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해·치유재단이 위안부 피해자 '현금' 지원을 시작했다

2016-10-14     원성윤
ⓒ연합뉴스

일본이 소녀상 이전 설치 문제를 강하게 요구하는 데다 최근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피해자들에게 사죄편지를 전할 용의가 “털끝만큼도 없다”고 밝힌 상황에서, 일방적으로 양국 정부의 합의사항 ‘이행’만을 강조하는 정부의 태도는 거센 비판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 본인이 직접 수용 의사를 표현한 경우는 11명, 노환 등으로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 수용 의사를 표현한 이는 13명이었고, 합의 이후 사망해 유족이 수용 의사를 표명한 경우는 5명이었다. 생존피해자에겐 1억원, 사망피해자에겐 2천만원의 현금이 지급될 예정이다. 재단은 앞으로 현금지원 사업 신청서를 접수받는 동시에 추모사업 등도 함께 추진해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생존피해자 중 면담을 거부하는 이들도 설득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12일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수요집회에서 한 참가자가 소녀상에 목도리를 두르고 있다.

‘위안부’ 피해자단체들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성명서를 발표해 “말로 하기조차 힘든 일본군 ‘위안부’로서의 고통스러운 경험을 국내외에 증언하며 정의 회복을 요구해 온 피해자들의 목소리를 이제 와 소수의 목소리처럼 치부하고 지급받는 피해자 숫자를 전면에 내세워 부당한 합의 이행을 끝내 강행하는 정부는 피해자들을 양분시키고 있는 꼴”이라고 비판했다.

10명의 피해 할머니들이 거주하고 있는 나눔의집 안신권 소장도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재단이 (10억엔) 배분 사업을 중단해야 한다. 일본이 보낸 10억엔이 배상금도 아닌데, 피해자에게 이 돈이 배분되는 순간 일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한 책임이 끝났다고 생각할 것”이라며 “이는 단순히 할머니들에 대한 지원만이 아니라 여성 인권을 위해 희생하고 싸워온 전 국민의 문제이며, 국가의 자존심 문제”라고 강조했다.

안 소장은 “기자회견과 항의집회를 열어 우리의 의견을 강하게 말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