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019년 한국에서 '혼자 사는 사람들'의 실제 모습이 공개됐다

'한국 1인 가구 보고서’가 발표됐다.

ⓒkitzcorner via Getty Images

한국에서 혼자 살고 있는 사람들에 관한 조사결과가 발표됐다. 1인 가구는 열명 중 한명 꼴이며, 1인 가구의 최대 걱정거리는 외로움과 경제력이 꼽혔다. 은퇴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매달 123만원 정도는 저축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제로는 그에 훨씬 못 미치는 돈을 모으며 살아가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KB금융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19 한국 1인 가구 보고서’를 통해 드러난 현재 한국에서 혼자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모습을 정리했다. 

1. “10년 이상 혼자 살 것”이라고 답한 사람들이 늘었다

2017년 기준 한국의 1인 가구는 562만 가구다. 전체의 10.9%(서울 등 9개 지방자치단체 기준으로는 30%를 넘긴다)를 차지한다. 이는 기존 예상치(556만 가구)를 넘어서는 수치로, 1인 가구 증가 추세가 이전보다 빨라졌음을 뜻한다. 이 추세대로라면, 1인 가구 비율은 2045년에는 16.3%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결혼이나 재혼 의향은 있을까. 연구소가 지난 4월 수도권과 광역시에 거주하는 1인 가구 2000명에게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의 42.5%는 ‘언젠가는 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의향이 없다‘고 답한 사람은 17.7%, ‘모름·계획없음’이라고 답한 사람은 39.8%였다.

연령대별로는 차이가 있었다. 20대는 결혼 의향이 없다고 답한 비율이 낮았으나(남성 8.2%, 여성 4.2%), 30~50대는 결혼 의향이 없는 비율이 월등이 높아졌다. 특히 여성은 52.7%가 ‘1인 생활을 지속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1인 생활을 지속할 의향이 있는 이유로 ‘혼자 사는 것이 편해서’라는 답이 53.6%를 차지했다. 

‘향후 10년 이상 혼자 살 듯하다’고 밝힌 응답자도 지난해 34.5%에서 올해 38.0%로 증가했다.  

2. ‘가장 큰 걱정거리’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가장 큰 걱정거리가 무엇이냐’는 질문에 여성들은 20대~50대 모두가 경제력을 1위로 꼽았다. 반면 남성은 20대를 제외한 30대~50대가 가장 큰 걱정거리로 외로움이라고 답했다. 

안전에 대한 우려는 여성 1인 가구에서 두드러졌다. 남성들은 ‘안전상 어려움이 없다’고 답한 비중이 20%를 넘었으나, 여성들은 20대~50대 모두가 경제력과 외로움 못지않게 안전에 대한 우려도 1인 가구의 걱정거리라고 꼽았다.

생활상 어려움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는지에 대해서는 남녀 모두 ‘포털 검색’(남성 44.9%, 여성 52.9%)을 꼽았다. 가족·지인에게 물어본다는 응답(남성 35.5%, 여성 51.8%), 최대한 혼자 해결한다고는 응답(남성 38.2%, 여성 28.2%)이 뒤를 이었다.

1인 생활의 장점은 ‘자유로운 생활 및 의사결정‘(82.5%·복수응답)이라는 답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혼자만의 여가 활용‘(73.4%)도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직장 학업 등에 몰입 가능‘(14.7%), ‘가족 부양 부담 없음‘(13.8%), ‘경제적 여유‘(8.2%), ‘가사 등 집안일이 적음’(6.6%) 등도 장점으로 꼽였다. 

퇴근을 하면 곧장 집으로 귀가하는 응답자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평일 중 퇴근하고 바로 귀가하지 않는다는 응답자는 전체의 72.7%를 차지했다. 

3. 은퇴에 대비한 저축을 필요한 만큼 하지는 못하고 있다

1인 가구가 예상하는 은퇴시점은 61.3세였다. KB금융이 지난해 전체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했을 때 나타난 64.9세보다 3.6세 이른 시점이다. 성별로는 남성 1인 가구가 61세 이후에 은퇴할 것이라고 예상했으며, 여성 1인 가구는 58세로 예상했다. 

은퇴를 대비한 저축은 충분히 하고 있을까. 그렇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가 평균적으로 은퇴를 대비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저축·투자금액은 월 123만원이지만, 실제로는 약 70만원에 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필요 저축액‘과 ‘실제 저축액’의 차이는 소득에 따라 차이가 벌어졌다. 연소득 2400만원 미만이 생각하는 저축 필요액은 매달 106만원이지만 실제로는 31만원(필요액의 29%)을 저축하고 있었다. 연소득 4800만원 이상 구간에서는 저축 필요액(162만원)의 74% 수준인 120만원을 실제 저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1인 가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