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외부세력' 없는(?) 성주와 이대

비록 3자 개입법은 없어졌어도, 이번 성주나 이대에서처럼 보수언론이나 정부의 '외부세력'론과 그에 맞선 저항세력의 '순수성'론은 이 사회에 그대로 살아 있으며, 저항세력은 군사정권 내내, 그리고 지금까지도 "나는 '순수'하니 내 문제에 정치권과 운동권이 개입하지 말라"고 방어막을 쳐야만 했다. 그런데 저항세력이 방어를 위해 내세운 '순수성'론은 당장의 탄압을 피하는 '자원'이 될 수 있지만, 결국은 발목을 옥죈 쇠줄을 녹여 철사로 온몸을 감는 일이기도 하다.

  • 김동춘
  • 입력 2016.08.10 06:50
  • 수정 2017.08.11 14:12
ⓒ연합뉴스

1960년 3·15 부정선거에 항의하는 마산 학생데모가 일어나자 이승만 정부는 "공산폭동과 흡사", "오열(좌익) 조종혐의 농후하다"라고 겁주면서 데모를 주저앉히려 했다. 그러나 데모는 서울과 전국으로 걷잡을 수 없이 번졌는데, 그러면서도 학생들은 "우리는 공산 오열의 침투를 경계한다", "학생들의 순수한 피, 민주당은 오용 말라"고 방어막을 쳤다. 이번 성주 사람들도 사드 반대 서울역 시위에서도 "외부세력 개입" 운운한 보수언론과 정부의 공격을 피하려고 '명찰'을 돌려 '외부세력'이 들어오지 못하게 했고, 이화여대생들도 평생교육 단과대학 설립 반대 농성에서 '운동권'과 '외부세력'의 개입을 차단했다.

그런데 한국에서는 오랫동안 외부세력의 개입을 법으로 금지한 예가 있었다. 바로 노조활동에서의 '3자 개입 금지' 규정이 그것이다. 세계 어느 나라에도 없는 이 악법이 80년에서 97년까지 노조 탄압에서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될 수 있었던 논거도 노동 현장의 분쟁은 노사 간의 '순수' 이익다툼이므로 제3자 운동권이 '순진한' 노동자들을 선동해서 정치화시켜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 그럴듯해 보이지만 이것은 노동자들의 요구가 오직 '직접 근로관계'에서 발생한 이익 문제이며 노동자들을 오직 임금과 근로조건에만 관심을 가진 존재라고 보는 것이고, 사용자가 일상적으로 동원하는 정부, 법, 언론, 정치세력 등 모든 외부 지원은 '제3자'가 아닌 것으로 보는 점에서 사실상 노동자 노예화법이었다.

비록 3자 개입법은 없어졌어도, 이번 성주나 이대에서처럼 보수언론이나 정부의 '외부세력'론과 그에 맞선 저항세력의 '순수성'론은 이 사회에 그대로 살아 있으며, 저항세력은 군사정권 내내, 그리고 지금까지도 "나는 '순수'하니 내 문제에 정치권과 운동권이 개입하지 말라"고 방어막을 쳐야만 했다. 그런데 저항세력이 방어를 위해 내세운 '순수성'론은 당장의 탄압을 피하는 '자원'이 될 수 있지만, 결국은 발목을 옥죈 쇠줄을 녹여 철사로 온몸을 감는 일이기도 하다. '운동권'의 이념과 정치를 배격한 대기업 노조는 '순수한' '임금인상' 투쟁에 매진하다가 자기 이익만 챙기는 '귀족노조'가 되어 사회적으로 고립되었으며, 중소기업 노조는 용역폭력과 경찰, 검찰, 언론, 사법부에 알몸으로 맞서는 신세가 되어 어제의 유성기업이나 오늘의 갑을오토텍처럼 처절하고 외로운 저항을 하다 하나하나씩 사라져 갔다.

일제가 조선을 점령했을 때, 채찍 다음으로 비중을 둔 일은 교육을 통해 조선인의 정신을 노예화하는 것이었고, 그 핵심이 바로 "민도(民度)에 맞게" 교육을 한다는 것, 즉 오로지 '실용'에만 충실한 인간을 기르되 '정치'에는 일체 관심을 갖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었다. 요즘 유행하는 '개돼지'론의 원조는 일제인 셈인데, 식민지 백성들이게는 먹을거리만 주되 공민으로서는 행동하지 못하도록 하자는 논리다. 성주와 이대를 향해 날리는 '외부세력'론, "성주 참외 사주기"론은 모두 일제와 독재정권의 백성 노예화 작업의 반복이다. 즉 "정치는 우리가 하는 것이니 너희들의 당장의 먹을거리만 챙겨라"라는 말이다.

그런데 이제 성주 사람들은 이 '외부세력'론의 허구를 깨달았다. 그들은 이제 "성주뿐 아니라 한반도 사드배치 반대"를 외친다. 그들은 사드가 성주 내의 외진 곳이나 김천으로 가면, 자신들은 전자파를 피할 수 있을지 모르지만, 그것은 결국 다른 지역 주민의 희생을 담보로 자신만 살게 되는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자신들도 살 수 없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 그에 반해 이대생의 농성은 아직 이대 안에 머물러 있다. 과거에 학생들은 이념을 먹고 살았고, 민중들은 '밥'의 문제에 머물러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 반대의 양상이 나타났다.

물론 이대생들의 '운동권 배격' 행동을 비판할 자격이 내게는 없다. 우리 세대 사람들은 이념과 정치만 앞세우면서 민중들의 '밥'을 깊이 고민하지 못한 채 무책임하게 사라졌다가 자신만의 '큰 밥상'을 챙기려고 이념을 버리고서 다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성주 사람들의 지혜에 큰 박수를 보내면서도 이대의 '느린 민주주의'를 지켜볼 작정이다. 그들의 발랄한 행동에 박수를 보내면서 그들이 동문과 한 몸이 되기보다는 같은 처지에 있는 다른 대학생들과 손을 잡는 날을 기다리기로 했다.

* 이 글은 <한겨레>에 게재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대 #성주 #김동춘 #외부세력 #사회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