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북한 ‘지대지 전력 3종 세트’ 완성했나

새로운 단거리 전술

북한이 10일 함경남도 함흥 일대에서 두 발의 단거리 발사체를 발사한 바로 다음날인 11일 관영 매체를 통해 “새 무기 시험 사격”이었다면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험 발사를 지도한 사실을 공개했다. 이 발사체에 대해 북한이 구체적인 명칭이나 특성을 밝히지는 않았지만,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북한이 ‘북한판 이스칸데르’ 미사일, 신형 방사포에 이어 신형 전술 지대지 탄도 미사일까지 공개하면서 북한식 지대지 ‘3종 세트’를 과시하려 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JUNG YEON-JE via Getty Images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 기관지 <노동신문>은 이날 1면에 김정은 위원장이 10일 새 무기 시험사격을 지도한 사실을 전하며 “위력한 새 전술무기들”의 시험사격이 연일 성공했다면서 그 결과를 분석해보니 “설계상 요구가 완벽하게 현실화”됐다고 주장했다. 이는 5월4일부터 이번달 10일까지 잇달아 7차례 있었던 단거리 발사체 시험 발사 등을 의미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매체는 이러한 일련의 시험 발사가 “당에서 최근에 연구개발 방향을 제시한 또 하나의 새 무기체계”의 “완성”이라고 했다.

정부 관계자 및 군사 분야 전문가들은 10일 북한이 쏜 발사체를 ‘새로운 단거리 전술 지대지 탄도 미사일’이라고 분석하고 있다. 남쪽의 ‘지대지 미사일 3총사’인 △현무 △천무 △에이태킴스(ATACMS·주한미군의 전술 지대지 미사일)과 유사한 북한판 지대지 미사일 ‘3종세트’라는 해석도 있다. ①KN-23 ‘북한판 이스칸데르’ 신형 단거리 탄도 미사일(5월4·9일, 7월25일, 8월6일), ②신형 대구경 조종 방사포(7월31일, 8월2일)에 이어 세번째로 나온 새 무기라서다.

이들 ‘3종 세트’는 기존에 북한이 보유하고 있던 구형 무기보다 성능이 ‘업그레이드’ 됐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예컨대, KN-23은 최대 사거리가 600㎞이상으로, 사거리가 500㎞인 기존의 스커드-C 미사일과 비교해볼 때 성능이 뛰어나다고 볼 수 있다. 7∼8월 두 차례 공개된 신형 방사포는 사거리가 200여㎞로, 사거리가 70㎞에 불과했던 300㎜ 구형 방사포를 대신할 수 있다고 평가 받는다. 특히 10일 발사한 신형 전술 지대지 탄도 미사일은 사거리가 400㎞로 사거리 300㎞의 구형 스커드-B를 대체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한 정부 관계자는 “10일 발사된 신형 무기는 외형이 에이태킴스와도 상당히 비슷하다”며 “북한도 남쪽과 유사하게 지대지 전력을 갖춰나가는 듯한 느낌을 받는다”고 짚었다.

이번 북한의 신형 미사일이 앞선 신형 무기들과 같이 모두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점도 특징이다. 고체연료는 액체와 달리 연료를 충전할 시간이나 별도의 장소가 필요하지 않아 기동성과 은밀성이 뛰어나다. 액체연료는 주입 시간이 필요해 미사일방어체제 등 군사 기술이 고도화되는 상황에서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미사일방어체제가 미사일의 위치 등을 파악해 정확히 요격할 시간을 벌어주는 셈이 되기 때문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새 무기 시험사격을 지도하면서 이번 무기가 북한의 “지형조건”에 맞게 개발됐다고 하면서 “기존의 무기체계들과는 또 다른 우월한 전술적 특성”을 가졌다고 평가한 것과도 맥이 닿아 있다. 산악지역이 많은 북한의 지형을 감안할 때 이동식발사차량(TEL)에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미사일을 싣고 다니면 이론적으로 탐지망을 피하기 유리할 뿐 아니라 신속한 기동까지 가능하다.

김동엽 경남대 교수는 “사거리가 조금 길어지면서 고도는 낮아지고 속도는 빨라졌다는 점, 그리고 모두 고체연료에 이동식 발사차량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발사시간 단축과 발사 원점(장소)의 다양화로 한-미 정보자산의 탐지 및 선제타격을 어렵게 하면서 미사일 방어체계를 무력화하려는 목적”이라며 “결국 핵이 아닌 재래식만으로 한반도 전체를 목표로 억지능력을 달성하기 위한 저비용 고효율 체계로 보인다”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북한 #북핵 #미사일 #단거리 발사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