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단 하루도 일하지 않은 날이 없다” 드라마 '작은 아씨들' 정서경 작가는 지난 20년간 하루도 쉬지 않고 글을 써왔다(인터뷰)

“일어나면 ‘오늘은 뭐 쓰지' 생각해요.”

정서경 작가. ⓒtvN 제공
정서경 작가. ⓒtvN 제공

지난 17일 서울 홍대의 한 카페에서 만난 <작은 아씨들> 정서경(47) 작가는 사방이 통창인 빛이 가득한 공간에 앉아 있었다. 문득 드라마 속 주인공인 세 자매의 첫째 오인주(김고은)가 생각났다. 인주는 막내 오인혜(박지후)가 보낸 300억원으로 거실 통창으로 한강이 보이던 그 아파트에 입주했을까? 아님 더 좋은 곳으로 갔을까? 정 작가가 말했다. “글쎄요. 인주에게 300억원을 남겨준 건 이젠 이 돈이 어떤 돈인지 잊지 않고, 돈의 무게를 아는 사람으로서 책임감을 가졌으면 하는 마음에서였어요.” 그리고 정 작가의 친구가 그랬단다. “시청자도 12부 내내 주인공이 고생하는 걸 지켜보면서 함께 견뎌줬는데 마지막에 다 뺏기면…, 너무 한 거 아니니!’” <작은 아씨들>은 “20억이 생겼다가 뺏기고 다시 700억이 생겼다가 뺏기는 이야기 어떨까?” 라는 생각에서 시작됐다.

드라마 '작은 아씨들' 포스터 ⓒtvN 제공
드라마 '작은 아씨들' 포스터 ⓒtvN 제공

그가 인주한테 오늘의 희망을 선물했듯, <작은 아씨들>은 그에게 ‘인기 드라마 작가’라는 타이틀을 붙여줬다. 그의 이름 앞에는 이미 여러 개의 타이틀이 붙어 있다. 2015년 영화 <친절한 금자씨>부터 최근 <헤어질 결심>까지 박찬욱 감독 작품은 그가 함께 시나리오를 썼다. 영화계에서는 이미 유명 작가인데, <작은 아씨들>로 드라마팬들의 사랑도 채웠다. “드라마 문법은 여전히 모르겠어요. 일단 무작정 쓰기 시작했어요. 12편을 하나의 영화를 구성하는 느낌으로 썼어요. 3회가 특히 어렵더라고요. 앞으로 계속 나아가는 동력을 찾는 게 힘들었어요.”

아쉬운 것만 늘어놓지만, <작은 아씨들>은 드라마에서 여성 서사를 확장시켰다. 정 작가는 <친절한 금자씨> <박쥐> <아가씨> 등에서 줄곧 강한 여성을 내세워 왔다. 드라마 데뷔작인 2018년 <마더>(티브이엔)도 가정 폭력에 내몰린 아이를 구하는 한 여성의 이야기다. <작은 아씨들>은 거기서 서너발은 더 내디뎠다. 선한 사람과 대립하는 빌런도 여성이지만, 선한 사람을 구하러 오는 또 다른 선한 사람도 여성인 구도는 드물다. “처음부터 ‘주인공은 세 자매로 하고 싶다. 세 자매에 맞서는 최종 빌런도 여자였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하고 (집필을) 시작했어요.” 오인주와 진화영(추자현)의 관계, 진화영과 원상아(엄지원)의 관계, 원상아와 오인주의 미묘한 관계도 드라마에서는 흔치 않다.

특히 주인공으로서 오인주 캐릭터가 신선하다. 용맹함과 그 반대의 성격을 다 갖고 있다. 드라마에서는 둘 다 효과적으로 드러낸다. 영화 <아가씨>의 숙희가 떠오르기도 한다. 정덕현 대중문화평론가는 “맏언니 역할을 맡은 김고은의 허영심과 정의감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연기가 인상적”이라며 “<작은 아씨들>은 이런 여성 캐릭터를 잘 활용한 여성 서사를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장르적 재미까지 더한 작품”이라고 말했다.

