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궁에 빠진 돼지열병 확산경로, 살처분 대상 6만 마리 넘어섰다

살처분 인력 관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 이진우
  • 입력 2019.09.27 15:17
  • 수정 2019.09.27 15:18
26일 인천 강화군 불은면의 한 양돈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에 방역 당국이 돼지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26일 인천 강화군 불은면의 한 양돈 농가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진에 방역 당국이 돼지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9월 17일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후로 열흘이 지났다. 오늘(27일) 오전엔 강화군에서 9번째로 아프리카돼지열병 확진 농장이 나왔다. 하루에 한번꼴로 발병 사실이 확인된 셈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26일 오후 7시를 기준으로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따른 살처분 대상은 6만2365마리(2만8850마리는 살처분 완료, 3만2535마리는 미완료)이었다. 그런데 오늘 오전 9번째 확진 사례가 발생해 살처분 대상은 더 늘어나게 된다. 

감염 경로는 아직도 파악되지 않았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주로 북한 접경지역에서 발생했기 때문에 국립환경과학원은 임진강 등 접경 하천수에 대해 바이러스 오염 여부를 조사했다. 23일부터 26일까지 나흘에 걸쳐 연천·파주·김포를 가로지르는 한탄강 6곳, 임진강 11곳, 한강하구 3곳 등 20개 지점에서 하천수를 채취했다. 그러나 ASF 바이러스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력한 감염 매체로 멧돼지·조류·곤충 등 야생동물·돼지에 급여되는 음식물·바이러스에 오염된 하천수 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은 추정에 불과하다. 

.
. ⓒ뉴스1

국내 7번째 ASF 발병이 확인된 강화군 삼산면 돼지농장의 위치는 감염 경로 파악을 더욱 미궁으로 몰아넣고 있다. 해당 농장은 강화도 본섬이 아닌 석모도에 있다. 게다가 이미 문을 닫은 폐농장이다. 사육 중이던 돼지도 2마리 뿐이었다. 중앙일보에 따르면 농식품부 관계자는 ”역학조사를 진행해봐야 알겠지만, 현재까지 파악된 바로는 폐업 농장이다 보니 차량 역학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감염 경로 자체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안 되는 상황이기 때문에, 방역 당국은 ASF 확진 판정을 받게 된 농가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살처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감염이 확산되면서 살처분 작업자에 대한 인력 관리의 중요성도 동시에 커지고 있다.

우선 살처분 인력을 찾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 식품부 관계자는 ”일반인이 꺼리는 살처분 작업의 특성상 관련 인력 확보가 어려워 불가피하게 발생 지역 밖에서 동원하는 경우가 많다”고 밝혔다. 살처분 작업에 참여하면 일반 축산 농장 출입을 막지만, 인력 동원의 어려움 때문에 다른 살처분 대상 농장으로의 출입은 허용한다. 관계자에 따르면 작업 전 기본 소독을 실시하며, 방역복을 입고 작업을 진행한 뒤, 작업이 끝나면 작업 중 착용한 모든 의복과 신발과 모자를 수거해 소각하고 있다(손목시계, 지갑 등 물품은 소독 후 반출). 

살처분 작업에 참여한 이들이 겪는 트라우마에 대한 조치도 필요하다. 구제역이 휩쓸었던 2010~2011년 살처분 작업 참여자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도 있었다. 이에 대비해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아프리카돼지열병 긴급행동지침’(SOP)을 제정했다. 살처분·사체처리 참여자를 대상으로 트라우마 예방·안전 교육을 해야 하며, 그밖에 질병 특성과 살처분 필요성 등을 교육해야 한다. 살처분 작업이 끝난 뒤에도 살처분 참가자는 본인의 심리상태에 대한 체크리스트를 통해 전담 심리기관으로부터 적절한 심리지원을 받을 수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 #농림축산식품부 #트라우마 #살처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