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위한 골든타임

가리왕산을 지키며 동계올림픽을 치르는 것이 불가능한가? 방법은 있다. 무주로 가자. 경기장을 일부 보완해야 할 테지만, 무주로 옮기면 약 1700억 원을 아낄 수 있다고 한다. 게다가 무주 리조트는 이미 조성되어 있는 스키장뿐 아니라 호텔, 리조트 같은 숙박시설, 진입도로 등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가리왕산에 추가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 숙박시설에 대한 예산도 줄일 수 있다. IOC도 나서 분산개최를 독려하는 마당에 가리왕산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 배보람
  • 입력 2015.04.24 11:23
  • 수정 2015.06.24 14:12
ⓒASSOCIATED PRESS

<기획연재>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가 대안이다 (7·끝) |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위한 골든타임

스키장 건설을 위한 벌목이 시작되기 전, 지난해 여름의 가리왕산을 생각해 본다. 단단한 동색 나무 빛을 반짝이며 내던 개벚지나무, 나무껍질을 겹겹이 층으로 붙여 놓은 것 같은 독특한 수피를 가진 왕사스레나무, 온통 초록의 숲에서 선명한 주홍빛으로 멀리서도 알 수 있는 동자꽃,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이라는 깊은 숲의 건강함을 상징하는 주목과 내 키를 훌쩍 넘어 가지를 뻗어내던 야생, 본 모습을 보여준 100년이 훌쩍 넘었을 철쭉군락까지.

두 손을 활짝 펼쳐 안아도 한품에 안을 수 없는 참나무들이 모여 있다. 하늘 가까이로 뻗은 나뭇잎들이 흔들리며 바람소리를 낸다. 이제 겨우 30년 언저리를 살아온 내가 가리왕산 숲에서 500년의 시간을 상상하게 된다. 어떤 멸종위기야생동물과 식물이 살고 있는지 읊어 내리는 것은 중요하지 않다. 대한민국 숲의 시련사인 전쟁과 산판을 비껴 지금까지 원시의 모습을 간직하고 있는 500년 보호림에 우리가 있다는 것이 중요하다.

분산개최 방안이 없는가? 숲을 지키려는 의지가 없는 것이다.

조선시대부터 지금까지 가리왕산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던 500년 국가적 신념은 단 2주 남짓의 동계올림픽 앞에 무력했다. 산림청은 지난 2012년 가리왕산 보호구역의 일부 올림픽 이후 복원을 전제로 해지하며, 가리왕산 스키장건설을 사실상 허가 했다. 결국 고작 며칠의 일회용 스키장을 위해 500년 숲을 내준 것이다. 공사비만 1732억 원, 복원비는 1,082억원, 예산낭비는 덤이다. 3천억 원짜리 일회용 스키장 공사판 앞에서, 이것이 합리적인 정책결정인가 묻는다. 진정 최선의 방법인가?

분산개최에 대한 시민사회의 고민과 논의는 바로 위의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가리왕산을 지키며 동계올림픽을 치르는 것이 불가능한가? 방법은 있다. 무주로 가자. 경기장을 일부 보완해야 할 테지만, 무주로 옮기면 약 1700억 원을 아낄 수 있다고 한다. 한겨레신문이 건축 설계사무소와 시뮬레이션을 진행한 결과 공사기간도 충분히 올림픽에 맞출 수 있다. 게다가 무주 리조트는 이미 조성되어 있는 스키장뿐 아니라 호텔, 리조트 같은 숙박시설, 진입도로 등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가리왕산에 추가로 건설해야 하는 도로, 숙박시설에 대한 예산도 줄일 수 있다.

IOC도 나서 분산개최를 독려하는 마당에 가리왕산을 고집할 이유는 없다. 가리왕산 벌목을 했다지만, 대규모 성토작업이 시작되지 않은 지금 손을 쓰면 복원의 가능성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예산절감 효과는 덤이고, 환경훼손 최소화는 크나 큰 성과다.

혹여, 늦었다 말하는가? 잘 흐르던 4대강도 틀어막은 토목강국의 저력은 이럴 때 보여줘야 하는 것 아닌가. 국제스키연맹 회장도 가리왕산의 공사가 늘어져 예정되어 있던 테스트 이벤트가 거의 불가능하다고 인터뷰를 한 바 있다. 가리왕산의 공사도 늦은 마당에, 스키슬로프가 조성되어 있는 무주는 왜 불가능한가. 이건 시간의 문제가 아니라 의지의 문제다.

