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세계보건기구(WHO)가 에볼라 '국제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지난해 콩고민주공화국에서 재발한 에볼라가 좀처럼 진정되지 않고 있다.

  • 허완
  • 입력 2019.07.18 12:10
  • 수정 2019.07.18 12:15
ⓒOlivia Acland / Reuters

제네바(로이터) - 세계보건기구(WHO)는 17일 콩고민주공화국(DRC)의 에볼라 발병을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PHEIC)로 선포했다. 에볼라 바이러스가 콩고민주공화국의 대도시 고마에서 인접국으로 퍼질 위험이 제기된 뒤의 일이다. WHO의 국제 비상사태 선포는 드문 일이다.

11개월 전 에볼라가 다시 퍼지기 시작한 이후 효과 좋은 백신과 국제사회의 신속한 대응에도 불구하고 이번 발병 사태는 치안이 불안정한 지역에서 예상보다 더 오래 지속되면서 1700명 가까운 사망자를 낸 콩코 최악의 에볼라 사태로 이어졌다.

대대적인 백신 접종 및 경계 캠페인과 7500만회 가까운 스크리닝 덕분에 전염성 높은 에볼라 바이러스가 콩고 동북부의 두 개 주 바깥으로는 거의 퍼지지 않았다. WHO의 자문을 맡은 국제 보건 전문가들로 구성된 비상사태위원회(EC)는 이번 사태에 대해 비상사태 선포를 세 차례 거부했다.

그러나 이번 달 인구 200만명의 도시이자 교통 요충지인 고마를 여행했던 한 목사가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17일에 WHO는 어업에 종사하는 한 여성이 우간다의 한 시장에서 네 차례 구토한 일이 있은 후 콩고에서 사망했다고 밝혔다. 이곳에서만 590여명에게 백신 접종이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Baz Ratner / Reuters

 

“에볼라가 퍼지기 시작한지 1년 가까이 되었다. 위원회는 에볼라가 더 넓게 전염될 수 있다는 우려스러운 신호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의원회가 발표했다.

국제 비상사태 선포 여부를 검토하는 이 위원회는 전염사태의 규모가 크고 이에 따른 위험 때문에 비상사태가 선포되어야 한다고 보는 많은 전문가들로부터 압박을 받아왔다. 국제 비상사태가 선포된 건 WHO가 2005년에 이 제도를 도입한 이래 이번이 다섯 번째에 불과하다.

“사태가 통제되고 있다는 조짐이 없다.” 에볼라를 발견한 팀의 일원이었으며 현재 런던 위생 및 열대 의학 대학(London School of Hygiene & Tropical Medicine)의 디렉터 피터 파이엇이 말했다.

그는 “오늘 내린 결정이 높은 수준의 정치적 행동, 더 나은 협력 체계, 이 파괴적인 전염병을 막기 위한 콩고민주공화국의 노력에 대한 더 많은 자금 지원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국경 폐쇄는 없어야

2004년 아시아에서 SARS(사스)가 퍼진 이후 도입된 이 체계 하에서 국제 공중보건 비상사태는 2013~2016년 서아프리카 에볼라(사망자 1만1300명 이상), 2009 독감, 2014년 소아마비, 남미에서 신생아들의 선천적 장애를 초래한 지카 바이러스 때 각각 선포됐다.

로버트 스테픈 WHO 위원장은 이번 에볼라 사태가 국제적 위협이라기보다는 국지적 발생이라는 말로 톤을 낮췄다. 또 그는 에볼라에 대응한다는 이유로 국경을 폐쇄하거나 무역을 제한하는 국가는 없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WHO는 인접국인 르완다, 남수단, 부룬디, 우간다가 가장 위험하다고 경고했으며,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앙골라, 탄자니아, 콩고공화국, 잠비아가 그 다음으로 위험하다고 밝혔다.

 

며칠 전 WHO는 에볼라가 통제불능이 되는 것을 막고 더 많은 생명과 돈을 허비하지 않도록 하려면 수억 달러가 즉각 필요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고마의 사례가 “상황을 완전히 바꾸어 놓을 수도 있다”며 비상사태위원회를 소집한 테드로스 아드히놈 게브레예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지역을 국제비상사태로 선포하는 것이 이제까지 자금 지원을 하지 않았던 국가들에게 돈을 내놓으라고 하는 의미는 아니었다고 말했다.

가장 급한 건 공급이 부족한 백신 생산을 크게 늘리는 일이다. 머크(Merck)사에서 생산하는 백신은 아직 허가가 되지 않아, 콩고 보건부가 감독하는 임상 실험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WHO는 공급 물자에 저용량의 백신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위원회는 다른 생산자에게 공급 계약을 맺고 머크의 기술을 전수하는 등의 “공급 증가를 위한 모든 수단”을 사용할 것을 권하고 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세계보건기구 #콩고민주공화국 #에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