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지속가능성'을 강조하는 환경 친화적 소비가 환경 파괴와 기후 변화를 더 부추기는 역설을 가져올 수 있다

환경 문제를 소비자 탓으로 돌리고, 기후 문제마저 상업화하기에 나선 기업들.

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게티 이미지

흔히 ‘환경 친화적’이라 알려진 건강 식단이 사실은 기후 위기의 주범이 될 수 있다면 믿겠는가? 

주변을 둘러보면 건강한 식단을 챙겨 먹는 것이 내 몸은 물론 지구를 지킬 수 있다는 문구가 많다. 신체의 건강이 곧 지구의 건강과 연결되며, 소비자들이 구매하는 ‘지속 가능한’ 물건이 기후 위기의 방향을 틀 수 있다는 논리는 이미 전 세계에 만연하다. 

ⓒ게티 이미지

하지만 iD에 따르면 일반 기업들은 가공식품이 남기는 탄소발자국에만 집중하며 기아, 음식물 쓰레기, 식품 사막 등의 구조적인 문제는 외면하고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칼로리가 높은 음식들이 모든 기후 문제의 시발점이라도 되는 것처럼 말이다. 

실상을 따지고 보면 이런 음식은 사실 ‘웰니스 마케팅‘의 피해자로 간주할 수 있다. 빈곤한 환경, 혹은 기후 문제의 영향을 많이 받는 지역들마저 ‘더 나은 선택’을 요구당하며 SNS에 건강한 식단을 올리는 인플루언서들처럼 먹기를 강요받는 것이다. 

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기사와 관계 없는 자료 사진 ⓒ게티 이미지

짚고 넘어가야 할 점은, 기후 변화는 우리만의 잘못이 아니라 몇 세기에 걸쳐 내려온 착취적인 문제라는 것이다. 만약 오늘날의 소비자들이 지구 온난화가 온전히 우리 세대가 야기한 문제인 만큼 현 세대 내에서 해결해야 한다고 믿는다면, 결국엔 그들은 ‘지속 가능한 건강 식품’을 구매함으로써 이 모든 문제를 야기한 자본주의 기업들의 주머니를 불려주게 될 뿐이다.

기업들은 환경 파괴가 모두 소비자의 탓인 것처럼 화살을 교묘하게 소비자에게 돌렸다. 심지어 기후문제마저 상업화하며 환경을 위하는 척 열심히 돈을 벌고 있다. 사실 지구에서 배출되는 탄소의 71%는 전 세계 단 100개 기업들이 앞다투어 배출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제는 소비자로서의 내 태도를 돌아보기보다는 소비자로서 선택할 기업의 태도를 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불매, 시위 참여 등 여러 방법을 통해서라도 말이다.

 

문혜준 기자: huffkorea@gmail.com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국제 #글로벌 #환경 #웰빙 #지속가능성 #웰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