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문학 표절에 대한 기준 정립이 필요하다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작이 표절 논란 끝에 당선 취소됐다

  • 홍형진
  • 입력 2019.01.09 11:53
  • 수정 2019.01.09 11:57
ⓒhuffpost

세계일보 신춘문예 시 부문 당선작이 표절 논란 끝에 당선 취소됐다. 인기 과학 블로거 ‘고든’의 글과 겹치는 부분이 많았기 때문이다. 심사위원들은 처음엔 표절이 아니라고 판단했으나 논란이 지속되자 입장을 바꿨다. “표절의 시비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고 심사의 엄정성을 위해 당선을 취소하기로 결정하였다”고 사유를 전했다.

이 글은 본디 7일 오후에 써서 뉴스톱에 송고한 것이다. 8일 오전에 발행된 원문에는 내가 해당 시의 당선을 문제 삼는 이유가 간략하게 담겨 있다. 하지만 당선 취소가 결정된 시점에 나가는 글에도 남겨둘 이유는 없기에 그 부분은 삭제한다. 그 내용까지 보고픈 이는 아래 뉴스톱 링크를 참고하기 바란다.

 

 

 

표절에 대한 기준 없어, 버티면 그만

문학에서 표절은 뜨거우면서도 애매한 주제다. 누군가를 헐뜯으며 한바탕 화제를 끌기엔 좋으나 막상 시시비비를 가리기란 어렵다. 돌이켜보면 한창 떠들썩했던 표절 논란 대부분이 흐지부지 잊혔다. 우연의 일치라며 잡아떼거나 ‘영향을 받은 건 사실이나 엄연히 내 창작물’이라는 태도로 버티면 그걸로 끝이다.

문학 속성상 표절 여부를 명확히 판정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이거 표절!’이라고 결론 내릴 주체도 없다. 서로 비방하는 걸 극도로 꺼리는 업계 분위기도 한몫하며 문학에 대한 대중의 관심마저 크지 않다. 대중과 언론이 바라는 건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길” 주제일 뿐 건전한 문학 담론이 아니다. 그러니 그냥 버티면 된다.

 

ⓒJacek Kita via Getty Images

 

그나마 신춘문예는 주최측이 있는 경연이기에 사후에 표절을 적발해 당선을 취소한 전례가 몇 차례 있다. 2013년 광주일보 시 부문에선 기성 작가의 작품을 교묘하게 변주한 걸 사후에 적발해 취소한 바 있고, 2003년 동아일보 문학평론 부문에선 “전체적인 논지는 새롭지만 부분적으로 인용을 밝히지 않았다”는 사유로 취소했다. 전자는 의도를 가지고 훔친 것이고, 후자는 실수로 출처 명기를 누락한 것이다. 이번 논란은 아무래도 후자에 가깝다.

반면 등단해서 왕성히 활동하는 기성 작가의 경우는 어영부영 넘어간 때가 많다. 등단 과정은 프로가 지망생을 심사하는 구도가 되어 부담이 덜하지만 등단 이후는 아니다. 표절 여부를 논하기 위해선 프로끼리 날선 공방을 벌일 수밖에 없는데 다들 그를 꺼린다. 시간이 지나면 마치 없었던 일인 양 대하는 일의 반복이었다. 도리어 문제 제기하는 이를 유난한 부적응자 취급하기 일쑤.

그러다 보니 표절에 대한 기준 자체를 마련하지 못했다. 어떤 행위가 표절인지, 어디까지 용인되며 어디부터 문제시될 수 있는지, 타인의 콘텐츠를 모티브 삼거나 활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명료한 기준이 없다. 이번에 논란에 선 당선자가 문예창작과 재학생임을 감안하면 그에 대한 교육조차 부재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세상이 열심히 진보하며 이에 대한 기준을 점차 내면화하는 동안 문학은 발맞추지 못한 것이다.

 

문학 외엔 죄다 잡문?

아울러 지적하고 싶은 것은 문학 외의 다른 글을 ‘잡문’이라고 부르며 낮춰 보는 태도다. 당장 나부터 ‘이제 잡문 그만 쓰고 소설에 매진하라’는 말을 몇 차례나 들었다. 지난달엔 「문학의 몰락, 잡서의 득세」라는 제목의 기사까지 뜰 만큼 이런 심리는 문학계에 만연해 있다. 문학과 다른 글 사이에 위계를 두는 것이다.

오만한 태도다. 그동안 불거진 표절 논란을 살펴보면 블로그에서 아이디어나 모티브를 얻은 경우가 제법 된다. 고매한 문인이 보기엔 죄다 잡문일 수 있겠으나 실제론 동등한 지위를 갖는 글이다. 당연히 저작권도 법으로 인정된다. 이번에 당선자가 차용한 고든 블로그의 좌측 하단을 보면 저작자 명시 필수, 영리적 사용 불가 둘을 지키는 선에서 저작물을 사용할 수 있다고 공지돼 있다. 당선자는 둘을 모두 어긴 셈이다.

수많은 작가와 지망생이 이를 무시한다. 문학 작품을 베끼면 표절임을 알기에 주의하지만 다른 종류의 글을 참고할 때엔 그렇지 않다. 그나마 단행본, 신문 기사 등을 활용할 때에는 눈치껏 출처를 명기하지만 블로그, 게시판 포스트 등은 다르게 대할 때가 잦다. 그 또한 누군가가 공들여 쓴 저작물이고 법적 권리를 가짐에도 낮춰 보는 것이다. 잡문 취급하는 심리 때문인 듯한데 자성해야 할 대목이다.

 

문학도 시대를 반영하며 진보해야

정리하자. 이번 건을 두고 표절이냐고 물으면 나는 그렇다고 답하겠다. 응당 지켜야 할 기본을 지키지 않았기 때문이다. 악의를 가지고 훔친 것이냐고 물으면 그렇게 보지는 않는다고 답하겠다. 나름의 오리지널리티가 있고 방법 또한 너무 순진했다. 하지만 그것이 면죄부를 줄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경연에서는 무엇보다 공정성이 우선시돼야 마땅하다. 등단이 우리 문학 풍토에서 가지는 의미를 감안할 때 더욱 그렇다. 딱하다, 가능성 있다 등의 이유로 묵인하는 건 공정하지도 않고 그다지 문학적이지도 않다.

물론 이는 나 개인의 견해일 뿐이다. 정반대 시선에서 의견을 개진하는 사람도 얼마든지 있을 테고 당연히 존중한다. 하여 표절이라고 확언하지 않겠다. 그저 이것 하나만 이야기하고 싶을 뿐이다. 문학 표절에 대한 기준을 정립해서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는 것. 그러지 않으면 이와 같은 논란이 계속 반복될 게 빤하다. 잠깐 시끄럽다가 흐지부지 넘어가는 꼴을 언제까지 더 봐야 하나?

혹자는 이야기한다. 문학, 특히 시에도 그런 기준을 엄격하게 들이대면 세상이 너무 팍팍해지지 않겠냐고. 동의하지 않는다. 문학 또한 우리 사회의 일부이기에 함께 준수해야 할 지점은 존중하고 지키는 게 옳다. 그래야 시대를 반영하며 발맞춰 진보할 수 있다. 현재로선 문학 홀로 시대에 뒤처져 고립됐다고 생각하는 게 비단 나뿐일까?

* 이 글은 뉴스톱필자의 블로그에 게재되었습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문학 #표절 #홍형진 #세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