인구 천만 서울 빙상장 6개 VS 인구 22만 강릉에 빙상장 4개

빙상경기는 강릉 코스털 센터에 집중되어 진행된다. 현재 강릉시가 운영하고 있는 강릉빙상경기장을 컬링경기장으로 보완하고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쇼트트랙, 아이스하키1, 아이스하키 2 경기장이 강릉시내에 밀집되어 건설 되고 있다. 신설 경기장 중 아이스하키 2경기장을 관동대가 체육시설로 활용할 계획이고 나머지 4개의 빙상장의 경우 강릉시가 운영관리의 책임을 지게 된다. 사후활용계획도 딱히 나온 것이 없다.

올림픽이 끝나면 22만 명의 강릉시민들은 국제대회를 치른 최고수준의 빙상장을 그것도 4개씩이나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관람석만 경기장 하나당 1만석 규모다. 인구 천만의 도시 서울에는 빙상경기장이 6개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답이 나온다. 더 설명할 필요가 없다. 강릉시가 운영하게 될 4개의 빙상장은 매년 줄줄 수십억 원 이상의 운영적자를 낼 것이 뻔하다.

경기장이야 국고보조 받아 어떻게 건설한다 해도, 올림픽 이후 매년 쌓이는 적자를 어디로 옮길 수는 없다. 경기장 한두 곳만 서울로 옮겨와도 건설비는 물론 운영비의의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목동 아이스링크, 태릉 국제스케이트장, 고양 어울림누리, 빙상경기 한두 종목은 수도권 안의 기존시설에서 충분히 소화 가능하다.

평창동계올림픽 성공개최를 위한 마지막 골든타임에 필요한 정치력

강원도와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가 분산개최 절대 불가를 외치고 있는 상황에서 시민들의 평창동계올림픽 합리적 개최의 요구는 허공으로 흩어지기 쉽다. 흩어지는 이야기를 정치적의제로 확장하기 위해서는 국회가 움직여야 한다.

국회 안에서 소수정당인 정의당이 분산개최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지만, 새누리당 의원들은 올림픽에 더 많은 혜택을 법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발로 뛰고 새정치민주연합 의원들은 사실상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평창동계올림픽 준비가 차질 없이 되고 있기 때문인가? 절대 아니다. 더 많은 혜택을 강원도에 쏟으려는 새누리당의원들도 침묵하고 모르는 척 하는 새정치민주연합 국회의원들도 올림픽 보다 당장 내년에 있을 총선 판에서 강원도의 눈치를 살피고 있는 것이다.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결정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가 다가온다. 올해 상반기, 6월 정기 국회과정에서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논의가 이어지지 않으면 정말 어려워질 것이다. 강원도 재정악화의 우려는 현실이 될 것이고 환경파괴로 인한 상처도 커질 것이다. 남은 시간동안 우리는 시민들과 함께 우리가 해야 할 일에 최선을 다할 것이다. 국회가 답해야 한다. 더 이상 미룰 수 없고, 비겁해져서도 안 된다.

<기획연재>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가 대안이다

1회 : 국가체면 살리는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고광헌 / 평창올림픽분산개최촉구시민모임 상임대표

2회 : 올림픽 경제효과의 진실

임정혁 / 스포츠칼럼니스트

3회 : 평창동계올림픽, 강원도 재정의 밑빠진 독

김상철 / 나라살림연구소

4회 : 여론조작, 왜곡된 의사결정

박지훈 / 변호사, 스포츠문화연구소 사무국장

5회 : 500년 원시림, 가리왕산의 울음

이병천 / 산과자연의친구 우이령사람들

6회 : 어젠다 2020과 올림픽의 미래

정용철 / 서강대학교 교수

7회 :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를 위한 골든타임

배보람 / 녹색연합 정책팀장

"평창동계올림픽분산개최를촉구하는시민모임"은 평창동계올림픽 및 메가스포츠 이벤트의 반복되는 문제점을 지적하고, 평창동계올림픽의 폐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위해 만들어진 시민모임입니다. 시민모임은 강원도 지역, 체육, 환경, 문화 시민단체 50여개가 함께하고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분산개최를촉구하는시민모임 후원계좌

하나 : 159-910003-63404 (문화연대)

* 후원금은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추진을 위한 시민모임의 활동에 사용됩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평창동계올림픽 #분산개최 #배보람 #가리왕산 #국회 #스포츠 #사회 #환경 #강원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