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무엇을 바라고 후원을 하는가?

"빈곤 포르노"라는 용어가 있는데 후원받는 사람의 자극적인 사진이나 스토리를 노출하여 후원을 요청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후원자들이 그런 모습을 요구하니 복지기관들이 그런 홍보로 후원을 요청한게 된 것인지, 복지기관들의 자극적 후원요청에 후원자들이 이런 그림을 갖게 된 것인지 어떤 것이 먼저인지 모르겠다.

2018-01-04     유원선

작년 연말 한 복지재단을 통해 후원받는 아동이 후원자에게 20만원짜리 롱패딩을 요청한 것이 이슈가 되었다. 후원자는 "후원받는 아동이 나를 물주로 본 것 같다. 아이는 피아노도 배우고 있더라. 어려운 가정의 아동이 아닌 것 같다."라는 요지로 후원을 끊었다. 이에 대해 후원자에게 공감하는 사람과 이를 비난하는 논쟁이 불 붙었다. 사회복지쪽에서는 참으로 흔한 이슈이다.

해당 사례는 좀 더 자세히 들여다보면 여러 논쟁의 여지들이 있겠지만, 후원받는 아동이 특정 메이커의 20만원짜리 롱패딩을 요청했다는 것에 기쁜 마음으로 후원할 후원자가 한국사회에 얼마나 있을까? 현재 한국사회 후원문화의 정확한 현주소를 보여준 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실제로 그 사건 이후 그 복지재단은 후원자가 많이 끊어졌으리라 짐작된다.

후원자의 머릿속에는 어떤 그림이 있다. 그 그림 속의 아이는 나와는 다른 세상에 살고 있다.

그런데 갑자기 그 아이가 '내가 살고 있는 세상'으로 훅 들어온 것이다. 메이커 롱패딩이라니. 피아노 레슨이라니.

후원자들이 후원으로 가장 선호하는 물품이 학용품과 생필품이다. 현장의 복지기관들도 학용품은 너무 많이 들어와서 처치하기 어려울 정도라고 한다. 하지만 공기청정기를 보내주려고 하는 후원자는 얼마나 될까? 아이들에게 쌀과 학용품은 후원할 수 있지만 공기청정기는 사치품인가? 취약계층 아이들이 이용하는 복지기관이 너무 허름하고 열악하면 그것에 분노를 느껴야 옳지 않은가? 왜 우리의 후원자들은 복지기관이 좋은 물품을 쓰고 좋은 곳에 있으면 후원을 끊는가? 가정의 보호를 받는 아이들은 그것만으로도 다른 것이 필요 없는 아이들일 수 있지만 가정의 보호가 취약한 아이들은 사회가 그 가정이 줄 수 있는 것 이상을 주어야 다른 아이들과 동등한 출발선이 되는 것이 아닐까?

우리는 다른 별에 살고 있는 아이를 후원하는게 아니라 현재, 한국사회 속에 살고 있는 혹은 이 지구 어딘가에 살고 있는 아이를 후원하는 것이다. 그 아이들에게는 당연히 어떤 욕구가 있을 수 있다. 그 아이도 편하고 넓고 좋은 멋진 집에서 살고 싶고 친구들처럼 에버랜드에 가고 싶고 비싼 옷, 비싼 음식, 예쁜 물건들을 갖고 싶다. 그러한 모든 것을 가져도 그 아이는 건강한 가정 속에 남의 도움을 받지 않고 자라는 아이들보다 상실감이 크고 희망을 꿈꾸기 어려울 수 있다. 연말 연초 새롭게 후원을 준비하시는 분들은 나의 후원하는 마음을 돌아보자. 나는 어떤 것을 상상하며 후원을 하고 있는가?

* 본 글은 사회복지법인 함께걷는아이들 공식블로그에도 실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