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박근혜 대통령은 변하지 않았다' : 간담회에 다녀온 신문들의 평가

  • 허완
  • 입력 2016.04.27 07:18
  • 수정 2016.04.27 07:32
ⓒ대한민국 청와대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언론사 편집·국장단 오찬 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의 총선 참패를 두고 “나의 잘못이자 책임”이라는 말을 끝내 하지 않았다.

‘불통’ 꼬리표가 달린 국정 운영 방식을 혹독하게 심판한 민심 앞에 그다지 몸을 낮추지도 않았다. (한국일보 4월27일)

박근혜 대통령이 3년 만에 언론사 편집·보도국장을 청와대로 초청해 간담회를 열었다. 이미 알려진 것처럼,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지난 총선이 '정권심판'이 아닌 '국회심판'이었다고 주장했으며, 자신은 '친박'을 만든 적이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의 이런 발언에 동의하는 언론은 많지 않아보인다.

조선일보는 "이렇게 남 얘기 하듯이 해서야 얼마나 많은 국민이 납득할지 의문"이라고 지적했고, 동아일보는 "총선 참패에도 대통령의 생각에 별다른 변화가 감지되지 않은 것은 우려스럽다"고 적었다.

물론 긍정적인 평가가 전혀 없는 건 아니었다. "그동안 여론으로부터 ‘불통’이라는 비판을 숱하게 들어도 꿈적도 않던 박 대통령이 소통을 화두로 꺼낸 자체가 중대한 변화"(국민일보)라는 것.

다만 문제는 "집권 여당의 패인, 국정 현안을 바라보는 대통령의 인식은 정치권과의 협력 가능성을 어둡게 한다"(세계일보)는 점이다.

27일 아침신문에 실린 사설들을 읽어보자.

이번 총선 결과는 대통령 및 대통령과 가까운 사람들의 오만과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에 대한 심판이었다. 임기 중 총선에서 집권당이 참패했다면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최소한의 책임을 인정하는 인사치레의 말이라도 하는 게 상식이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어떤 사과나 반성도 내놓지 않았다. (조선일보 사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총선 결과에 대한 사과나 내각·청와대의 인적 쇄신에 선을 그었다. 오히려 “친박을 내가 만든 적이 없다”며 유승민 의원 등을 겨냥해 “비애를 느꼈다”고 말했다. 그래서 국정 운영 기조의 획기적 변화를 기대하긴 힘들어 보인다는 우려도 나온다. (중앙일보 사설)

총선 참패와 관련해 대통령이 ‘국정과 공천 파동에 대한 국민의 심판’이라는 지적을 겸허히 인정하지 않은 것은 실망스럽다. 대통령은 “되는 것이 없던 양당 체제를 서로 협력하고 견제하되 민생에 도움이 되게 3당 체제로 만들어준 것이 (총선) 민의”라고 해석했다. 또 친박(친박근혜) 공천이나 친박 마케팅은 자신과 무관하다고 잘라버렸다. “내 책임이 크다”는 한마디로 국민의 마음을 풀어주지 않은 것은 아쉽고 안타깝다. (동아일보 사설)

3당체제를 만들어낸 4·13 총선 결과에 대해 “(일하지 않은) 양당체제에서 3당체제를 민의가 만들어준 것이라고 본다”고 한 대목도 어패가 있다. 총선 결과가 박근혜 정권 심판이라는 일반적 평가와는 달리 자신이 주장해온 대로 국회심판이라는 인식을 은연중 내비쳤다고 볼 여지가 있다. 아직도 총선 민심을 진심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는 방증일 수도 있다. 속마음이 그렇다면 이날 강조한 소통 노력이나 야당과의 협력 의지 피력도 액면 그대로 진정성을 부여하기가 어렵다. (한국일보 사설)

박 대통령은 국회와의 협력을 말하면서도 구조조정 지연의 책임을 떠넘기는 등 여전히 ‘모든 책임은 국회에 있다’는 태도를 바꾸지 않았다. “국회와의 관계에서 되는 것도 없고 식물국회라는 보도도 봤지만 그런 국회에 변화와 개혁이 있어야겠다는 게 민의인 것 같다”고 말하는 대목에선 ‘총선 민의’를 이렇게 자기 편한 대로 해석할 수 있는 건지 아연할 따름이다. (한겨레 사설)

대통령은 소통의 장으로 마련한 자리에서 ‘하고 싶은 말’만 했을 뿐, 시민이 ‘듣고 싶은’ 이야기는 외면했다. 박 대통령은 자신이 4월13일 이후 달라지지 않았으며, 앞으로도 달라지지 않을 것임을 공개적으로 선포했다. 그는 남은 집권 기간 1년10개월도 아집과 오만, 독선과 불통을 고수할 모양이다. (경향신문 사설)

그러나 어제 행사에서 박 대통령은 소통하겠다면서도 국정 기조엔 별다른 변화가 없음을 예고했다. 개각도 부정적이고, 경제활성화를 통한 세수 확대 기조나 역사교과서 국정화도 그대로 밀고 나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아무래도 대통령이 총선 민의를 잘못 읽고 있는 듯하다. 이래서는 야당은 물론 여론의 도움을 기대하기 어렵다. (국민일보 사설)

박 대통령은 총선 결과가 국정운영 방식에 대한 심판으로 보느냐는 거듭된 질문에 즉답을 피했다. 박 대통령은 “밤잠을 안 자고 고민을 해도 대통령으로서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자신의 노력과 19대 국회 비협조를 설명하는 데 상당 시간을 할애했다. 총선 결과가 정부 정책에 대한 심판보다는 ‘식물국회’로 만든 양당 체제에 대한 심판이 컸다는 것이다. 국정 실패라며 역사 교과서 국정화 등 정부 정책에 제동을 걸겠다는 야당과 협의가 제대로 이뤄지겠느냐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세계일보 사설)

일각에서는 박 대통령의 독선적인 국정 운영 방식에 대한 심판이라는 해석도 내놨다. 박 대통령으로서는 인정하기 어려운 분석일 것이다. 어제 간담회에서도 박 대통령은 스스로 “국민과 국가에 대해 무한한 책임을 지는 자리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대통령으로서 할 수 있는 일이 별로 없었다”며 다시 한번 국회를 탓했다. 국민의 생각과는 여전히 간극이 있다. (서울신문 사설)

관련기사 : 이 동아일보 논설위원이 박근혜 대통령을 "포기했다"고 말하는 이유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박근혜 #정치 #청와대 #2016총선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