다

ⓒ연합뉴스

박근혜 대통령과의 교감 속에 '비선 실세' 최순실(60·구속기소)씨가 설립부터 모금까지 깊숙이 개입한 것으로 드러난 미르재단이 설립준비 단계에서는 다른 이름으로 불린 것으로 확인됐다. 단순히 명칭 변경에 그친 게 아니라 재단 성격과 운영진 구성 등에도 여러 요소가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어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8일 법조계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의 비위 의혹과 최씨의 국정농단 사건을 수사 중인 박영수 특별검사팀은 기존 검찰 수사에서 확보된 '한류문화재단(가칭) 설립준비'라는 제목의 문건을 넘겨받아 내용을 검토 중이다.

이는 10월 26일 서울 강남구의 최씨 집 압수수색에서 검찰이 확보한 것으로, 당시 발견된 외장 하드 속에 들어있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문건은 지난해 10월 작성됐다. 작성 시기로 미뤄볼 때 추진 단계에서 미르재단의 이름은 '한류문화재단'임을 추정케 한다.

최씨와 안종범 전 청와대 정책조정수석, 정호성 전 부속비서관의 공소장에 나타난 미르재단의 추진배경에도 부합하는 이름이다.

이들의 공소장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해 여름께부터 4대 국정 기조의 하나로 정한 '문화융성'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류 확산 등 문화 사업을 목적으로 하는 재단 설립을 추진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 소속 회원 기업체의 출연금으로 재산을 충당하기로 하고, 안 전 수석에게 지시해 대기업 회장과의 면담을 추진했다.

그러면서 최씨에게는 '전경련 산하 기업체들로부터 금원을 갹출해 문화재단을 만들려고 하는데 재단의 운영을 살펴봐 달라'고 요청했다.

재단 이사장, 이사 등 임원진을 자기 뜻대로 구성하고 운영을 장악하기로 한 최씨는 지난해 9월 말부터 10월까지 직원을 뽑고 재단의 이름을 '미르'라고 정했다.

'미르'는 박 대통령에게도 전해졌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21일 안종범 전 수석에게 '재단 명칭은 용의 순수어로 신비롭고 영향력이 있다는 뜻을 가진 미르라고 하라. 사무실은 강남으로 알아보라'는 취지의 지시를 한 것으로 공소장에 기재됐다.

재단의 최초 명칭에는 설립 취지를 비교적 직관적으로 반영한 중립적인 용어가 사용됐으나 어느 시점인가부터 영적인 의미를 내포한 단어로 바뀐 것이다.

이 준비 문건을 비롯해 재단 관련 각종 자료를 확보한 특검팀은 미르재단과 스포츠 사업을 위해 비슷한 방식으로 설립된 K스포츠재단의 운영이나 모금에 대해 '원점'부터 다시 들여다보겠다는 입장이다.

박영수 특검은 임명 직후 "재단 기금 (모금의) 본질을 직권남용 등으로 보는 것은 구멍이 많은 것 같다. 다른 쪽으로 우회하는 것보다는 때론 직접 (본질로 치고) 들어가는 게 좋을 수 있다"며 제3자 뇌물수수 혐의 수사 가능성을 열어두는 발언을 했다.

이후 '특수통' 검사들이 줄줄이 특검팀에 합류한 가운데 검찰 내 최고의 '특수통'으로 꼽히는 윤석열(56·연수원 23기) 검사와 '대기업 저승사자'로 불리는 한동훈(43·27기) 검사 등이 관련 수사에 주력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정치 #최순실 #미르재단 #박근혜 #한류문화재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