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트럼프가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할 모양이다. 중동이 뒤집힐지도 모른다.

  • 허완
  • 입력 2017.12.04 11:58
US President Donald Trump pauses while making a statement for the press before a meeting with Israel's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at the Palace Hotel during the 72nd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n September 18, 2017, in New York. / AFP PHOTO / Brendan Smialowski        (Photo credit should read BRENDAN SMIALOWSKI/AFP/Getty Images)
US President Donald Trump pauses while making a statement for the press before a meeting with Israel's Prime Minister Benjamin Netanyahu at the Palace Hotel during the 72nd session of the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on September 18, 2017, in New York. / AFP PHOTO / Brendan Smialowski (Photo credit should read BRENDAN SMIALOWSKI/AFP/Getty Images) ⓒBRENDAN SMIALOWSKI via Getty Images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후 국제사회의 ‘암묵적 약속’인 ‘예루살렘 수도 불인정’을 6일께 깨트리리란 관측이 나온다.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평화협정 논의에 찬물을 끼얹는 것은 물론 자칫 이슬람권 전역에서 반미 봉기를 촉발할 수 있는 대형 악재를 막으려고 중동 국가들이 주말 총력 외교전을 펼쳤다.

트럼프 대통령의 사위인 제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고문은 3일 브루킹스연구소 행사에서 “(미국대사관을 텔아비브에서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는 문제는) 대통령이 결정할 것”이라며 “아직 여러 다양한 사실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뉴욕 타임스 등은 트럼프 대통령이 대사관 이전은 유보하되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공식 인정하는 발표를 하리라 보도한 바 있다.

중동 지역에선 트럼프 대통령이 ‘돌이킬 수 없는 강’을 건너지 않게 하려 안간힘을 쓰고 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3일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 등 주요국 지도자들에게 전화를 걸어 국제 공조를 요청했다. 아바스의 고문인 마즈디 칼리디는 아에프페(AFP) 통신에 “(아바스 수반이)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옮기든 예루살렘을 이스라엘 수도로 인정하든 그 어떤 결정도 얼마나 위험한지 설명하고자 했다”고 전했다.

요르단 국왕 압둘라 2세 역시 트럼프 행정부를 설득하려고 1주일간 워싱턴에 머물렀다. 요르단은 사우디아라비아의 메카·메디나와 함께 이슬람 3대 성지로 꼽히는 예루살렘의 알아크사사원 관리인을 자임하는 나라다. 요르단 '페드라' 통신은 워싱턴을 찾은 압둘라 2세가 “양국 해결(이-팔 평화협정)을 위협하고 테러리스트들이 (무슬림의) 분노, 좌절, 자포자기를 건드리는 데 악용될 수 있다”는 점을 설득했다고 전했다.

가자지구를 관할하는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는 성명을 내어 팔레스타인인들에게 “(미국의) 이 음모가 통과되지 못하도록 봉기를 선동하라”고 촉구했다. 레바논에 있는 하마스 지도부의 알리 바라케흐는 뉴욕 타임스에 “하마스는 새로운 인티파다(팔레스타인 민중 봉기)를 촉구하고 아바스 수반에게 (평화) 협정 중단을 요구하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스라엘은 건국 2년 뒤인 1950년 예루살렘을 수도로 선포했다. 1967년 6일전쟁으로 예루살렘 동쪽까지 점령한 뒤 예루살렘 전체가 자국 수도라고 주장하지만, 팔레스타인은 동예루살렘을 자신들이 세울 국가의 수도로 여긴다. 국제사회는 당사자들이 영토 문제를 정리하기를 기다리며 텔아비브에 대사관을 두고 있다.

특히 미국은 평화협정 과정에서 한쪽에 치우친다는 오해를 피하려 이스라엘 수도 인정에 관한 언급을 자제해왔다. 1995년 제정된 예루살렘대사관법은 미국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도록 하면서도, 6개월간 결정을 보류할 수 있도록 했다. 전임자들은 6개월마다 이 단서 조항을 선택했으며, 대사관 이전을 공약한 트럼프 대통령도 지난 6월엔 이전을 보류했다.

특히 현시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70여년간 전임자들이 손대지 않은 결단을 내리는 건 ‘자해’라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행정부의 실세인 쿠슈너 선임고문은 이란을 견제하려는 모하메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를 끌어들여 아바스 수반과 평화협정을 서두르고 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은 물론 이슬람권 어느 국가도 미국이 평화협정에 앞서 이스라엘의 손부터 들어주는 걸 수용할 수는 없다. 중동 평화 협상가인 애론 데이비드 밀러는 “트럼프 행정부가 평화협정 문제에 대한 신뢰를 전혀 얻지 못하고 있는 시점에, 사우디가 개입해주길 바라면서, 평화협정을 앞두고 이 이슈(예루살렘 수도 인정)를 밀어붙이는 것은 절대 이치에 맞지 않는다”며 “자해”라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국제 #미국 #도널드 트럼프 #팔레스타인 #예루살렘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