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미국 국무부가 하노이 회담 결렬은 '트럼프의 결정'이었다고 밝혔다

일부 전문가들은 '대북 강경파'인 볼턴 보좌관으로 인해 회담이 결렬됐다고 판단했지만.

  • 김현유
  • 입력 2019.03.13 20:59
  • 수정 2019.03.14 10:52
ⓒBloomberg via Getty Images

미국 정부가 12일(현지시간) 제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은 전적으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결정한 것이란 입장을 내놨다.

로버트 팔라디노 미 국무부 부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의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이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의 원인 제공자로 지목했다’는 취지의 질문에 ”미국의 수석 협상대표(lead negotiator)는 미 대통령”이라면서 ”그것(회담 결렬)은 대통령의 결정”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7~28일 베트남 하노이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두 번째 정상회담을 했지만, 이번 회담은 △새로운 북미관계 수립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노력 등 4개 항의 합의사항을 마련했던 작년 6월 첫 회담과 달리 합의문 서명 없이 끝났다.

이런 가운데 일부 전문가들 사이에선 미 정부 내 대표적인 대북 강경파인 볼턴 보좌관이 이번 회담에서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간 확대정상회담 자리에 갑자기 모습을 드러낸 사실에 주목, 회담 결렬과의 연관성을 의심해온 상황이었다.

정 전 장관도 지난 5일 열린 한 간담회에서 ”북미정상회담 둘째 날 확대회담에 볼턴 보좌관이 배석한 게 결렬의 신호였다”며 ”볼턴은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매우 재수 없는 사람”이라고 말했었다.

볼턴 보좌관은 지난해 첫 북미정상회담 추진 과정에서도 ‘선(先)비핵화-후(後)보상‘을 원칙으로 하는 일괄타결 방식의 이른바 ‘리비아식 비핵화’를 거론했다가 북한으로부터 ”사이비 우국지사”란 비난을 들은 적이 있다. 북한은 그간 단계적 비핵화와 그에 대한 미국 측의 보상제공을 요구해왔다.

그러나 이번 2차 북미정상회담 결렬 뒤 미 정부 당국자들은 ‘미국이 정한 방식으로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가 이뤄져야 제재 해제가 가능하다‘는 이른바 ‘빅딜‘을 대북협상의 원칙으로 강조하고 있다. 사실상 볼턴 보좌관이 1년 전 언급했던 ‘리비아식 비핵화’로 미 정부의 대북 접근법이 되돌아간 셈이다.

이에 대해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북한과의 합의에 이르진 못했지만, 우린 세부 입장을 교환하고 여러 쟁점들의 간극을 좁힐 수 있었다”면서 ”미국은 제재 완화 이전에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기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 비핵화 달성 전엔 제재가 유지될 것이라고 말해왔다.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FFVD)가 뭘 의미하는지에 대해선 미국과 국제사회가 공통의 이해를 갖고 있다”면서 ”우린 앞으로 나아갈 준비가 돼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팔라디노 부대변인은 정 전 장관의 ‘볼턴=재수 없는 사람’ 발언 자체에 대한 외교적 반응에 대한 질문엔 ”관련 보도를 본 적이 없다”며 ”(미국 정부로서는)반응이 없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