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주류와 비주류 경제학자가 사는 법, 그리고 우리가 속는 법

"한국경제는 가계부채 폭탄, 부동산 거품, 인구절벽, 수출둔화 등으로 인해 절대절명의 순간에 놓여 있다. 이제 위기는 피할 수 없다." 언론들은 이런 보도를 쏟아낸다. 이들이 의지하는 전문가들은 대부분 비주류 경제학자이다. 학계에서 일하고 있는 주류 경제학자는 이렇게 말하지 않는다. 주류 경제학자들의 칼럼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가능성"이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는 몇 가지 가능성을 소개한다.

  • 김재수
  • 입력 2015.12.17 11:32
  • 수정 2016.12.17 14:12
ⓒgettyimagesbank

"한국경제는 가계부채 폭탄, 부동산 거품, 인구절벽, 수출둔화 등으로 인해 절대절명의 순간에 놓여 있다. 이제 위기는 피할 수 없다." 언론들은 이런 보도를 쏟아낸다. 이들이 의지하는 전문가들은 대부분 비주류 경제학자이다. 학계에서 일하고 있는 주류 경제학자는 이렇게 말하지 않는다. 주류 경제학자들의 칼럼에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가능성"이다. 이럴 수도 있고, 저럴 수도 있다는 몇 가지 가능성을 소개한다.

뉴욕대 나심 탈레브 교수는 항공 여행을 앞둔 이들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다음과 같이 물어 보았다. "비행기 사고시 보상금을 지급받는 사망보험을 얼마에 구매하겠는가?", "테러로 인한 비행기 사고 대비 사망보험을 얼마에 구매하겠는가?" 두번째 그룹의 사람들이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한다고 대답한다. 흥미로운 것은 첫 질문이 테러의 가능성도 이미 포함하고 있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확실한 언어에 관심을 기울인다. 모호한 가능성에 대비해서 반응하지 않는다. 선명하게 상상되는 상황에 대해서 반응한다. 다른 예로, 교통사고 사망의 가능성은 광우병으로 인한 사망률 보다 훨씬 높지만, 우리는 광우병에 대해 더 공포감을 갖는다.

학계의 주류 경제학자들은 확률적으로 생각한다. 과학적 방법론을 유지하는 것은 학자의 생명이다. 언론에 등장하는 비주류 경제학자들은 확률적 상황을 어느 정도 무시해야 한다. 대중의 관심을 받기 위해서다. 어떤 이가 죽음을 담보로 하는 도박에 참여한다. 여섯 총알이 들어갈 수 있는 총에 한 발을 장전하고, 자기의 머리에 총을 겨눈다. 주류 경제학자들은 사망 가능성이 1/6이라고 건조하게 표현한다. 비주류 경제학자들은 끔찍한 사망 장면을 묘사한다.

안타깝게도 그는 사망했다. 비주류 경제학자들은 이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것을 왜 몰랐느냐고 말한다. 주류 경제학자들은 1/6의 확률로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이 실현된 것뿐이라고 표현한다. 또 다른 이가 도박에 참여한다. 비주류 경제학자들은 다시 암담한 미래를 예견한다. 과거의 역사와 경험에서 배우지 못했느냐고 묻는다. 주류 경제학자들은 다시 1/6을 말한다. 다행히 그는 죽지 않았다. 이후로도 많은 이들이 도박에 참여했다. 참여한 이들 중, 1/6은 죽고, 5/6은 살았다. 대중들은 끔찍했던 몇 번의 장면들과 비주류 경제학자들의 높은 예측력을 기억한다.

주류 경제학자들의 확률적 사고가 완벽한 것만은 아니다. 2008년 경제위기 예측 실패에 대해서는 여러 층위의 논의가 있지만, 적절한 비유 하나는 이렇다. 멀리 보이는 집에서 연기가 피어 오른다. 보통 사람들은 '불이야'를 외치고 소방서에 전화를 한다. 하지만 경제학자들은 과연 그것이 불에 의한 연기인지, 그냥 수증기인지를 확인해야 한다. 불에 의한 연기라 하더라도, 화재인지 난로 연기인지 확인해야 한다. 화재가 확인되어도 직접 진화가 가능한지, 소방서에 꼭 전화를 해야 하는지, 화재로 인한 손실과 소방서 출동으로 인한 비용을 비교도 해보아야 한다. 결국 확률분포를 확인하는 사이에 집은 전소되고 말았다.

주류 경제학자들이 견지하는 과학성은 비합리적인 시장의 반응도 종종 무시한다. 미국 연준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는 최근 자서전을 출간하고, 이런 이야기를 털어 놓았다. "경제위기가 시작되었을 때, 위기의 본질을 잘 이해하고 있었다. 그러나 대중들이 이 정도로 패닉을 보일지 예상하지 못했다. 이로 인해 경제위기는 더욱 심화되었다." 비합리적일 수밖에 없는 인간의 본성을 탓해야 하는가, 아니면 이조차 이해하지 못하고 확률적 사고를 견지하는 주류 경제학자들을 탓해야 하는가. 주류 경제학자가 직접 목숨을 건 도박에 참여한다. 까짓거 1/6의 확률이라면 해볼 만하다. 총을 머리에 겨눈다. 헉! 주가 폭락으로 화가 난 총포사 주인은 여섯 발의 총알을 이미 장전해 두었지만, 주류 경제학자는 모르고 있다. 반면 비주류 경제학자들은 총포사 주인과 친분이 있다. 비주류 경제학자들이 비합리적 시장에 대해 더 나은 통찰과 직관을 가지고 있을 때가 많다. 이들의 과장스런 표현이 실제 위기 확률에 대한 신호 기능일 수 있다.

이러한 줄다리기 가운데 우리가 서 있다. 주류와 비주류는 서로를 무시하는 경향이 크지만, 우리는 주류와 비주류를 보완적으로 읽어낼 필요가 있다. 속지 않고 살기 쉽지 않다. 아뿔사! 오직 자유시장의 우월성을 주장하며 살아가는 시장주의 경제학자들도 있다. 자유시장에서 구매한 총이라면, 절대 죽지 않는다고 말한다. 확률적 사고도 하지 않고, 비합리적으로 움직이는 시장의 현실을 이해하려고 하지도 않는다. 이들이 가장 잘 먹고 잘 사는 듯하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김재수 #경제학 #주류 경제학 #비주류 경제학 #시장주의자 #확률적 사고 #경제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