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삼성의 실력

메르스 사태 초기 삼성서울병원은 치외법권지역 같았다. 정부는 병원 이름 공개도, 병동 봉쇄도 막은 채 그저 믿고 맡겼다. 3세 승계 과정에서의 삼성도 마찬가지다. 행정부도 사법부도 국민 여론도, 불법과 편법을 인정하면서도 결과적으로 승계 과정에 눈을 감았다. '무노조 경영'이라는 법을 넘어선 경영원칙을 묵인해주기도 했다. 이 모든 과정에는 실력이 있고 일을 잘하면 조금 특권을 줄 수도 있고 조금 오만해도 참아줄 수 있다는 정서가 깔려 있었다. 실력과 일의 결과가 윤리적 결함을 상쇄할 수 있다는 생각이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것이다.

  • 이원재
  • 입력 2015.06.17 08:18
  • 수정 2016.06.17 14:12
ⓒ연합뉴스

삼성이 뚫렸다.

삼성은 메르스를 관리하는 데 실패했다. 삼성서울병원은 처음 확진자를 발견하는 성과를 거두기는 했지만, 그 뒤 확산을 막는 데는 속수무책이었다. 전체 확진자 가운데 절반가량이 삼성서울병원을 통해 감염됐다는 발표가 나왔다.

삼성은 2011년 그룹 전략기획실 출신 경영자를 이 병원 사장으로 임명했다. 병원 경영진에는 여러 계열사의 경영전문가들을 보냈다. 그 뒤 병원은 구조조정작업을 진행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등 삼성식 경영을 진행했다. 이 병원은 이재용 부회장이 최근 이사장으로 취임한 삼성생명공익재단이 운영하고 있는 곳이다.

삼성은 또 경영권 승계 과정을 관리하는 데도 실패했다. 외국계 헤지펀드 엘리엇 매니지먼트는 지난 6월4일 삼성물산 지분 7.12%를 취득하고, 제일모직과의 합병을 반대한다고 선언했다. 앞서 5월26일 삼성물산과 제일모직 이사회는 두 회사의 합병을 선언했었다.

두 회사의 합병으로 이재용 부회장은 경영권을 순탄하게 이어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됐다. 복잡한 순환출자 관계를 정리하면서도, 결과적으로 삼성전자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는 시나리오였다.

이 합병을 언론은 '신의 한 수'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2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비상장주식 매입과 일감 몰아주기를 통한 주식가치 부풀리기 등 다양한 방식을 동원해 진행한 3세 승계 작업에 마침표를 찍으려던 참이었다. 그런데 외국계 헤지펀드가 나타나면서 이 모든 것이 무산될 위기에 처했다. 예상하지 못한 사태를 맞은 삼성은 허둥거렸다. 증권가에서는 합병이 무산될 것이라는 예측도 나온다.

상상하기 어려운 일이 벌어진 셈이다. '관리의 삼성' 아니던가? 삼성이 하면 다르다고 했다. 냉혈한일지언정 일만큼은 빈틈없이 처리하는, 실력있는 집단 아니던가? 그런데 가장 치명적인 두 가지, 사람의 생명에 대한 일과 자신의 경영권에 대한 일에서 삼성이 허둥거리고 있다.

메르스 사태 초기 삼성서울병원은 치외법권지역 같았다. 정부는 병원 이름 공개도, 병동 봉쇄도 막은 채 그저 믿고 맡겼다. 3세 승계 과정에서의 삼성도 마찬가지다. 행정부도 사법부도 국민 여론도, 불법과 편법을 인정하면서도 결과적으로 승계 과정에 눈을 감았다. '무노조 경영'이라는 법을 넘어선 경영원칙을 묵인해주기도 했다.

그 모든 과정을 관통하는 단 하나의 열쇳말은 '실력'이다. 병원도 삼성이 하면 다를 것이라고 믿었다. 게다가 그룹이 경영진까지 보내서 특별히 관리하는 곳이라니 말이다. 경영권 승계 과정에서 편법을 좀 썼어도 제품 잘 만들고 돈 잘 벌면 되지 않느냐는 반론에 힘없이 고개를 끄덕여줬다.

이 모든 과정에는 실력이 있고 일을 잘하면 조금 특권을 줄 수도 있고 조금 오만해도 참아줄 수 있다는 정서가 깔려 있었다. 실력과 일의 결과가 윤리적 결함을 상쇄할 수 있다는 생각이 한국 사회를 지배했던 것이다.

우리는 지금 그런 세태의 결과를 보고 있다. 삼성은 더 이상 실력 있는 곳이 아니다.

이제 분명해졌다. 병원과 대학과 스마트폰과 반도체와 금융을 함께 지배할 수 있는 집단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이 모두에서 실력을 가질 수 있는 집단은 없다. 오히려 한 영역에서 얻은 경험을 다른 영역에 잘못 적용하면서 문제가 일어나고 만다. 메르스 사태가 그 사례다. 이윤 극대화에 최적화된 의사결정 기준이 질병을 치료하는 데 잘 맞을 리는 없다.

한국 최대 기업집단이, 특권이 오만을 부르고 오만이 무능을 부르는 악순환의 늪에 빠지고 마는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어쨌든 그 비용은 사회 전체가 치르게 될 테니 말이다.

페이스북 팔로우하기 |

트위터 팔로우하기 |

허핑턴포스트에 문의하기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삼성 #메르스 #삼성서울병원 #삼성물산 #제일모직 #이재용 부회장 #이원재 #경제 #사회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