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년간 45억 들인 동북아역사지도, 결국 폐기 결론

2016-06-28     김수빈
동북아역사재단 관계자가 1월 7일 서울 서대문구 재단 중회의실에서 연세대·서강대 사업단이 지난 8년간 45억원을 지원받아 동북아역사지도 최종 결과물의 문제점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동북아역사지도는 고대에서 근대에 이르는 우리 민족의 강역을 시대별로 표기한 지도다. 연세대·서강대 산학협력단은 8년여의 작업 끝에 지난해 11월 동북아역사지도를 완성했으나 독도 표기 등 지도학적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이유로 부실 판정을 받자 보완작업을 거쳐 올해 4월 재차 제출한 바 있다.

재단은 우리나라 역사지도인데도 한반도가 지도 가장자리에 위치하거나 독도를 표시하지 않는 등 지도학적 문제가 여전히 보완되지 않아 편찬에 부적합하다고 결론 내렸다.

재단 관계자는 "지난해 심사 때 지적된 지도학적 문제들이 개선되지 않았다.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도가 가장 큰 문제이고 어떤 자료를 근거로 작성했는지도 명확하지 않은 상태"라고 말했다.

지도 제작을 직접 맡을 경우 역사학자 뿐만 아니라 지리학 등 각 분야 외부 전문가를 초기부터 참여시킬 방침이다. 연세대·서강대 산학협력단의 경우 전·현직 대학교수 6명을 포함해 60여명의 인력이 투입됐지만 대부분 역사 연구자들로만 구성돼 지도 편찬의 기본인 지도학적 요건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판단에서다.

동북아역사지도는 한나라가 위만조선을 멸망시키고 설치한 행정구역인 낙랑군(樂浪郡)을 한반도 북부에 표시하는 등 중국과 일본의 역사왜곡을 오히려 돕는 꼴이라는 비판이 재야 역사학계와 국회를 중심으로 제기돼 왔다.

두 차례 심사 결과에 이런 논란이 영향을 미친 것 아니냐는 지적도 일었다. 그러나 재단 관계자는 "지도학적 요건을 충족했다고 판단되면 내용에 대해서 전문가 검토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그 단계까지 가지도 못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