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에 대해 "야생 멧돼지가 전염시켰을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밝혔다

북한 멧돼지가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현실성이 낮다고 설명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 처음으로 발생한 17일 경기 파주시 발병 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국내 처음으로 발생한 17일 경기 파주시 발병 농장에서 방역당국 관계자들이 살처분 작업을 하고 있다 ⓒ뉴스1

지난 17일 경기 파주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국내 처음으로 발생한 가운데 환경부가 ”야생 멧돼지가 전염에 의한 발병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18일 보도자료를 내고 ”환경부 비상대응반이 9월 17일 파주 발생 농가 주변 현황을 긴급 점검한 결과”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해당 지역은 멧돼지 서식 가능성이 낮고 마을 이장도 ‘해당 지역에 멧돼지 활동이 없었다’고 전했다는 게 환경부 설명이다. 

환경부는 또 ”임진강 하구 한강 합류지점과 10㎞ 이상 떨어져 있어 한강을 거슬러 북한 멧돼지가 유입되었을 가능성도 현실성이 낮다”고 전했다. 일각에서 나오고 있는 ‘멧돼지 외 야생동물에 의한 전파 가능성’에 대해서도 환경부는 ”전 세계적으로 멧돼지 외 동물에 의한 전파는 물렁 진드기에 의한 전파 외에 사례가 없는 데다, 우리나라 멧돼지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다”고 일축했다. 또한, 감염된 야생멧돼지가 없는 상태에서 육식동물에 의한 2차 감염 가능성을 상정하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는 것이 전문가들의 견해”라고 덧붙였다. 

앞서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2018년 8월 이후 경기 북부지역에서 수집한 멧돼지 시료 76건을 분석한 결과도 모두 아프리카돼지열병이 음성 판정된 바 있다.

송형근 환경부 자연환경정책실장은 ”현재로서는 발생농가에서 야생멧돼지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우선”이라며, ”혹시나 있을지 모를 야생멧돼지 발생에 대비해 야생멧돼지 폐사체 발생 확인과 검사 등에 힘쓸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파주시내 동물원 등 포유류 전시·사육시설에 대한 방역상태를 점검·강화하도록 조치했다고 밝혔다

한편 경기 파주에 이어 18일 연천 농가에서도 아프리카돼지열병이 확진되면서 이미 아프리카돼지열병이 경기 북부지역에 확산된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이낙연 국무총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 차단 방역 상황 점검차 경기 포천시 돼지 밀집사육단지를 찾아 보고를 받은 뒤 빈틈없는 방역조치를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이낙연 #환경부 #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