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조짐에 한은이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2017-03-12     원성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뉴스1

지난달 만장일치로 금리를 동결했던 미 연준이 15일(현지시각) 열릴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인상하는 데 더해 금리인상 속도를 높일 뜻을 내비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미국의 고용지표 호조세가 이에 불쏘시개 구실을 할 것으로 보인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탄핵 결정 뒷날인 지난 11일 오전 한은 본관 회의실에서 간부회의를 열어 “(10일 발표된) 미국의 고용지표가 양호한 수준이어서 연준의 이번달 금리 인상 확률이 아주 높다”면서 “인상 여부보다는 의결문이나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발언 내용 등에 더 관심이 쏠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의는 탄핵 결정 뒤 국제금융시장의 반응과 외국 투자자의 시각을 점검하는 차원에서 열렸다.

미국 고용시장에서 완전고용에 가까운 낮은 실업률과 일자리 증가는 연준이 통화정책 우선순위를 인플레이션(물가상승) 억제로 전환할 근거가 된다.

이 센터가 조사한 골드만삭스와 제이피모건 등 미국 11개 투자은행(IB) 모두가 연준이 3월에 금리를 올릴 것으로 내다봤다. 연준이 이번에 금리를 인상하면 연방기금 금리는 지난해 12월 상향조정된 0.5~0.75%에서 0.75~1.00%가 된다.

이럴 경우 한은이 통화정책을 쓸 선택지가 좁아지게 된다.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1.25%로 낮췄지만, 여전히 국내 경기 침체는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는 탓이다. 이런 상황에서 달러금리와의 격차가 커지면 한은은 자금유출 우려 등 탓에 금리인하 카드를 쓰기가 쉽지 않다. 장보형 하나금융경영연구소 경제연구실장은 “앞으로 한은의 관심이 금리인상 쪽으로 쏠릴 수밖에 없게 됐다”고 말했다.

또 1344조원에 이른 가계부채도 골칫거리다. 금리인상 땐 영세자영업자, 저소득, 저신용,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의 채무상환 부담이 가중되면서 경제에 충격파를 던져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한은은 다음달 13일 열릴 금융통화위원회 정례회의를 마친 뒤 이에 대한 고민의 답을 일정 부분 내놓아야 할 책임이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