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강남구의 절반이 '지진 액상화' 위험지역이다

  • 김원철
  • 입력 2017.11.20 11:10
  • 수정 2017.11.20 11:12

지진은 다양한 후폭풍을 남긴다. 그중 하나가 '액상화'다. 땅 속에서 느슨하게 결합돼 있던 흙과 물이 지진으로 인해 서로 분리돼 흙은 가라앉고 물은 위로 떠오르면서 지반이 물렁해지는 현상이다. 아파트 등 고층 건물이 취약할 수밖에 없다.

이번 포항 지진에서 '액상화'로 추정되는 현상이 관찰됐다. 포항 흥해 쪽은 천만년 전만 해도 바닷속에 잠겨있던 지역이다. 완전히 암석화가 진행된 상태가 아니어서 손으로 만져도 부서질 정도다. '한국일보'에 따르면, 부산대 연구팀은 "포항 진앙지 인근 논밭에서 소형 모래 분출구를 무더기로 발견했고, 이는 액상화의 근거"라고 밝혔다. 연구팀의 손문 부산대 교수는 “진앙 반경 2㎞ 안에서 모래 분출구 등을 100여건 확인했다. 포항 내에서도 액상화가 된 지점이 있고 안 된 지점이 있을 것으로 보여 추가 조사를 하고 있다”고 말했다. 기상청은 현장조사에 착수했다.

'한겨레'에 따르면, 실제 액상화 현상이 관찰된 것은 1964년 일본에서 일어난 규모 7.5의 니가타지진과 같은해 미국 알래스카에서 일어난 규모 9.2의 굿프라이데이지진 때였다. 두 지역에서는 기초 지반이 붕괴해 교량이 넘어지고 아파트가 통째로 쓰러지는가 하면 맨홀 등 땅속 구조물이 솟아오르는 현상이 벌어졌다.

1964년 6월16일 일본 니가타현에서 일어난 규모 7.5 지진 때 액상화 현상으로 지반이 약해지면서 아파트가 건물째 넘어졌다.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일본 와세다대 하마다 마사노리 교수 재인용) 제공

액상화 현상과 관련해 서울 등 수도권이나 다른 지역도 안심하긴 이르다. 서경대 도시환경시스템공학과 최재순 교수팀이 지난해 9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서울 등 수도권과 부산 지역도 액상화 위험지역이다. 최 교수팀이 경남 양산에서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를 가정하고 액상화 위험도를 분석한 결과, 가까운 부산 지역뿐만 아니라 서울과 수도권 상당 부분도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겨레'에 따르면, 국립재난안전연구원이 2013년 서울 강남지역의 액상화 위험도를 평가한 자료를 보면, 액상화 가능성을 판정하기 위해 52개 시추공을 뚫었는데, 이중 액상화로 인한 피해 정도가 높은 경우(액상화가능지수 5~15)가 14곳, 매우 높은 경우(액상화가능지수 15 이상)가 12곳에 달했다. 서울 강남구의 절반 정도가 액상화 위험지역이라는 뜻이다. 액상화가능지수가 43.0에 이르는 곳도 있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뉴스 #지진 #액상화 #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