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신체는 권력이 될 수 있는가

물론 어떤 여성들이 실제로 남성/사회에서 욕망받기 위해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소위 말하는 '여왕벌'의 스탠스에 서서 가부장주의의 꿀을 빨기 위해 노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살면서 만날 때가 있고, 때로 혐오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그 여성들에게 그것이 권력일 수 있을까.

2017-12-04     이서영

쇼핑몰을 운영하는 어느 여성이 라텍스로 된 전신수트를 입고 인스타그램에 사진을 올렸다. 그 여성의 사진 아래에는 '당신이 이렇게 무개념짓을 하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여성인권이 밑바닥'이라는 댓글이 달렸다. '진정한 여성인권이 뭔지 공부하라'는 내용도 함께 있었다. 사진을 올린 여성은 '여자가 입고 싶은 옷 못 입게 하는 너는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어그로 끌어서 페미니즘 욕 먹이려고 하는 안티 페미니스트일 것'이라고 그 댓글을 일축했다.

여기까지는 하나의 사건이었다. '진정한 페미니즘'이라는 해석이 분분한 단어가 또 등장한. 이 사건이 일어난 날 나는 어느 여성 페미니스트가 그녀의 신체를 '외모주의에 대한 사회 지배적 통념'에 기대서 '권력'을 획득하는 수단으로 걸쳐놓는 글을 읽었다. 여성조차도 때로 이런 생각들을 하게 만드는 것이 '외모주의', 내지는 '사회지배적 통념'이라는 것일 터이다. 그렇다면 과연 여성의 신체는 권력이 될 수 있을까?

'페미니즘이 싫다는 젊은 누이께'에는 익숙하지만 도저히 동의할 수 없는 문장이 등장했다. 페미니즘이 싫다는 여성, 닉네임 '승기야' 님이 여성억압적 현실을 깨닫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 서민 교수는 이렇게 정의했다. "이제 스무 살이 된 승기야님이 이 사실을 깨닫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겠지요. 지금이야 승기야님은 뭇 남성들이 떠받드는 젊은 여성이니까요."

그러나 저 착각에 '뭇 남성들'은 더 쉽게 빠져든다. 우에노 치즈코의 말을 빌리자면 이것은 (적극적 성노동은 물론 아니겠으나) 성 구매자가 성 판매자를 증오하고, 성 판매자가 성 구매자를 경멸하게 되는 메커니즘이다. 여성으로서 태어났다는 이유만으로 분열적 삶을 점지당한 사람들과, 그 분열적 영혼이 아닌 오직 신체만을 열망하는 사람들.

페이스북 게시물에서 여성들이 분개했던 이유는 이 메커니즘이 무척 강하기 때문이다. 물론 손아람 작가가 무슨 말을 하려고 했는지는 모르는 바가 아니다.

그러나 어쩔 수 없이 모두가 '여성'인 나에게 이토록 상냥하고, 타자에게 '여성'으로서 열망 받았던 기억이 낭만적으로 서술되어 있을 때 여성들은 분개한다. 그 열망은 여성들에게 결코 행복한 기억도 아니며, 권력도 아니고, 타자를 조종할 수 있는 강력한 힘도 아니기 때문이다. 손아람 작가가 그것을 '특권'이라고 생각하며 썼을 리가 없다고 생각하지만, 바로 그렇게 서술하면서 여성들이 태생적 특권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 위의 언어를 빌리자면 "다수를 지배하는 사회적 통념"이다.

내가 여자였다면 이렇게 힘든 일 안 해도 되겠지?

그런 온갖 열망들이 결합해서 '보슬아치'니 '김치년' 같은 단어가 되었다.

그렇다면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아름다운 것으로 규정된' 여성의 신체의 경우는 어떨까.

물론 어떤 여성들이 실제로 남성/사회에서 욕망받기 위해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는 소위 말하는 '여왕벌'의 스탠스에 서서 가부장주의의 꿀을 빨기 위해 노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실제로 그런 사람들을 우리는 살면서 만날 때가 있고, 때로 혐오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그 여성들에게 그것이 권력일 수 있을까. 이미 수많은 여성들은 그 짧은 권력적 순간이 창출되지 않으면 생존할 수 없기에 타자의 기준에 들어맞는 가상의 완전함을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 한다. 그것은 실질적 권력이 절대로 될 수가 없다.

돌이켜보면 반드시 남자들만 여성의 자원적 신체를 권력으로 치부했던 건 아니었다. 그것은 사회 곳곳에서 다양한 양상으로 드러났다. 2000년대 중반에 종종 들어가던 어떤 페미니즘 커뮤니티에서 셀피를 자주 올리던 한 여성이 다른 사람들에게 공격받은 사건이 있었다. 그 여성의 외모가 사회통념적으로 아름답다고 평가받을만한 것이기에 권력적이라는 이의제기였다. 그녀의 셀피를 자주 보아야만 하는 다른 여성들에게 루키즘으로 작동할 수 있고, 박탈감을 느끼게 하기 때문에 셀피를 그렇게 올리지 말라고 했다.

실제로 당시 셀피를 올리던 여성은 그렇게 가부장주의의 시선으로 오해받을 수 있는 옷차림이나 구도를 선택하지도 않았다. 그러나 그녀의 신체 자체가 '가부장주의'로 해석되었다. 이 경우 가부장주의적 시선에 함몰되어 있는 사람은 어느 쪽인가? 타인의 신체를 나의 액티비티의 대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한가, 혹은 윤리적인가? 무엇보다도 그 운동은 '사회적 통념'을 부수는데 얼마나 기여할 수 있는가? 이미 그 운동 자체가 가부장주의에 포섭되어 있는 것은 아닌가? 당시에는 어렴풋하게 느끼던 불편함을 나는 이제 좀 더 명확하게 토로할 수 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더 많은 가능성이지, 그 가능성의 제약은 아니다. 더 많은 가능성이 주어질 수 있다면 우리의 자매들은 대체로 바깥의 선택을 지지할 것이다. 그 경계가 흐려지면 흐려질수록 '반동적'이라고 여겨지는 외적 선택을 하는 여성들도 통념으로만 판단되지 않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