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천연기념물 '점박이물범'을 살리기 위한 특단의 대책이 발표됐다

ⓒgettyimageskorea

해양 오염과 지구 온난화 탓에 점점 서해안에서 자취를 감추는 점박이 물범 살리기 대책이 추진된다.

21일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해양포유류인 점박이 물범은 황해를 비롯해 베링해, 오호츠크해 등 북태평양 온대와 한대 해역에서 주로 서식한다.

한국의 점박이물범 현황은?

우리나라 서해안에 서식하는 물범은 겨울철 중국 랴오둥(遼東)만 유빙에서 새끼를 낳고 봄부터 가을까지 백령도와 황해도서 연안에서 먹이를 찾아 먹거나 휴식한다.

정부는 멸종위기 야생동물인 점박이 물범을 천연기념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지만, 점박이 물범은 해양오염·온난화·연안개발 등 다양한 원인으로 개체 수가 점차 줄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고래연구센터 조사에 따르면 황해에 서식하는 점박이 물범은 1930년대 8천마리에 달했지만 1980년대 2천300마리, 2000년대 1천마리 이하로 줄었다.

백령도에 나타난 개체는 2002년 340마리에서 2011년 246마리로 감소했다. 그 외 전국 연안에서는 한두 마리씩 관찰되고 있다.

지구 온난화로 번식지 유빙이 감소해 새끼 사망률이 높아지고 해양 오염 등으로 치사율도 증가하는 점이 점박이 물범에 위협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어구 등에 따른 혼획이나 수산물 남획으로 먹이생물이 감소한 점도 개체수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황해 점박이물범 종합 관리계획

이에 따라 해수부는 점박이 물범을 체계적으로 보호·관리하기 위한 '황해 점박이 물범 종합관리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해수부는 우선 중국과 공동 조사·연구를 벌여 점박이 물범 개체군이 줄어드는 원인을 밝히고, 어린 개체 치사율을 낮추기 위한 보호협력을 강화한다.

이를 위해 내년 상반기 한국·중국·일본·러시아가 참가하는 '동북아 물범 보호 심포지엄'을 연다. 특히 중국과는 물범 보호협력을 위한 협약(MOU)을 맺는다.

또 국제기구 지원을 통해 북한 해역의 물범 등 해양포유류 서식실태 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국내에서는 물범 서식환경을 개선하는 데 주력할 방침이다. 폐그물 등에 엉켜 사망하는 개체 수를 줄이고자 바다에 버려지는 해양 폐기물 발생을 줄이고 주기적으로 연안 청소를 시행한다.

인공데크 등 물범을 위한 인공휴식처도 조성한다. 백령도 물범의 주요 휴식공간인 물범 바위와 연봉바위 등은 밀물 때 공간이 협소해 물범이 쉴 장소가 부족했다고 해수부는 설명했다.

아울러 혼획 저감을 위한 제도개선과 기술개발, 구조·치료·보호·감시 기능 강화 등 물범 생존율을 높이는 다양한 조치를 취한다.

해수부는 백령도 물범 서식지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앞으로 지역 주민, 지자체 등과 협력해 점박이물범이 우리 바다와 계속해 좋은 인연을 맺을 수 있도록 잘 보호하고 관리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환경 #사회 #점박이물범 #천연기념물 #야생동물 #멸종위기 #백령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