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중국이 올해 경제성장률 7%를 달성하기 어려운 3가지 이유

  • 원성윤
  • 입력 2015.06.24 10:34
  • 수정 2015.06.24 10:36

1. 경제성장률 7%는 진짜인가 : 저성장의 위기감

중국의 경제성장률이 시진핑 정부가 올해 목표치로 내세운 7%대를 달성하기 어렵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경제 지표가 신통치 않은 가운데 지방정부의 부채 급증, 증시 거품 붕괴에 대한 우려마저 나오는 상황이라 중국 경제에 대한 위기감은 더 커질 전망이다.

24일 세계금융시장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계 금융기관 54곳이 전망한 중국의 2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은 평균 6.90%로 집계됐다.

2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지난 3월만 해도 7.1%였지만 이후 하락세를 보여 지난달 말 7% 아래로 떨어졌다.

골드만삭스(6.8%)와 바클레이즈(6.8%), 노무라증권(6.8%), BNP파리바(6.8%), 스탠다드 차타드(6.9%) 등 주요 기관들이 7% 아래의 성장률을 제시했다.

2분기 GDP 증가율에 대한 우울한 전망이 나오는 이유는 세부 경제지표가 나쁘기 때문이다.

4월 산업생산 증가율은 5.9%로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다. 4월과 5월 제조업 구매자관리지수(PMI)는 각각 50.1, 50.2로 기준치 부근을 맴돌고 있다.

5월 들어 소비, 투자, 수출이 전달과 비교해 소폭 회복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경기 반등을 기대할 정도까지는 아니었다.

2분기 성장률이 7% 아래로 떨어진다면 중국 정부가 목표로 한 올해 7% 성장 달성은 어려울 가능성이 크다.

중국의 1분기 GDP 증가율은 7.0%로 2009년 1분기(6.6%) 이후 6년 만에 가장 낮았다. 1분기에 7% 성장에 턱걸이를 했지만 디플레이션으로 성장률이 돋보이는 효과가 나타났다는 분석도 있다.

영국 일간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중국 경기가 둔화했음에도 물가가 하락함에 따라 인플레이션을 고려한 실질성장률이 명목성장률보다 높게 나와 지표상으로는 둔화세가 심각해 보이지 않았다"고 보도했다.

베이징 소재 가베칼 드래고노믹스의 첸 롱 이코노미스트는 "7%라는 중국의 공식 성장률이 진짜인지 아닌지를 둘러싼 다양한 논의는 GDP 성장률이 과거 20%에서 1분기에 6% 아래로 떨어졌다는 사실을 놓치고 있다. 사람들이 인식하는 것보다 훨씬 극적인 둔화세"라고 지적했다.

하반기에도 중국의 강한 경기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중국의 3분기와 4분기 성장률 전망치는 각각 7.0%다.

현재 중국 경제가 위기 국면에 접어들었다고 보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지만 정부가 목표치로 제시한 성장률을 달성하지 못한다면 위기론은 가시화할 것으로 보인다.

이철용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현재 중국 경제가 위기라고 보지는 않지만 올해 성장률이 정부가 약속한 7% 안팎에 못 미치는 6% 중반까지 떨어지면 위기감이 커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2. 급증하는 지방정부 부채 : GDP 3분의 1 수준

성장률에 대한 우려와 함께 중국의 부채 급증도 경제 위기를 불러올 뇌관으로 꼽힌다.

중국이 목표 경제성장률을 달성하는데 부채 규모 급증이 걸림돌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올 만큼 부채 문제는 심각하다.

지난해 2분기 기준 중국의 GDP 대비 부채 비중은 282%까지 치솟았다.

특히 세계 금융위기 이후 경기부양책을 내놓는 과정에서 급격하게 늘어난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에 대한 우려가 크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지방정부의 부채 규모는 2013년 6월 말 기준 17조9천억 위안(약 3천조원)으로 중국 GDP의 34.4%에 달한다.

지방정부의 부채 급증이 골칫거리로 떠오르자 중국 정부는 국영은행을 활용한 지방채 발행을 승인하면서 일단 급한 불은 끈 모양새다.

정부의 지원 아래 올해 들어 장쑤성을 비롯한 10개 지방정부가 모두 3천326억 위안 규모의 지방채 발행에 성공했다.

다만, 지방채 발행이 재정 상태가 그나마 좋은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이뤄졌다는 점은 주목할 대목이다.

지방채 신규 발행이 급증해 금리가 오르고 재정상태가 좋지 않은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이 여의치 않을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의 이정훈 선임연구원은 "장쑤성은 재무상태가 가장 우수한 지방정부 가운데 하나였지만 채권 발행을 한차례 연기하고 발행규모를 줄이기도 했다"며 "상대적으로 열악한 재정 상태를 가진 지방정부의 채권 발행은 쉽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3. 상하이 증시 급락세 : 증시 거품론 솔솔

최근에는 중국 증시의 거품 우려가 주목해야 할 변수로 떠올랐다.

올해 들어 고공행진이 이어가던 상하이종합지수가 지난주 급락하면서 조정 국면에 접어든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주 상하이종합지수는 올해 고점 대비 10% 이상 떨어졌다. 이달 들어 하루 3% 이상 급락하는 사례도 잦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중국 증시가 출렁이자 "변동성이 커진 중국 증시의 거품 우려가 나오는 가운데 증시가 조정기로 접어들었다"고 보도했다.

중국 증시 거품 붕괴론에 대한 시장의 분석은 엇갈린다.

홍콩 소재 보콤 인터내셔널의 하오홍 대표는 "중국(증시)에 거품이 끼어 있음이 명백하다"며 "예상보다 더 깊은 조정기가 온다고 해도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뱅크 오브 아메리카 메릴 린치(BOAML)의 전 세계 펀드매니저 조사에서도 응답자 10명 가운데 7명이 '중국 증시가 거품'이라고 진단했다.

반면, 중국 증시 조정이 일시적이란 분석도 있다.

민성증권의 주전신 애널리스트는 "중국 당국이 디레버리징(차입 청산) 압박을 본격화했다는 것이 이번 사태의 화두"라면서 "(중국 증시) 펀더멘털에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고 말했다.

중국 증시를 바라보는 관점은 다르지만 일단 거품이 꺼지면 경제에 작지 않은 충격을 줄 것이라는 데는 이견이 없다.

빚을 내 투자하는 신용거래의 급증이 중국 증시의 활황의 한 원인이기 때문이다.

WSJ은 "상하이와 선전의 양대 증시에 증권사 등의 자금을 빌려 투자하는 신용거래 건수가 많아 장기 폭락세를 보일 경우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전했다.

8천900만명에 달하는 투자자 중 상당수는 신용거래를 하고 있어 시장 폭락세가 이어지면 빚을 갚느라 소비 지출을 줄이는 투자자가 늘어 중국 경제에도 악재가 될 가능성이 크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경제 #상하이증시 #저성장 #시진핑 #중국 경제 #부채급증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