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산모 4명중 3명이 평균 220만원을 내고 산후조리원을 이용한다

만족도 1위는 '친가'가 산후조리원에 앞섰다

ⓒ뉴스1

한국의 산모 네명 가운데 세명은 아이를 낳은 뒤 약 2주 간 평균 220만여원의 비용을 들여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산모가 만족스러운 산후조리를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꼽는 정부정책도 ‘산후조리원 경비지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보건복지부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18 산후조리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조사는 2017년에 출산한 산모 2911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먼저 출산 직후 6주(산욕기)의 산후조리 장소를 살피면, 산후조리원(75.1%)을 이용했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본인집(70.2%)과 친가(19.8%), 시가(2.4%) 순으로 나타났다.(중복응답 가능)

산모가 선호하는 산후조리 장소도 산후조리원(75.9%)이라는 응답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본인집(17.7%), 친가(6.0%)에서 산후조리를 하고 싶다는 답변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다만 만족도 1위는 산후조리원(4.0점)도 본인집(3.8점)도 아닌, 친가(4.3점)였다. 물론 시가(3.7점)가 좋았다는 답변은 가장 적었다.

실제 산후조리원 이용률은 75.1%이다. 이용 기간은 평균 13.2일, 비용은 평균 220만7000원으로 집계됐다. 이렇듯 많은 산모가 산후조리원을 이용하는 이유는 ‘육아에 시달리지 않고 편하게 산후조리를 할 수 있어서’(36.5%)였다. ‘육아전문가에게 육아방법에 도움을 받기 위해서’(18.7%) 산후조리원을 찾는다는 응답도 많았다.

산후조리원 이용 기간을 포함한 전체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4.6주(32.2일)였으나, 산모가 이상적이라고 여기는 산후조리 기간은 평균 8.3주(58.1일)이다. 많은 산모가 비용 등 문제로 자신이 필요로 하는 만큼 산후조리를 못 한다는 뜻이다.

산모가 바라는 정부정책으로는 산후조리원 경비지원(51.1%)이 1순위였다.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27.2%)와 배우자 육아휴직(또는 출산휴가)제도 활성화(23.4%),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사업 확대(15.4%) 등에 요구도 뒤를 이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보건복지부 #시가 #산후조리원 #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