드라마 '작은 아씨들' ⓒtvN 제공
드라마 '작은 아씨들' ⓒtvN 제공

정서경 작가는 이 드라마를 3년 전에 시작했다. 그 사이 영화 <헤어질 결심> 시나리오를 쓰고 다시 작업을 이어 갔다. 정 작가는 시놉시스 없이 드라마 대본을 쓰고 집필 방식도 조금 다르다고 한다. 캐릭터에 대한 자세한 설명이 없으니 배우들은 이 장면에선 어떤 감정으로 연기해야 하나 헷갈리기도 했다는데, 오히려 틀에 박히지 않은 표현이 <작은 아씨들>에 이르러 그만의 스타일을 만들어낸 것 같다. 평소 그의 작품에 관심을 안 가진다는 박찬욱 감독도 <작은 아씨들>에 대해서는 진심으로 좋아해줬다고 한다. “이런 저런 코멘트를 해주셔서 매번 묵살하느라 힘들었어요.(웃음)”

그는 작품마다 동화를 모티브 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더>는 <헨젤과 그레텔>, <헤어질 결심>은 <인어공주>다. <작은 아씨들>은 여러 동화의 원형이 들어 있는데, 주로 〈분홍신〉 〈푸른 수염〉이라고 했다. 실제로 <작은 아씨들>을 보면 동화 느낌이 드는 장면이 있다. 원상아와 진화영 그리고 오인주가 푸른 난초 나무가 있는 지하실에서 대치하는 12회 마지막 장면은 신이 바뀔 때마다 동화책을 한장씩 넘기는 느낌이다. 정 작가는 날 것 그대로를 표현하는 것과 과한 판타지도 좋아하지 않는다. 그가 편안하게 느끼는 적절한 지점이 있는데, 그 현실과 환상 사이가 <작은 아씨들>의 빼어난 미술과 만나 동화처럼 그려졌다. 정 작가는 “마지막 장면은 처음부터 난실과 함께 지하실을 불태우고 싶었다. 세트장이어서 불가능하다고 해서 대안이 없었는데, 미술 감독님이 염산 아이디어를 냈다”고 말했다.

정서경 작가. ⓒtvN 제공
정서경 작가. ⓒtvN 제공

정서경 작가는 대사를 문어체로 써서 어렵다는 말을 자주 듣는다. 그 ‘덕’에 그의 작품에선 늘 명대사가 쏟아졌다. “나를 망치러 온 나의 구원자”(〈아가씨〉), “희망을 버려, 그리고 힘내”(〈싸이보그지만 괜찮아〉) 등이다. <작은 아씨들>에서도 “대사마다 의미를 담아쓰려고 했다”고 한다. 그 중 어떤 말은 의도와 다르게 전달되기도 했다. “가난하게 컸어? 하도 잘 참아서”같은 대사다. 그는 “극 중 인물이 돈에 대해 수치심이 없는 것처럼 보여주려고 돌려 말하지 않고 직설적으로 이야기했다. 그런데 이 말이 상처가 되었다는 댓글을 보고 가슴이 아팠다. 다음 작품을 쓸 때는 반복하지 않도록 조심하겠다”고 말했다. 베트남 전쟁을 왜곡했다는 논란에 대해서도 그는 “글로벌한 시장에서 드라마를 집필하며 더 세심하게 살피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의 이야기꾼 인생은 2002년 연출도 했던 단편 <전기공들>을 시작으로 첫 공동작업인 <친절한 금자씨>로 이어졌다. 시나리오를 쓰면서 살아온 세월이 벌써 20년이 됐다. “느낌상 단 하루도 일하지 않은 날이 없다”며 “직업 정신으로 하루하루를 산다”고 했다. “일어나면 ‘오늘은 뭐 쓰지' 생각해요. 일하지 않으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알 수가 없으니까.” 그래서 이번 주까지만 <작은 아씨들>을 이야기하고 다음 주부터는 또 쓸 거란다. 그는 대본을 쓴다는 말을 이렇게 표현했다. “즐길 거예요”

한겨레 남지은 기자 myviollet@hani.co.kr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허프 다른 기사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작은 아씨들 #드라마 #tvN #마더 #정서경 작가 #아가씨 #싸이보그지만 괜찮아 #헤어질 결심 #친절한 금자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