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2차 북미정상회담 베트남 사실상 확정…배경은?

베트남은 전쟁에서 미국을 이겼다고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다

이달 말로 예정된 2차 북미정상회담을 앞두고 개최지로 베트남이 사실상 확정됐다는 관측이 잇따르면서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1일(현지시간) 베트남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경제모델로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나라라는 점에 주목했다. 

우선 현실적인 측면에서도 베트남은 좋은 선택지다. 김정은 위원장이 다른 도시를 경유하거나, 장거리 여행을 할 수 있는 비행기를 빌리지 않아도 도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베트남은 북미 양쪽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면서도 비동맹국이라 정치적 부담도 덜하다. 

이보다 중요한 건 베트남이 갖는 상징성이다. 베트남은 공산주의 국가 북한이 미국의 적에서 우호적인 파트너로 가는 과정에서 경제적 보상을 어떻게 얻었는지 역할모델이 될 수 있다고 WP는 분석했다. 

다낭은 1975년 3월 공산군에 함락되기 전 베트남 전쟁 당시 미군과 남베트남 동맹국의 중심지였다. 그로부터 44년. 다낭은 매년 외국인 관광객 수백만명을 모래 해변과 호화 호텔, 골프장으로 끌어들이고 있는 베트남의 경제 중심지로 부상했다.

 

 

베트남은 1986년 경제 개혁 정책 ‘도이모이‘(Doi Moi)에 힘입어 사회주의적 시장경제를 창출하는데 성공했다. 도이모이 정책은 공산당 정권을 유지한 채 민간산업 호황을 이끌었고 이는 수출주도형 경제 성장으로 이어졌다. 

WP는 ”김정은 위원장이 베트남 경제 궤적을 기대하고 있을 것”이라며 ”베트남 정부가 북한을 도와주려고 하기 때문에 운 좋게도 북한의 경제 발전 속도는 좀 더 빠를 것”으로 예상했다. 작년 11월 리용호 북한 외무상은 도이모이 개혁을 배우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하기도 했다.  

미국도 베트남 모델에 힘을 싣고 있다. 지난해 7월 베트남 수도 하노이를 방문한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은 김정은 위원장을 향해 ”베트남의 기적은 당신의 것이 될 수 있다”며 ”북한이 베트남 절차를 따를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었다. 미국과의 관계 정상화 이후에 경제 성장을 이룬 베트남의 길을 북한도 걸을 수 있다고 강조한 것. 

물론 베트남과 북한의 정치체제가 완전히 같은 건 아니다. 베트남은 민주주의 국가는 아니지만 독재자 한 명이 주도하는 일당체제는 아니다. 가끔 엘리트들이 논쟁을 벌이기도 하고, 김일성-김정일-김정은과 같이 국가 지도자가 숭배의 대상도 아니다. 이는 북한 경제 개발의 잠재적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 

또 한반도 분단 상황도 독특한 경제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NK 뉴스의 피터 워드 칼럼니스트는 작년 칼럼을 통해 ”남한과 외국 자본에 개방하게 되면, 북한 주민들이 공장 노동자로 취업하게 될 것”이라며 ”북한이 그간 반식민지로 교육해 왔던 남한에 비해 얼마나 낙후돼 있는가 알려지면 북한 체제가 위태로워질 수 있다”고 주장했었다. 

그러나 베트남은 1차 회담 장소였던 싱가포르에 비해 국가 규모나 역사 면에서 훨씬 비슷하다. 게다가 베트남은 전쟁에서 미국을 이겼다고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이기도 하다. 북한이 미국과 화해하고 국제사회에 재합류한다고 해도, 베트남 개혁을 모델로 삼게 되면 북한 정권이 수십년 동안 원했던 ‘미국에 대한 승리’를 주장할 수 있다고 WP는 전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김정은 #북미정상회담 #트럼프 #베트남 #다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