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겨레가 자회사 허프포스트코리아(이하 허프) 매각 안건을 의결했다.
한겨레는 7일 임시 이사회를 열어 허프 지분 100%를 온라인 경제매체 B사로 매각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9명의 이사 가운데 8명이 찬성하고, 1명은 반대한 것으로 전해졌다.
허프 전 직원들이 소속된 언론노조 허프포스트지부는 '쉽고 재밌는 뉴스'와 '사회적 약자의 권익 수호'를 표방하는 허프가 경제매체 B사에 매각되면 그동안의 정체성이 송두리째 흔들릴 것이라며 5개월째 투쟁을 이어왔다.
한겨레는 지난 8월 허프지부와 단 한 차례의 비공식 대화 없이 허프 지분 100%를 온라인 경제매체 B사로 강제 매각하려다 임시 이사회에서 제동이 걸리기도.
한겨레 최우성 사장 측은 단순히 대주주만 바뀌는 지분 매각이라 주장했으나 희망퇴직 권유 등 사업양도의 정황이 곳곳에서 드러나면서 허프와 한겨레 구성원들의 거센 반발에 직면했던 바.

최우성 사장 측은 B사 대신 허프 지분을 사들이겠다는 허프지부와 두 차례 협상을 벌였으며, 최 사장 측이 제시한 매매가를 지급하겠다는 허프지부의 의사에도 불구하고 B사 매각 강행을 결정했다.
곽상아 언론노조 허프포스트부지부장은 7일 이사회를 앞두고 "저희 노동자들이 허프를 이대로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할 수는 없어 각자 대출받아서 매매가 맞춰주겠다고 했는데, 왜 이제 와서 말을 바꾸느냐. 그 사이에 B사에서 돈을 더 준다고 했느냐"라며 "그렇다면 여기가 진보언론이냐, 경매장이냐"라고 따져 물었다.
곽 부지부장은 최 사장을 향해 "밖에 나가서 돈을 잘 벌어오지 못하니, 내부 약자들을 벼랑 끝으로 떨어뜨려 그들의 돈을 빼앗는 것이 한겨레 사장으로서 할 행동이냐"라며 "단돈 몇푼에 한겨레 정신, 한겨레 브랜드의 가치, 한겨레 창간 정신 모두 다 쓰레기통에 처박았다. 이 결정으로 인한 사회적 이미지 손실은 수십억, 수백억으로도 계산할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언론노조 허프포스트지부는 매각 안건 의결 직후 "깊은 분노와 유감을 표한다"라며 "그동안의 불·위법적 행위와 노동권 유린, 진보 언론으로서 기만적 행위에 대하여 반드시 법적 사회적 대가를 처참하게 치르게 될 것"이라고 입장을 전했다.
허프포스트코리아 / webmaster@huffingtonpost.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