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제국의 위안부', 절대악과 절대선이라는 이분법을 넘어서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수정주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그동안 우리는 위안부를 동원한 일본 제국주의를 절대적인 악으로 간주하고, 그에 반해 피해자인 우리 민족을 절대적인 선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박유하 교수는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위안부 동원에 조선인들의 협력과 자발성이 있었음을 지적함으로써 기존의 일본 제국주의=절대악, 조선=절대선이라는 등식을 깨뜨린다. 박유하 교수에 대한 비난과 분노는 이러한 등식이 깨어짐에 대한 당혹감과 혼란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겠다.

  • 최범
  • 입력 2015.12.21 08:53
  • 수정 2016.12.21 14:12
ⓒgettyimagesbank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 제국주의에 대한 수정주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 그동안 우리는 위안부를 동원한 일본 제국주의를 절대적인 악으로 간주하고, 그에 반해 피해자인 우리 민족을 절대적인 선으로 인식해왔다. 그러나 박유하 교수는 일본 제국주의의 지배를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위안부 동원에 조선인들의 협력과 자발성이 있었음을 지적함으로써 기존의 일본 제국주의=절대악, 조선=절대선이라는 등식을 깨뜨린다.

박유하 교수에 대한 비난과 분노는 이러한 등식이 깨어짐에 대한 당혹감과 혼란의 표출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러니까 그동안 일본은 절대악, 조선은 절대선이라는 이분법적인 사고방식에 균열이 가해진 데에 대한 반응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세상을 절대악과 절대선의 이분법으로 보는 시각 자체에 반대한다. 연세대 국문과의 김철 교수는 <식민지를 안고서>에서, 그러한 시각을 멜로 드라마의 세계라고 지적한다. 멜로 드라마의 세계는 현실이 아니다. 그것은 <콩쥐 팥쥐>의 세계, <흥부전>의 세계이다.

일본 제국주의는 절대악이고 조선은 절대선이라고 보아서는 안된다. 역사적 현실은 그렇지 않다. 모든 것은 상대적인 것이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존재의 무게감과 책임이 모두 같다는 것은 아니다. 식민 지배에서 제국과 식민지의 위상은 분명 뚜렷하고 교환 불가능할 것이다. 하지만 그렇다는 것이 그들의 관계가 절대적이고 일방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지배하고 지배 당하는 구조 속에서 상대적이고 상관적이었을 것이다.

위안부 문제 역시 마찬가지였을 것이다. 위안부는 제국주의의 지배 속에서 동원된 존재이며, 식민지인들은 거기에 강제 당하면서 또 협력했을 것이다. 이렇게 보면 제국과 식민지의 관계, 일본군과 위안부의 관계 역시 절대적이고 일방적인 것으로만 볼 수는 없을 것이다. 그것은 상대적인 악과 상대적인 선의 관계였을 것이다. 거기에는 어떠한 절대악도 절대선도 없었을 것이다.

우리는 모든 절대주의에 반대해야 한다. 하지만 한국의 반일민족주의는 바로 그러한 절대주의 위에 세워진 것이 아니었던가. 식민지 이후 한국은 일본 제국주의를 절대악으로 상정하고, 자신은 절대선으로 위치지움으로써 자신의 정당성을 만들어왔던 것이 아닌가. 하지만 이것이야말로 앞서 언급한 멜로 드라마의 세계이다. 우리도 알다시피 식민지 이후 한국의 현실은 결코 멜로 드라마의 세계가 아니었다. 그것은 처절한 트라우마 이후의 세계에 다름 아니었다.

절대주의에 빠진 존재에게 이 세계는 잔인한 이분법의 지옥일 뿐이다. 적과 우리편, 너와 나, 좋음과 나쁨의 이분법. 하지만 상대적인 관점에서 이 세계를 보면 너와 나는 삼투하고 상응한다. 그것은 좀 더 현실적인 세계이며, 우리는 이 세계에 대한 의무와 책임을 나눠져야 하는 존재임을 깨닫게 된다. 박유하 교수의 <제국의 위안부>는 우리의 식민지 경험과 기억에 대한 절대주의적인 시각에 균열을 내는 작업이며, 그런 점에서 기존의 인식을 강타하는 저서이다. 이 점이 바로 우리를 당혹감과 혼란으로 몰아넣는 지점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를 외면해서는 안된다.

식민지에서 벗어나는 길은 바로 제국과 식민지, 너와 나라는 이분법의 지옥에서 벗어나는 데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제국과 식민지는 일정한 구조 속에서 삼투하고 공모하는 상관적인 관계였으며, 그 속에서 너와 내가 맺었던 은밀한 관계들은 더욱 명백히 드러나야 한다. 그것만이 식민지라는 우리의 트라우마를 치료하는 첫 걸음이 되어줄 것이다.

* 이 글은 필자의 페이스북에 게재된 글입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제국의 위안부 #최범 #사회 #국제 #박유하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