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김성 북한 유엔대사가 미국에 압류 선박 반환을 요구했다

북한이 유엔에서 기자회견을 연 건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 허완
  • 입력 2019.05.22 09:39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가 21일(현지시각)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 정부가 압류한 북한 화물선 '와이즈 어니스트(Wise Honest)'호의 반환을 촉구했다. 미국, 뉴욕. 2019년 5월21일.
김성 유엔주재 북한대사가 21일(현지시각)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국 정부가 압류한 북한 화물선 '와이즈 어니스트(Wise Honest)'호의 반환을 촉구했다. 미국, 뉴욕. 2019년 5월21일. ⓒASSOCIATED PRESS

김성 유엔주재 북한 대사는 21일(현지시각)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 정부가 압류한 북 화물선 ‘와이즈 아니스트’의 지체 없는 반환을 요구했다.

김 대사는 이날 오전 10시15분 유엔본부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미국이 우리 화물선을 압류한 것은 명확히 불법이고 부당하다”며 “미국은 지체 없이 이를 반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대사는 “우리는 와이즈 아니스트호가 우리의 주권이 완전히 작동하는 우리 영토로 간주한다”며 미국의 선박 압류가 북한의 사법권 침해라고 비난했다. 그는 지난 14일 북 외무성 대변인이 발표한 담화를 언급하면서, “미국의 이번 행동은 최대의 압박으로 우리를 굴복시켜보려는 미국식 계산법의 연장이며, 새로운 조-미(북-미) 관계 수립을 공약한 6·12 조-미 공동성명의 기본정신을 전면 부정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김 대사는 이 선박의 즉각 반환을 요구하면서 “우리는 앞으로 미국의 모든 행동을 면밀히 주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대사는 이같은 내용의 발언을 마친 뒤 기자들로부터 ‘미국의 선박 압류가 북-미 관계에 미칠 영향은 무엇이냐’, ‘3차 북-미 정상회담을 위한 양쪽 접촉이 있느냐’, ‘화물선에 유엔 제재를 위반한 물건을 싣고 있었느냐’, ‘미 대학생 오토 웜비어의 사망에 대해 할 말 있느냐’, 등의 질문을 몰아서 받았다. 그러나 김 대사는 “오늘 회견은 선박 압류에 관한 것”이라며 “우리는 미국의 행동을 면밀히 지켜볼 것”이라고만 대답했다. 그는 “나머지 질문은 다른 기회에 답하겠다”고 말한 뒤 회견장을 떠났다.

북한이 유엔본부에서 기자회견을 여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와이즈 아니스트호 압류에 대해 국제 무대에서 반발을 키우며 쟁점화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미국 국무부가 2019년 5월9일 공개한 사진(촬영 날짜 미상)에 담긴 북한 화물선 '와이즈 어니스트(Wise Honest)'호의 모습. 미국 정부는 국제 제재를 위반해 석탄을 수송했다며 이 선박을 압류했다.
미국 국무부가 2019년 5월9일 공개한 사진(촬영 날짜 미상)에 담긴 북한 화물선 '와이즈 어니스트(Wise Honest)'호의 모습. 미국 정부는 국제 제재를 위반해 석탄을 수송했다며 이 선박을 압류했다. ⓒASSOCIATED PRESS

 

북한은 앞서 지난 17일에도 김 대사 명의로 이같은 내용의 서한을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앞으로 보냈다. 북한은 이 서한에서 “최근 미국이 미국법에 걸어 우리 무역짐배(화물선)를 미국령 사모아에 끌고가는 불법무도한 강탈행위를 감행한 것은 미국이야말로 국제법도 안중에 없는 날강도적인 나라임을 스스로 드러내 놓은 것”이라고 비난했다. 또 “미국이 선박 강탈의 구실로 내든 미 국내법에 기초한 대조선 ‘제재법’과 같은 일방적인 제재는 유엔총회 제62차 회의 결의에 따라 유엔 헌장과 국제법에 어긋나는 비법적인 행위로 규정되어 있다”며 “주권국가가 그 어떤 경우에도 다른 나라 사법권의 대상으로 될 수 없다는 것은 보편적인 국제법적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9일 미국 법무부는 미국과 유엔의 제재를 위반해 석탄과 중장비를 운송한 와이즈 아니스트호를 압류했다는 사실을 발표하고, 이 선박을 정식으로 몰수하기 위한 민사소송을 뉴욕 연방법원에 제기했다. 1만7000톤급인 와이즈 아니스트호는 북한 선박 가운데 두번째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선박 압류·몰수 발표는 북한의 4일, 9일 단거리 미사일 등 발사체 발사와 관련이 없다고 밝혔으나, 시점상 강력한 대북 압박 메시지로 받아들여졌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북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