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상한 화면 비율의 의미

수많은 영화가 아우슈비츠를 방문했지만 '사울의 아들'처럼 들어가지는 않았다. 여기에는 또다른 의미가 있다. 끔찍한 역사나 사건을 재구성하는 영화들은 대부분 어느 단계부터 소재를 착취하게 되고 결국 선정적인 포르노가 된다. 아무리 정당한 동기가 주어진다고 해도 이 과정을 막기는 어렵다. 여기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건 이야기꾼의 인권감수성과 예술적 상상력이다.

  • 듀나
  • 입력 2016.02.24 12:11
  • 수정 2017.02.24 14:12

라즐로 네메스의 <사울의 아들>의 화면 비율은 4:3이다. 대한민국엔 이 영화를 상영하면서 제대로 마스킹을 해줄 수 있는 상영관은 손에 꼽을 정도이기 때문에 대부분 관객들은 화면 양쪽에 회색 필라 박스가 뜨는 화면으로 이 영화를 봐야 한다.

도대체 감독은 왜 이 화면비율을 선택했을까. 4:3 비율이 인간이 실제로 세상을 보는 것과 비슷한 그림을 제공해준다는 이야기를 읽었는데, 그렇게 깊이 생각하고 한 말 같지는 않다. 우린 어느 경우에도 영화처럼 세상을 보지 않는다. 우리의 시야에는 분명한 프레임이 존재하지 않는다. 논리를 전개하기 위해 억지로 있다고 쳐도 결코 <사울의 아들>에 나오는 것 같은 그림은 아닐 것이다. 이 영화의 화면은 아주 이상하다.

<사울의 아들>의 4:3 화면은 <오즈의 마법사>나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의 4:3 그림과는 전혀 다르다. 고전 4:3 비율 영화에는 공간이 충분하다. 마음만 먹으면 얼마든지 불타는 아틀란타나 맨덜레이 저택이나 오즈의 성을 담을 수 있다. 하지만 <사울의 아들>의 4:3 화면은 그렇지 않다. 이 영화의 화면은 옛날 배불뚝이 텔레비전으로 보았던 6,70년대 할리우드 영화들처럼 양쪽이 잘려나갔다. 그 때문에 관객들은 영화 내내 주인공 사울을 따라다니며 화면을 꽉 채운 그의 뒤통수나 정면 얼굴, 그가 만나는 사람들의 얼굴을 간신히 번갈아 볼 수 있을 뿐이다.

이건 아우슈비츠를 다룬 홀로코스트 영화치고는 이상한 선택이다. 당시 나치가 저지른 만행을 최대한 사실적이고 적나라하게 그리는 것이 이 '장르'의 목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사울의 아들>은 보여줄 것들을 다 마련해놓고도 이걸 관객들에게 제대로 보여주지 않는다. 시체들과 죽어가는 사람들은 사울의 머리에 가리거나 초점을 잃고 뿌연 상태에서 구석에 밀려난다. 관객들의 안내인인 사울도 이들을 똑바로 응시할 생각이 없다. 이 상태에서 정교하게 연출된 음향효과가 관객들의 상상력을 조금씩 자극하기 시작한다. 이건 영리한 선택이다. 홀로코스트는 과잉 묘사된 역사적 사건으로 우린 이미 수십 년 동안 이 당시 비극을 온갖 영화나 드라마를 통해 접해왔으며 그 자극에 익숙해지고 무뎌졌다. 더 이상 자극의 정도를 높여서 관객들의 시선을 끄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렇다고 역사적 비극의 의미가 그 익숙함과 함께 사라지는 것은 아니니, 새로운 이야기 방식이 필요하다. 라즐로 네메스는 이를 찾아낸 것이다. 수많은 영화가 아우슈비츠를 방문했지만 <사울의 아들>처럼 들어가지는 않았다.

여기에는 또다른 의미가 있다. 끔찍한 역사나 사건을 재구성하는 영화들은 대부분 어느 단계부터 소재를 착취하게 되고 결국 선정적인 포르노가 된다. 아무리 정당한 동기가 주어진다고 해도 이 과정을 막기는 어렵다. 여기서 해결책으로 제시되는 건 이야기꾼의 인권감수성과 예술적 상상력이다. 그리고 이들은 단순한 역사적 의무감만 가지고 도달할 수 없는 목표이다. 그리고 그런 의무감이 일어날 수도 있는 잠재적 피해에 대한 변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 이 글은 <한겨레>에 게재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울의 아들 #라즐로 네메스 #문화 #듀나 #영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