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초등 교과서 한자병기 방침이 철회되어야 하는 이유

한자의 병기가 한글의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해당 한자를 우리말보다도 먼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는 초등학생들에게 매우 큰 학습 부담이다. "그 선수는 국내 경기에서 3연패를 한 후 은퇴했다."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작업기억에는 <선수, 국내, 경기, 연패, 連覇, 은퇴> 등 6가지 정보가 올려지고 학습자는 이를 종합해서 문자의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 소화시킬 수 있는 용량은 2~3개인데 6개가 동시에 쏟아져 들어온다면 소화불량으로 탈이 나게 된다. 이를 뇌의 과부하(overload)라고 부른다.

ⓒ한겨레

글 | 이찬승(교육을 바꾸는 사람들 대표)

교육부가 2018년부터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학생이 배우는 국어·사회 교과서의 중요 낱말에 대해 한글과 한자를 병기(倂記)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이에 대한 찬반 논쟁이 뜨겁다. 우리말 중에는 한자에서 온 것이 70%나 된다고 한다. 병기하자는 뜻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여러 가지 여건과 뇌과학적 근거를 고려할 때 초등 수준에서는 한자 병기를 하지 않는 것이 옳다. 예를 들어 설명하겠다. "그 선수는 국내 경기에서 3연패를 한 후 은퇴했다."는 문장을 보자. 한자 병기를 주장하는 사람들은 이때의 '연패'가 連覇(연달아 이김)를 뜻하는지 連敗(연달아 짐)를 뜻하는지 혼란스러운데 한자를 병기하면 해결된다는 듯하다. 이런 주장은 얼마나 타당할까?

연패(連覇)나 연패(連敗)란 단어를 보는 순간 뇌는 이를 어떻게 이해하는가를 살펴보자. 뇌가 이런 어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단 작업기억(working memory)이란 신경망에 '연패·連覇'란 정보를 올려놓고, 이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장기기억이란 사전지식(prior knowledge) 사전에서 하나씩 찾는다. 마침 찾아서 확인이 되면 이해가 가능하고 찾지 못하면 이해에 실패하게 된다. 이는 사람의 얼굴을 알아보는 것과 같은 원리다. 어떤 사람의 얼굴 모양을 보고 장기기억 속에서 그 사람의 얼굴 정보를 불러올 수 있으면 그 사람을 알아볼 수 있고, 그렇지 못하면 알아보지 못하게 되는 것과 같다. 그런데 아동이 뇌의 작업기억에 동시에 유지할 수 있는 정보의 수는 3~4개 정도로 제한적이다(David Sousa, 2011). ADHD나 심리장애 등을 겪는 아동의 작업기억 용량은 이보다도 작다. 이제 이런 용량 제한 속에서 뇌가 정보를 어떻게 처리하는지를 보자.

'연패(連覇)'란 글자를 보는 순간, 즉 주의를 이 글자에 기울이는 순간 아동의 뇌의 작업기억에는 한글 '연패'와 한자 '連覇'라는 2가지 정보가 올려놓아 진다. 그리고 이를 이해하기 위한 작업이 작업기억 시스템에서 진행된다. 한자 병기가 과연 도움이 되는지 경우에 따라 그 효과를 살펴보자.

• 경우1: 학습자가 '연패'란 우리말 뜻은 알고 있고 문맥에 의해 이것이 '연이어 이긴 것'을 말하는지 '연이어 진 것'을 말하는지를 정확히 파악한 경우, 뒤에 병기한 한자 連覇는 쓸모가 없어지고 읽기에 방해가 된다.

• 경우2: '연패'란 우리말의 뜻도 모르고 連覇와 連敗란 한자어도 모를 경우 뇌는 이해에 실패한다. 이 경우 한자어는 작업기억의 정보처리에 부담만 주어 읽기에 방해가 된다.

• 경우3: 학습자가 '연패'란 우리말의 뜻은 알고 있으나 '연이어 이긴 것'을 말하는지 '연이어 진 것'을 말하는지를 잘 모르고 한자어 連覇를 정확히 알고 있을 경우('이을 연', '으뜸 패'처럼 각 한자의 소리와 뜻을 떠올릴 수 있는 것을 의미)는 한자의 병기는 도움이 된다. 다만 이때는 한자어를 학교서 '한글보다 이전에' 가르치는 것을 전제로 한다. 이 경우 한글도 잘 모르는 많은 아동들에게 한자 교육은 영어와 함께 이중 부담이 된다. 또 학생과 학부모들의 불안감 때문에 이는 사교육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매우 높다.

결론적으로 한자의 병기가 한글의 이해에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해당 한자를 우리말보다도 먼저 알고 있어야 한다. 이는 초등학생들에게 매우 큰 학습 부담이다. "그 선수는 국내 경기에서 3연패를 한 후 은퇴했다."란 문장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작업기억에는 <선수, 국내, 경기, 연패, 連覇, 은퇴> 등 6가지 정보가 올려지고 학습자는 이를 종합해서 문자의 내용을 이해하게 된다. 그런데 뇌의 작업기억의 특성은 모르는 정보를 해독하려 할 때는 그것 하나가 작업기억 용량 전체를 다 차지해 버리는 특성이 있다. 초등학교 학습자의 작업기억 용량이 3~4개 정도이고 ADHD나 심리장애 등을 겪는 아동은 이보다도 용량이 작은 것을 감안하면 한자의 병기가 아동의 뇌에 얼마나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지 잘 알 수 있다. 소화시킬 수 있는 용량은 2~3개인데 6개가 동시에 쏟아져 들어온다면 소화불량으로 탈이 나게 된다. 이를 뇌의 과부하(overload)라고 부른다.

게다가 초등학교 3학년부터 영어라는 외국어도 도입된다. 많은 초등학생들이 상시적으로 학습노동에 시달리는 현실을 고려하면 초등학교 수준에서 한자를 병기하고 이를 학교서 지도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발달단계와도 맞지 않고 학습부담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면이 너무 크다. 병기를 하려면 우리말에 대한 노출이 충분히 되어 '연패'란 우리말이 '연이어 이긴 것'과 '연이어 진 것'이란 두 가지 뜻이 있다는 것을 확실하게 안 이후인 중학교 수준에서 한자병기와 한자 교육을 고려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렇다 하더라도 기대하는 효과를 얻는 것을 낙관하기 어렵다. 21세기 뉴미디어 세대의 뇌는 한자어의 모양과 뜻을 연결시키며 익히기보다는 그냥 하나의 그림처럼 익히려 한다. 이는 오늘날 중국에서도 그냥 한자와 소리의 관계를 알 뿐이지 한자를 쓸 수 있고 뜻풀이까지 할 수 있는 학생들이 줄어드는 경향을 보이는 데서도 잘 알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의 학생이 배우는 국어·사회 교과서의 중요 낱말에 한글과 한자를 병기(倂記)하려는 교육부의 방안은 철회되어야 한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2015개정교육과정 #교육 #한자병기 #교과서 #뇌과학 #사회 #이찬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