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경총에 따르면, 지난해 대기업 정규직 대졸초임은 평균 월339만원이다

  • 허완
  • 입력 2016.02.02 12:23
  • 수정 2016.02.02 12:26

지난해 대기업 정규직으로 취직한 대졸 신입사원의 초임 연봉이 평균 4075만원(상여금 등 포함)으로 조사됐다고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밝혔다. 월급으로 환산하면 약 339만원이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경총은 2일 발표한 '우리나라 대졸 초임 분석 결과' 자료에서 이렇게 나타났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의 '고용형태별 근로실태 조사' 원자료를 토대로 추정한 결과, 이렇게 나타났다는 것.

이 추정에 따르면, 4075만원은 300인 이상 대기업에 대졸 이상인 34세 이하 청년층이 입사해 1년 동안 받은 정액급여와 정기상여, 변동상여를 합해 추정한 금액(초과급여 제외)이다.

변동상여금을 뺀 고정급을 기준으로 하면, 이 금액은 3646만원(약 월 303만원)으로 추정됐다.

경총은 이어 기업 규모나 고용 형태에 따른 임금 차이를 이렇게 추산했다.

  • 대기업 정규직 4075만원
  • 중소기업 정규직 2532만원
  • 대기업 기간제 2450만원
  • 중소기업 기간제 2189만원
  • 영세기업 정규직 2055만원
  • 영세기업 기간제 1777만원

* 상여금 등을 포함한 연간 총급여 기준

경총은 또 한국과 일본을 비교했을 때, 한국 대졸 초임의 '절대적인 수준'이 일본보다 39%나 높다고 주장했다.

경총에 따르면 2014년 우리나라 대기업(300인 이상) 정규직 대졸 신입사원 초임(임금총액 기준)은 3만7천756달러(3천976만원)로 일본 대기업(1천인 이상) 상용직 대졸 신입사원 초임(임금총액 기준) 2만7천105달러(287만1천엔)보다 39% 높았다.

경제규모(1인당 GDP) 대비 대졸 신입사원 초임 수준을 비교하더라도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크게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014년 우리나라의 1인당 GDP 대비 대기업(300인 이상) 정규직 대졸 초임 비율은 135%로 일본의 1인당 GDP 대비 대기업(1천인 이상) 상용직 대졸 초임 비율 74.8%에 비해 60.2%포인트 높았다. (연합뉴스 2월2일)

그러나 이 자료를 그대로 믿을 필요는 없다.

그동안 임금에 관련된 경총의 조사는 여러 차례 '엉터리'로 판명난 바 있다. 지난 가을, 대졸 신입사원 초임이 월 290만원이라던 그 황당한 발표를 기억하는가?

JTBC 뉴스룸 '팩트체크' 2015년 10월27일

한국의 대졸 초임이 일본보다 너무 높다는 주장도 마찬가지다. 다음은 비슷한 논란이 벌어졌던 2009년에 나왔던 기사 중 일부다.

노동부 이화영 노동시장분석과장은 “국가별 임금은 너무 다양한 변수 때문에 사실상 비교하기 어렵다”며 “이번 논란은 최근 급변하는 환율 때문”이라고 말했다.

(중략)

국가간 임금을 비교하려면 고려해야 할 조건이 너무 많다. 물가 주거환경 사회보장제도 등 경제활동환경이 크게 다르기 때문에 임금 수준을 비교하는 게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의 경우 장거리 출퇴근자가 많은데, 지하철요금, 고속도로요금 등 교통비가 한국에 비해 2배 이상 비싸다. 노동부 이 과장은 “국가간 임금을 비교하더라도 객관적인 결과를 얻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이번 논란에 대해 정부가 시비를 가리는 것은 옳지 않다”고 말했다. (내일신문 2009년 3월5일)

당시 논란의 발단은 2008년 경총이 발표했던 '주요국의 대졸초임 비교와 정책점 시사점'이라는 자료였다.

여기에서 경총이 국가간 비교에서 기준으로 삼은 통계는 한국의 경우 자신들이 발표한 '임금조정 실태조사'다. 지난 가을 여러 언론에서 '엉터리'라고 비판 받았던 바로 그 조사와 똑같은 조사다.

한편 경총은 이날 발표한 자료들을 근거로 올해 임금을 지난해 수준에서 동결하고, 신입사원 초임이 3600만원(고정급 기준) 이상일 경우 '과도한' 임금을 조정할 것을 회원사들에게 권고했다고 한다.

또한 대졸 정규직 신입근로자 초임이 3천600만원(고정급 기준)이 넘지 않도록 권고한 것은 과도하게 높은 대졸 정규직 초임이 청년층의 대기업 선호에 따른 중소기업의 청년 고용 어려움, 학력 인플레 유발과 임금 격차 심화로 인한 사회 갈등의 중대 요인이 되고 있다는 분석에 따른 것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2월2일)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사회 #한국경영자총연합회 #경총 #노동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