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초 언니에게 들려주는 나의 사랑노래

박사논문을 위해 80년대 학생운동에 참여했던 20여명의 여성 활동가를 인터뷰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공통점 하나는 여자선배에 대한 부정적 기억이었다. 특히 남녀공학의 경우가 심했다. 인터뷰 여성 거의 모두가 남자선배를 운동가의 모범 또는 존경의 대상으로 꼽았다. 그들이 학생운동의 진짜 주역이고 헌신적이었으며 이론적 무장 등을 더 갖추었다고 기억하고 있었다. 학생운동조직도 군대나 비슷하게 남자를 위해서 디자인된 공간이고, 여성 특히 여대생이 표상하는 기질이나 행동방식은 격하게 부정되었던 문화가 주류였다.

2017-07-26     권인숙

라는 책 서문의 한 구절이다. 처음 책을 읽을 때는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대목이었지만 다 읽은 후 유독 기억에 강하게 남았다. '존경', '사랑', '사랑노래' 등 시나 멋진 글귀에는 너무 평범해 선택받지 못할 단어들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안에 담긴 의미나 감정, 사실이 낯설었고 특별했다.

나만 그런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 박사논문을 위해 80년대 학생운동에 참여했던 20여명의 여성 활동가를 인터뷰하면서 확인할 수 있었던 공통점 하나는 여자선배에 대한 부정적 기억이었다. 특히 남녀공학의 경우가 심했다. 인터뷰 여성 거의 모두가 남자선배를 운동가의 모범 또는 존경의 대상으로 꼽았다. 그들이 학생운동의 진짜 주역이고 헌신적이었으며 이론적 무장 등을 더 갖추었다고 기억하고 있었다. 학생운동조직도 군대나 비슷하게 남자를 위해서 디자인된 공간이고, 여성 특히 여대생이 표상하는 기질이나 행동방식은 격하게 부정되었던 문화가 주류였다. 여성들은 자기가 이전에 가졌던 모습이나 지속하고 있는 욕망을 회피하거나 억압했고, 여자선배는 그 대면하고 싶지 않은 모습을 쉽게 드러내는 존재였다. 일종의 부정적 투사가 일어나는 대상이었다고나 할까?

'사랑노래'도 낯설었다. 서명숙이 경험한 천영초와 함께했던 열렬한 학생운동사를 나는 전혀 알지 못했다. 사랑노래를 구성하는 이름들, 특히 여성 이름은 하나도 들어본 적이 없었다. 물론 내가 고려대를 다니지 않았던 이유가 클 것이다. 자타 공인 남성 위주의 대학으로 유명한 고대에서 정말 소수였던 여학생 중의 한 명인 이혜자가 78년 9월 당시 기준으로 가장 전설적인 시위를 멋지게 주도했다는 사실도 전혀 몰랐다.

페미니스트를 자임한 대통령도 있고, 젊은 여성들이 페미니스트를 스스럼없이 선언하는 새로운 시대다. 여성운동진영의 색깔도 다양하고 세대차도 많이 나고 공유할 수 있는 내용도 점점 엷어지는 느낌이다. 나도 경험 못했던 '존경'과 '사랑'으로 여성운동가들에 대한 '사랑노래'를 부르는 것은 점점 더 불가능해지는 것도 같다. 그것을 기대하는 게 온당한 일인지도 잘 모르겠다. 다만 서명숙이 했듯이 영초 언니같이 기억할 사람을 다시 불러내어 역사에서 마땅한 자리를 잡아주는 것이 우리가 부를 수 있는 최소한의 '사랑노래'라는 것은 확실하다.

* 이 글은 한겨레에 게재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