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정부가 서울의 '수상한 주택거래'를 들여다봤다. 절반이 편법증여였다.

증여세 탈루가 의심되는 사례들은 모두 국세청에 통보됐다.

  • 허완
  • 입력 2020.02.04 16:06
Apartment blocks side by side in Seoul, South Korea.
Apartment blocks side by side in Seoul, South Korea. ⓒAlexander W Helin via Getty Images

지난해 6월 20대 ㄱ씨는 금융기관 대출 4억5천만원에 본인 돈 1억원을 보태 서울 서초구의 10억원짜리 아파트를 사들였다. 부족한 매수 자금 4억5천만원은 부모가 세입자로 들어오면서 충당했다.

ㄴ씨는 전세보증금 9억5천만원, 신용대출 1억5천만원과 자기자금 5천만원에 부모에게서 차용증 작성 없이 받은 5억5천만원을 얹어 지난해 8월 강남구의 아파트를 매수했다. ‘서울 지역 실거래 관계기관 합동조사’에서 적발된 편법증여 의심 사례다.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금융위원회·서울시·금융감독원·한국감정원은 4일, 지난해 8~10월 서울 지역 주택 이상거래 사례 1333건(차입금 과다, 현금 위주, 실거래 허위신고 의심 사례 등)을 조사한 결과 탈세, 대출금 전용 등 768건의 불법·규정위반 사례를 적발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조사한 이상거래를 거래금액별로 보면 6억원 미만이 503건(38%)이었고 9억원 이상은 475건(36%), 6억원 이상 9억원 미만은 353건(26%)이었다.

이중 가장 많이 적발된 유형은 증여세 탈루였다. △전세금 형식으로 가족 간에 편법증여를 하거나 △시세에 훨씬 못 미치는 저가 거래로 증여세를 낮추고 △차용증 작성이나 이자 지급 없이 금전이 건너가는 등 탈세 의심 사례 670건이 드러나 국세청에 통보됐다. 자치구별로는 서울 강남구가 109건으로 가장 많았고 송파구(82건), 강동구(56건), 성동구(54건), 영등포구(52건) 차례였다.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토교통부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토교통부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세청에 통보된 편법·불법 증여 의심 사례 ⓒ국토교통부

 

사업자금으로 받은 돈을 주택구입에 전용한 사례도 다수였다. 전자상거래 개인사업자인 ㄷ씨는 상호금융조합에서 개인사업자대출로 받은 5억원을 서초구의 21억원짜리 아파트를 사는 데 보탰다. 소매업 법인이 상호금융조합에서 법인사업자대출 19억원을 받아 강남구의 25억원 아파트를 사들인 사례도 있었다. 금융위와 금감원은 이런 대출규정 위반 의심사례 94건을 추가로 조사해 대출금을 회수할 계획이다. 분양받은 강동구의 아파트 대금을 치르고 소유권만 지인 명의로 돌린 뒤 전세 형태로 그 집에 살고 있는 사례는 명의신탁 약정 의심 건으로 경찰청에 통보됐다. 또 계약일을 허위로 신고해 부동산거래법을 위반한 3건에 대해서는 과태료 3천만원이 부과된다.

지난해 8월 이후 서울 지역에 집중했던 부동산 이상거래 정부 합동조사는 이달부터 경기 과천·하남시 등 투기과열지구 전체로 확대된다. 3월부터는 주택 구입시 자금조달계획서를 제출해야 하는 전 지역(조정대상지역의 3억원 이상, 비규제지역 6억원 이상)의 주택거래가 조사 대상이 된다.

국토부는 1차관 직속으로 ‘부동산시장불법행위대응반’을 설치해 이상거래와 시장교란 행위 등에 대한 조사 강도를 더욱 높일 계획이다. 정부 관계기관 합동조사팀장인 남영우 국토부 토지정책과장은 “국세청, 금융위 등 관계기관과 함께 자금조달 세부내용 조사를 강도 높게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부동산 불법행위 수사체계를 강화해 실수요자 보호와 부동산 투기 근절을 위한 노력을 전방위로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사회 #경제 #부동산 #서울시 #국토교통부 #금융감독원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국세청 #한국감정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