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 작가와 관련해 강경화 장관에게 쏟아진 비판은 아마 '오독' 때문일 것이다

2017-10-13     박세회
ⓒ뉴스1

예를 들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삼남인 김홍걸 더불어민주당 국민통합위원장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윤병세 장관이 다시 돌아온 줄 알았다"며 이렇게 썼다.

(10월 12일)

이날 몇몇 매체들은 이 둘의 주장을 종합해 이렇게 보도했다.

(10월 12일)

그러나 당시의 영상을 살펴보면 이태규 의원의 질의와 강 장관의 답변은 당연히 다른 맥락이다.

이태규 의원 : 한반도 전쟁을 원하지 않는 한강 씨의 마음은 알겠지만, 한국전쟁에 대한 그의 인식은 명백하게 잘못되어 있고, 한국정부나 국제 사회의 보편적 동의를 얻기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글을 청와대가 청와대 공식 페이스북에 올려놓는 것이 한미 관계와 북핵 해결에 도움이 된다고 보십니까?

강경화 장관 : 그 글은 저도 읽어봤습니다만, 물론 작가로서의 개인적인 생각이 있을 수 있고, 다만 그 표현에 있어서나 역사적인 인식에서는 조금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태규 의원 : 아뇨. 그분의 문제가 아니고요. 그런 글을 청와대 공식 페이스북에 올려놓는 것이 대한민국의 미국과의 관계에서, 한미공조를 강화해야 할 이 시점에서 외교에 도움이 되느냐 이런 장관님의 의견을 묻고 있는 것입니다.

강경화 장관 : 저와 협의를 했더라면 올리지 말라고 조언을 했을 것 같습니다.

강 장관의 의견을 종합하면 이렇게 정리할 수 있다.

그러나 강 장관은 청와대가 공식 페이스북에 한강 작가의 글을 올리는 것을 자신과 협의했더라면 올리지 말라고 조언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한강은 NYT에 기고한 ‘미국이 전쟁을 이야기할 때, 한국은 몸서리친다’란 글에서 “우리에겐 평화가 아닌 어떤 해법도 의미가 없다”며 “한국전쟁은 이웃의 강대국들이 한반도에서 수행한 대리전쟁이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최병천 전 국회의원 보좌관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대리전쟁의 개념은 해석하기에 따라서, ‘주체’(=가해자)는 소련-중국과 미국이 되고, ‘객체’(=피해자)는 남한과 북한이 된다"며 이렇게 해석하면 "미국은 한국(=남한)을 도와준 집단이 아니라 가해한 집단이 되고, 북한은 남침을 일으킨 가해=책임 주체가 아니라 '희생자=피해자'가 되어버린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