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문재인의 정치'는 처절함도 절박함도 없다

ⓒ연합뉴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의 최측근으로 분류되는 한 의원은 30일 “이겼으면 더 어려워질 수 있다. 총선을 앞두고 예방주사를 맞은 거다”라고 말했다. 전략 부서의 핵심 당직자도 “이번 재보선 참패가 당에 보약이 될 것”이라고 했다. ‘4 대 0’으로 참패한 정당의 처절한 문제의식이나 절박한 위기의식은 찾기 어렵다. 오히려 일단 상황을 모면하고 보자는 얄팍함, 고비만 넘기면 어떻게든 잘될 것이란 안일함이 엿보인다.

새정치연합이 4·29 재보궐선거에 죽기살기로 치열하게 달려들었는지 의문을 자아내는 대목도 많다. 문재인 대표는 지난 2월 전당대회에서 ‘이기는 정당, 이기는 혁신’을 내걸고 당선됐다. 그랬으면 재보선 승리에 모든 걸 집중했어야 한다. 그런데 문 대표는 경선이란 ‘원칙 아닌 원칙’에 지나치게 집착하며 사실상 후보 선정을 방치하다시피 했다.

익명을 요청한 한 정치평론가는 “‘유능한 경제정당’이란 구호를 내세웠으면 후보 4명 가운데 적어도 한 명은 거기에 걸맞은 후보를 공천해야 했다. 구호와 후보가 따로 놀았다. 이건 선거 전략의 기본을 무시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정치를 하려면 때론 욕을 먹고 손엔 피를 묻히고 발은 진흙탕에 담가야 한다. 당내 전략통으로 꼽히는 한 인사는 “정치의 본령이 조율과 조정인데 문 대표는 공정한 관리자에 그치려 했다. 이건 원칙이란 이름으로 포장한 무책임에 가깝다”며 “결국 문 대표의 치열함과 절박함이 부족했다고 볼 수밖에 없다. 문 대표가 법조인 티를 벗고 정치인으로 진화하지 않으면 미래가 어둡다”고 말했다.

문 대표는 이번 선거에서 답이 정해져 있는 수학 공식을 풀듯 고답적, 도식적 대처로 일관했다. 상상력의 빈곤을 드러낸 것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초장부터 야권연대 논의를 원천봉쇄한 점이다. 문 대표는 ‘야권연대 절대불가’를 거듭 재확인했다. 결과는 성남 중원에서 통합진보당 출신 김미희 후보의 완주로 나타났다. 새정치연합은 통합진보당 해산과 의원직 박탈의 부당성을 인정하면서도 ‘무차별적 통합진보당 때리기’에 가세했다. 원칙도 지키지 못했고 실리도 얻어내지 못한 것이다.

광주의 흉흉한 민심은 이미 심각한 경고음을 울리고 있었지만 지도부는 수수방관했다. 전당대회 직후 문재인 대표 쪽엔 천정배 의원을 사무총장 등 핵심 당직으로 앉혀 호남 민심을 추슬러야 한다는 의견이 전달됐지만 일축된 것으로 알려졌다. 지도부는 천 의원이 탈당한 뒤에야 ‘배신자 낙인’을 찍기에 급급했다.

과감한 실험과 발칙한 상상력은 새누리당에 뒤지고 있다.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는 대선 경쟁자인 김문수 전 경기지사를 당 혁신위원장으로 위촉했다. 새정치연합은 박우섭 인천 남구청장이 최고위원에 도전했지만 기회를 주지 않았다. 현직 기초단체장의 최고위원 진출이란 전례 없는 실험도 좌절됐다. 야당의 가장 큰 무기인 변화와 혁신의 주도권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상상력 부족은 감동 없는 정치와 지지층의 무관심으로 이어진다.

새정치연합은 선거 기간 내내 여러 차원에서 방향감 상실 징후도 드러냈다. 현안엔 오락가락했고 미래를 외면한 채 과거에 집착했다. 선거 최대 쟁점이던 ‘성완종 리스트’ 파문을 두고, 지도부는 ‘특검 불가’를 외치다 어느 날 갑자기 특검으로 돌아섰다. 특별사면을 둘러싼 여권의 공세엔 속시원한 해명을 못한 채 질질 끌려다니며 무능하게 대처했다. 결과적으로 새정치연합은 ‘부패 스캔들’이 ‘특사 공방’으로 변질하는 데 일조하고 말았다. ‘유능한 경제정당’을 앞세우더니, 슬그머니 심판론으로 갈아탄 것도 전략 부재를 여실히 보여준다.

문 대표는 전당대회에서 불과 3.52%포인트 격차로 당선됐다. 당내 지지의 토대가 허약하다는 점을 직시하고 내부를 추스르고 기초 체력을 다지는 데 힘을 쏟아야 했다. 문 대표는 이승만·박정희 전 대통령 묘소 참배, ‘천안함 폭침’ 인정 등 외부 세력 확장에 더 공을 들였다. 기초가 부실한데 층수 올리기에 급급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서울 관악을과 성남 중원, 광주 서을의 패배는 모두 당 내부 갈등, 야권의 분열과 무관하지 않다.

선거운동 초반 문 대표와 권노갑 상임고문의 회동 여부가 야권 최대의 이슈가 됐다. 문 대표는 ‘과거세력’이란 이미지가 강한 동교동계에 읍소하는 것으로 비쳤다. 광주의 천정배 후보는 이를 ‘미래세력과 퇴행세력의 대결’로 규정하며 대세를 장악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