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통계청 조사: 올해 비정규직 평균 월급은 정규직의 절반 수준에 불과했다

통계청 조사에 정부는 브리핑을 열고 해명에 나섰다

통계청
통계청 ⓒ통계청

비정규직 근로자의 임금 수준이 정규직의 절반가량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격차도 지난해보다 더 커졌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9년 8월 경제활동인구조사: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6~8월 비정규직,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각각 172만9000원, 316만5000원으로 집계됐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모두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월평균 임금이 올랐으나 임금격차는 143만6000원으로 통계작성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8월 기준 임금격차(136만5000원)보다 7만1000원 증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정규직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15만6000원(5.2%) 증가했고, 비정규직 근로자는 172만9000원으로 8만5000원(5.2%) 늘었다.

또한 비정규직 중에서도 시간제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92만7000원이었으며, 비전형근로자(파견 또는 용역·재택근로자 통칭)의 임금은 185만8000원으로 집계됐다. 기간제, 비기간제 근로자의 월평균 임금은 각각 180만6000원, 207만원이었다.

비정규직 근로자도 700만명을 넘어섰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는 748만1000명으로 전체 임금 근로자 2055만9000명 가운데 36.4%를 차지한다. 정규직 근로자는 1307만8000명으로 63.6%를 차지했다. 지난해 8월 비정규직 근로자 수와 단순 비교하면,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는 86만7000명(13.1%) 많은 수준이다.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 비중(36.4%)은 지난 2007년 3월 조사 (36.6%) 이후 12년 만에 가장 높다.

`올해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급증했다`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강신욱 통계청장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부가조사와 작년 결과를 증감으로 비교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선을 그었다. 그러면서 강신욱 통계청장은 ”올해 병행조사부터 기존 부가조사에 없었던 고용 예상 기간을 세분화하면서 과거 부가조사에선 포착되지 않은 (비정규직인) 기간제 근로자가 35만∼50만명 추가로 포착됐다”고 설명했다. 조사방식이 변경된 것만으로 추가적으로 포착된 비정규직 근로자 수가 35만~50만명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최대치를 기록한 임금격차에 대해 강 통계청장은 ”원래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임금 수준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똑같은 비율로 상승하더라도 그 금액의 차이는 커지는 것”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도 이날 브리핑을 열고 ”이번 근로형태별 부가조사상 비정규직 규모는 과거 수치와 비교할 수 없는 시계열 단절이 발생했다”며 ”비정규직 근로자 근로여건의 경우·임금수준·사회보험 가입률·근로복지 수혜율 등 전반적으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고 밝혔다.

하지만 통계 변화에 따른 변동치를 제외하더라도 비정규직은 전년 대비 최소 36만명이 늘었다. 이에 대한 지적에 김용범 1차관은 ”이게 참 통계척 특이요인이 워낙 커서 시계열로 비교하기가 불가능하다”면서 구체적인 답을 피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과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2019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동향 및 평가' 관련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김용범 기획재정부 1차관과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이 29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룸에서 '2019년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 결과 동향 및 평가' 관련 합동 브리핑을 하고 있다 ⓒ뉴스1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경제 #고용노동부 #통계청 #비정규직 #기획재정부 #정규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