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참치캔 안에 든 건 참치뿐일까요?

우리나라의 연간 참치 소비량은 세계 3위, 그리고 참치캔 소비량은 아시아 1위로 기록될 만큼, 한국인의 참치사랑은 실로 각별해 보입니다. 우리가 참치캔을 딸 때, 그 속에 보이는 것은 저 먼 바다에서 어획되어 깨끗한 공정을 거친 참치살뿐입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 어부들의 눈물과, 비어가고 있는 바다, 그리고 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gettyimagesbank

참치김치찌개, 참치볶음밥, 참치두부조림, 참치샐러드... 쉽게 만들 수 있고 맛도 좋아 우리 밥상에 자주 오르는 음식들입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참치는 참으로 신통 방통한 식재료입니다.

우리나라의 연간 횟감용 참치 소비량은 세계 3위, 그리고 일인당 참치캔 소비량은 아시아 1위로 기록될 만큼, 한국인의 참치사랑은 실로 각별해 보입니다.

우리가 참치캔을 딸 때, 그 속에 보이는 것은 저 먼 바다에서 어획되어 깨끗한 공정을 거친 참치살뿐입니다. 하지만 그 이면에 어부들의 눈물과, 비어가고 있는 바다, 그리고 위기에 처한 해양 생태계에 관한 이야기가 있습니다.

멸종 위기에 처한 참치종들

어부들 사이에서 참치는 '바다의 무법자', 혹은 '바다의 황소'라고 불린다고 합니다. 일부 어종의 경우, 길이만 해도 성인 남성의 키를 훌쩍 넘는 2m 이상에, 몸무게는 소의 두 배에 달하고, 사냥을 할 때 헤엄치는 속도는 류현진 선수의 투구나 초원을 질주하는 치타보다 빠른, 무려 '시속 160km'라고 합니다.

우리가 참치로 알고 있는 다랑어는 크게 7가지 어종으로 분류되는데요. 미국에서 즐겨 먹는 날개다랑어, 유럽인들의 사랑을 받는 황다랑어, 국내에서 참치캔으로 쉽게 접하는 가다랑어, 최고급 횟감으로 인기가 좋은 참다랑어들(대서양참다랑어, 남방참다랑어, 태평양참다랑어), 그리고 마지막으로, 횟집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눈다랑어가 있습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에서 발표한 멸종 위기 동물 리스트, 일명 "레드 리스트"에는 이 중, 대서양참다랑어와 남방참다랑어가 각각 '멸종 위기종'과 '심각한 위기종'으로, 그리고 태평양참다랑어와 눈다랑어가 '멸종 취약종'으로 분류 되어 있습니다.

참치의 멸종은 단순히 '참치를 먹지 못하게 된다'에서 끝나는 문제가 아닙니다. 학자들이 꾸준히 경고해 왔듯, 최상위 포식자인 참치가 사라질 경우 먹이사슬의 균형이 깨지면서 해양생태계의 파괴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참치를 잡는 파괴적인 방법들

혼획의 주범 선망어선과 죽음의 덫 FAD

참치의 멸종에 큰 기여를 하는 것이 바로 '죽음의 덫'이라 불리는 집어장치(Fish Aggregating Device; FAD)입니다. 집어장치는 더 많은 생선을 최대한 빨리, 효율적으로 잡기 위해 고안된 장치로, 참치의 고갈뿐 아니라 해양생태계를 파괴하는 주범입니다.

본능적으로 부유하는 물체를 안식처로 여기고 이끌리는 물고기의 특성을 이용해 만들어진 집어장치는 산발적으로 흩어져있는 물고기떼를 한 곳에 모아주는 역할을 합니다. 그물을 가득 채울 만큼의 물고기가 모여들면 선망어선은 길이가 2km, 깊이가 200m에 달하는 거대한 그물을 설치합니다. 이는 축구장 60개 정도를 합친 면적에 대관람차 3개의 높이에 달합니다.

믿기 어려울 정도로 어마어마하게 큰 이런 그물은 아직 어린 새끼 가다랑어와 개체수가 급감하는 눈다랑어, 황다랑어의 치어는 물론이고, 멸종 위기에 처한 상어, 가오리, 고래, 바다거북, 돌고래, 심지어는 바다새까지 가리지 않고, 주변의 '작은 생태계' 전체를 몽땅 잡아 올립니다. 이처럼 마구잡이로 큰 그물을 치고, 걸리는 데로 잡는 것을 혼획(bycatch)이라 일컫습니다.

"참치통조림 안에는 참치뿐만 아니라 '니모를 찾아서'에

등장하는 거의 모든 바다 생물이 함께 담겨있다."

-찰스 클로버 '텅 빈 바다' 中에서-

바다 위 파괴자, 연승어선

참치잡이 조업어선에는 선망어선 외에도 '연승어선'이라 불리는 배가 있습니다. 앞서 언급된 선망어선과 집어장치가 혼획의 주범이라면 연승어선은 과도한 어획이 주 특기입니다. 한 가닥의 긴 줄에 낚싯바늘이 달린 가짓줄을 여러 개 매달고서 물고기가 살아있는 상태로 낚을 수 있는 연승어선은, 줄의 길이가 길게는 150km에 달하며 3000여 개의 낚시바늘이 달려있습니다. [연승어선에 대한 인포그래픽 확대해서 보기]

거대 글로벌 참치기업의 어두운 이면

거대 참치기업의 문제는 남획과 혼획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만이 아닙니다. 이들은 시장을 장악함으로써 가난한 섬나라의 생계를 위협하고, 또 선원의 인권과 안전을 무시한 과도한 조업활동을 벌여 국제사회의 지탄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참치기업이자, 3위 수산기업인 타이유니온(Thai Union Group)은 최근 몇 가지 스캔들에 휘말렸습니다. 지난 7월 뉴욕타임즈는 캄보디아와 미얀마 출신 이주 노동자들이 일하는 태국 어선에서 노예노동, 인신매매, 심지어는 살인이 벌어지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렇게 인권유린으로 어획된 해산물이 타이유니온을 통해 공급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또한 지난 12월 14일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타이유니온은 아동을 포함한 이주노동자의 강제노동, 급여 미지급 등 노동착취로 물든 새우를 미국, 유럽, 그리고 아시아 시장에 공급했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참치 산업을 지속가능한 산업으로 만들기 위한 소비자들의 힘

거대 수산 기업을 움직이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은 아닐 겁니다. 그러나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처럼, 참치기업의 더러운 이면을 알게 된 해외의 많은 소비자들이 이미 변화를 위해 움직이기 시작했습니다. 영국을 비롯한 선진국에서 소비자의 힘으로 대형 마트의 수산물 유통에 변화가 시작되었고, 타이유니온의 인권유린 문제에 대한 세계 시민의 항의도 점차 커져가고 있습니다.

소비자로서, 그리고 인류의 일원으로서 우리는 참치업계를 향해 요구해야 합니다. 집어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인권을 유린하지 않으며,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잡은 참치를 먹고 싶다고 말입니다.

글:

경규림 /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선임 커뮤니케이션 담당자,

김지우 / 그린피스 서울사무소 해양보호 캠페이너

* 이 글은 12월 10일 세계인권선언의 날을 맞아 시작된 스토리펀딩 "참치뿐일까요?"에 연재된 내용 중 일부를 축약한 내용입니다.

▶ 스토리펀딩 "참치뿐일까요?"를 통해 자세히 보기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