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혐오 대 정신질환'이라는 잘못된 구도

중요한 것은 이 사건을 법리적으로 판단하려는 경찰의 해석과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여성혐오를 강조하는 해석이 그 자체로는 상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전자가 기본적으로 가해자의 법적 책임을 어떻게 물을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 사건을 이해한다면, 후자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는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 요인에 주목한다. 요컨대 두 입장은 서로 다른 층위에서 이 사건을 해석하고 있으며, 적어도 이 케이스에서는 양립가능하다. 경찰은 사회적 설명을 제시하는 곳이 아니며 그럴 의도를 갖지도 않기에, 경찰이 어떤 판단을 내리든 그것을 이유로 사회적 설명을 거부하는 것은 서로 다른 분야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2016-05-31     이우창
ⓒ연합뉴스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의 피해자 추모글을 쓴 뒤에 받은 반론 중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다: 이미 경찰에 의해 정신질환범죄로 판명된 사건을 여성혐오와 연결시키는 것 자체가 양성 간 갈등을 조장한다. 이후 지금까지 이 사건을 두고 벌어진 여러 건의 논쟁에서 비슷한 대립구도, 즉 "강남역 사건은 여성혐오로 인한 범죄다"와 "강남역 사건은 정실질환으로 인한 범죄다"의 두 입장 사이의 충돌이 나타난다(그리고 후자를 주장하는 사람들 중 극단적인 이들은 "비합리적인 극단적 여성주의자들이 경찰의 합리적인 판단을 거부한다"는 프레임을 유포하고 있는데, 서구 근대 문헌을 읽는 입장에서는 여성과 비합리성을 동일시하는 구도 자체가 아주 오래된 여성혐오적 관점임을 어렵지 않게 지적할 수 있다). 26일 오후에는 정부와 집권여당이 강남역 살인사건의 재발을 막기 위해 "조현병 환자를 강제 입원시킬 수 있는 행정입원명령이 실효성을 거두도록 법적 근거 마련을 추진"한다는 기사가 나왔고, 이 사건을 여성혐오와는 무관한 특정 정신질환의 문제로 바라봐야만 한다는 목소리는 더욱 기세를 얻고 있다.

경찰의 해석을 단순하게 정리해보자. 가해자가 여성 일반에 대해 일종의 피해망상을 품게 되고 이에 따라 살인을 저지른 일차적인 원인은 합리적인 판단능력을 상실하게 한 정신질환이다. 나는 기본적으로는 경찰의 해석이, 가해자의 정신상태에 대한 충분한 근거를 갖추었다는 전제 하에서, 나름의 법적 타당성을 갖추었다고 생각한다--그가 심지어 대통령을 포함한 유력인사를 공격한 경우라고 해도 법적으로 정신질환이 일차적인 원인으로 고려되는 것은 가능하다. 극단적인 예를 떠올려 본다면, 한 여성이 주변 남성들과의 불화로 인해 남성 일반에 대한 극심한 피해망상에 빠져 여러 남성을 무작위로 살해한 경우에도 경찰은 마찬가지로 정신질환에 의한 살인이라고 판정할 것이고, 우리는 그 판단에 나름의 타당성이 있음을 인정할 수 있다(정신질환의 책임경감범위를 특히 혐오범죄에서 어디까지 인정하는 게 맞는지 등의 논쟁적인 주제는 일단 넘어가자).

중요한 것은 이 사건을 법리적으로 판단하려는 경찰의 해석과 사회적 요인으로서의 여성혐오를 강조하는 해석이 그 자체로는 상충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전자가 기본적으로 가해자의 법적 책임을 어떻게 물을 수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 사건을 이해한다면, 후자는 특정한 사건이 발생하는 과정에 영향을 끼치는 사회적 요인에 주목한다(에밀 뒤르켐이 <자살론>을 출간한 지 거의 120년이 된 시점에서 사회적 요인이 개별 인간의 행위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전제 자체를 부정할 이유는 없을 것 같다). 요컨대 두 입장은 서로 다른 층위에서 이 사건을 해석하고 있으며, 적어도 이 케이스에서는 양립가능하다. 경찰은 사회적 설명을 제시하는 곳이 아니며 그럴 의도를 갖지도 않기에, 경찰이 어떤 판단을 내리든 그것을 이유로 사회적 설명을 거부하는 것은 서로 다른 분야의 역할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다.

* 이 글은 필자의 블로그 [BeGray]에 게재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