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의 추악한 역사 : VW는 어떻게 내부고발자를 따돌렸나

2015-10-14     허완
Una empleada de VW entra en una fábrica de la empresa a través de la puerta 17 en Wolfsburgo, Alemania, el 6 de octubre de 2015. (Julian Stratenschulte/dpa via AP) ⓒASSOCIATED PRESS

배출가스 조작으로 위기에 처한 폭스바겐(VW)엔 내부고발자의 충언을 무시하거나 아예 해고한 어두운 역사가 있다.

최근 독일 언론이 보도한 바 있다.

도이체벨레(DW)의 9일(현지시간) 보도에 따르면 그러나 VW의 어두운 역사는 이것만이 아니다.

내부고발자 지원 시민단체 휘슬블로어네트워크(WN)를 이끄는 요하네스 루트비히 함부르크경영전문대 명예교수는 "VW의 기업문화는 위계질서와 두려움으로 가득차 있다"면서 홀거 슈펭글러 사건을 그 대표적 사례로 들었다.

슈펭글러는 여러 해 동안 자신의 직속상사는 물론 감사담당관, 경영진에게까지 차례로 이런 사실을 보고했으나 아무런 반응이 없었다.

이후 그는 복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하고 자신이 재직 중 출원한 특허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는 별도 소송을 진행하는 기나긴 법적 투쟁 속에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2005년 노동평의회(노조) 위원장 등 간부들의 섹스관광과 불법 보너스 수수 추문이 드러나 관련자들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회장 등 최고경영진도 연루돼 있는 의혹을 샀으나 처벌을 받지는 않았으며 이런 관행이 이어져 결국 가스배출 조작이 드러나 최대의 위기에 처하게 됐다.

그러나 실제 그렇게 할 경우 배신자로 찍히거나 동료들에게 따돌림이나 집단적 공격을 당하고 심지어는 슈펭글러 사례처럼 해고당하기도 한다.

따라서 기업문화 등의 개선과 함께 법적 보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 중의 하나인 '핫라인 전화'는 실효성이 적다는 비판을 받는다. 녹음된 목소리를 증거로 내놓으면 기업이 음성인식장치를 통해 제보자 신원을 파악해서다.

'비즈니스 키퍼 모니터링 시스템'(BKMS)이라는 인터넷 제보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예방조치들에도 불구하고 완벽하게 익명을 보장할 확실한 방법은 없다.

독일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3년 동안 가격담합 등 기업들의 불공정행위와 관련해 받은 제보 996건 가운데 절반 이상을 이 시스템을 통해 접수했다.

안드레아스 문트 공정거래위원장은 "물론 모든 제보가 유용하지는 않고 공식 조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나 이 제도가 있다는 자체만으로도 담합이 예방되거나 와해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