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국제영화제는 왜?

사실 국내 영화제가 예산을 집행하는 지자체와 갈등을 빚어 파행의 위기에 놓인 사례는 적지 않다. 전주국제영화제는 2회 직전 지자체와 갈등을 빚어온 수석 프로그래머가 사퇴하며 영화제의 정체성이 흔들리는 상황이 연출됐고,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에선 부천시장인 조직위원장을 필두로 한 조직위원회에서 집행위원장을 일방적으로 해고하는 상황이 벌어지며 영화계의 반발을 샀고 영화제 자체가 존폐 위기를 맞이하기도 했다. 현재 표류 중인 부산국제영화제 또한 이와 다를 바 없는 경우다.

2016-06-27     민용준
ⓒASSOCIATED PRESS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영화제였던 부산국제영화제가 제대로 개최될 수 있는지조차 불투명한 영화제로 전락한 건 권력을 남용하는 행정가의 불합리한 독선 때문이었다.

2014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선 세월호 참사 구조 현장의 목소리를 담은 다큐멘터리 <다이빙벨>의 상영을 결정했다. 그 과정에서 부산시장이자 조직위원장인 서병수가 정치편향적인 영화라는 이유로 <다이빙벨>의 상영 중단을 요구했고, 영화계에선 상영 중단 요구를 철회하라며 반발했다. 결국 부산국제영화제 측에선 영화제의 독립성과 자율성이라는 모토를 고수하며 예정대로 <다이빙벨>을 상영했다. 그리고 본격적인 사태가 시작됐다. "부산국제영화제가 일부 영화인들만의 전유물로 전락했다." 서병수 시장은 부산국제영화제를 향한 비난을 쏟았다. 비난에서 그치지 않았다.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은 2010년 집행위원장 직을 내려놓았다. 1996년 영화제의 시작부터 함께 했던 그는 부산국제영화제를 성공적인 현재로 이끈 일등공신이다. 은퇴한 지 6년 만에 집행위원장으로 다시 돌아온 이유는 자신의 손으로 일군 부산국제영화제가 기우는 걸 막기 위해서였다. 국내 영화인들과 대립각을 세워오던 부산시장 서병수 역시 부산국제영화제가 좌초되는 것만큼은 막아야 했다. 세계적인 영화제를 하루 아침에 바닥으로 내려 앉힌 악명을 뒤집어 쓰는 건 정치인의 입장에선 두고두고 회자될 오명이다. 결국 조직위원장 자리를 민간 자격인 김동호 명예집행위원장에게 이양함으로써 명예와 실리를 함께 세우겠다는 의도가 읽힌다. 중요한 건 결국 남은 시간이다. 불과 4개월 남짓한 기간은 영화제를 정상화시키기 빠듯한 시간이다.

영화제는 단순한 지역 행사가 아니다. 영화를 선정하는 전문 프로그래머와 영화제 운영의 노하우를 익힌 전문적인 운영위원들이 꾸준히 영화제의 내실을 다짐으로써 성장해 나갈 수 있는 문화적, 경제적 보고다. 그만큼 전문인력양성을 도모하고 이를 보조하는 기관의 협조와 이해가 절실하다. 영화제를 쥐고 흔드는 게 아니라 영화제의 정체성이 지속될 수 있도록 함께 고민해야 한다. 심지어 지자체에서 집행하는 예산이 하늘에서 떨어진 것도 아니지 않은가. 지자체의 예산은 시민의 것이고, 국민의 것이다. 지자체는 대리 집행인일 뿐이다. 부산, 전주, 부천, 제천 등 지금의 국제영화제를 성공적으로 뿌리내린 건 영화제에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성실한 호응으로 숨을 불어넣은 관객들이었다. 영화제는 영화제를 찾는 관객들이 존재하는 덕분에 존재하는 행사다. 영화제의 진정한 주인은 관객인 것이다. 고로 지자체의 예산은 그 예산의 집행을 위해 세금을 낸 국민들 즉 관객들을 위해 집행하는 것이므로 영화제에 알력을 가한다는 건 결국 영화제의 주인들이 기꺼이 납부한 재산으로 영화제의 주인들이 일군 텃밭을 훼손한다는 것과 같다. 무엇보다도 지자체가 알력을 써서 지자체의 자산을 무너뜨린다는 것 자체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이게 무슨 낭비적인 짓거리인가.

[ohboy!] 매거진에 게재된 기사를 재편집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