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KT 직원들은 이번 화재사태에 “터질게 터졌다”고 말한다

이런 사태는 또 일어날수 있다고 지적했다

케이티(KT)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로 서울 한복판이 1980년대로 돌아간 듯한 상황이 발생한 가운데, 케이티 직원들은 “올 게 왔다”,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화했다”는 반응을 보였다. 노조 등은 “통신 문외한들이 ‘낙하산’으로 케이티 최고경영자로 와 통신의 공공성보다 수익성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경영을 하다가 이번 사태를 불렀다”며 “이번에 단호한 책임 추궁이 없으면 이런 사태는 언제든지 또 일어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뉴스1

 

26일 케이티 새노조는 성명을 내어 “통신 경영에서 결코 놓쳐서는 안 되는 게 통신 공공성이고, 이를 위해서는 재난 상황에도 버틸 수 있는 여유 용량의 장비운용은 필수이고, 이는 곧 장비 이중화를 통해 우회 회선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시설을 적절히 분산 배치하는 것”이라며 “다시 말해, 통신 공공성의 핵심은 ‘투자비가 더 들더라도 만약의 사태를 방지하기 위한 충분한 투자와 철저한 관리’이고, 통신사 경영은 설혹 완전 민영화가 되었다 하더라도 수익과 공공성에 관한 고도의 균형감을 요구받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하지만 민영화 이후 통신사들은 통신경영도 다른 기업과 똑같이 수익 극대화를 추구하는 것이며, 통신 공공성을 구시대의 유물로 간주했다. 이를 위해 곳곳에 분산돼 있던 통신 장비를 고도로 집중시켰고, 장비가 빠져나가면서 비게 된 전화국 건물은 통째로 매각하거나 부동산을 개발해 오피스텔·호텔 등 임대업으로 돌렸다. 특히 이석채·황창규 등 통신 문외한인 낙하산 경영진들은 통신 공공성을 불필요한 비용요소로 취급했고, 이번 통신구 화재로 인한 통신대란은 그러한 인식의 필연적 귀결”이라고 꼬집었다.

케이티 직원 모임인 케이티 전국민주동지회도 성명을 내어 “아현국사 한 곳의 통신구에서 발생한 화재가 서울 중심지를 포함한 5개구 지역의 통신을 모두 마비시킨 이유는 민영화 이후 케이티가 지속적으로 추진해 온 수익성 위주의 경영에 그 근본원인이 있다”며 “비용절감에만 집착한 황창규 회장의 책임”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지적은 직장인 익명 커뮤니티 ‘블라인드’ 등에도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한 직원은 “통신회사가 본분을 잊고 멍쩡한 장비 꺼가며 절감·폐국·통합 등 알량한 숫자놀음만 하고, 엉뚱한 미래사업에만 치중하면 앞으로 두번이고 세번이고 이런 일은 얼마든지 또 일어난다”고 했다. 다른 직원은 “비용 절감한다고 이중화 장비 돌리고 표창받는 거 보고는 저러다 사고나지 싶었는데, 이런 사고 나고 바로 우회도 못하고 참 씁쓸하네요”라고 올렸다.

실제로 이번에 통신구 화재가 난 케이티 아현국사는 서울 마포구·서대문구와 중구·용산구 일부 등 광범위한 지역을 커버하는 곳인데도 팀장급 이상 관리자조차 없는 일명 ‘폐쇄형 전화국’으로 운영돼온 것으로 드러났다. 애초 케이티는 교환기와 네트워크 장비 등 통신망 시설을 갖춘 전화국을 전국에 촘촘하게 설치해 운영하며 규모에 따라 지사장(상무보)·지점장(상무보·부장)을 발령해왔는데, 비용절감 목적으로 전국의 지사·지점을 통폐합하면서 상당수를 관리자 없는 ‘전화국’으로 전락시켰다. 아현국사는 서대문지사장 관할로 편입했는데, 서대문지사 직제에는 은평지점과 신촌지점만 있을 뿐 아현국사 관리조직은 없다.

케이티는 민영화 이후 잇단 구조조정을 통해 6만8천여명에 이르던 임직원을 2만3천여명 수준으로 줄였다. 황 회장 취임 뒤에도 2014년 인건비 절감 목적으로 8300여명을 한꺼번에 정리했고, 이후에도 해마다 희망퇴직을 시행하고 있다. 인건비 절감이 목적이다 보니 연봉이 높다는 이유로 네트워크 관리 등에 오랜 근무 경험을 가진 기술자들도 희망퇴직 대상에 대거 포함됐다.

설비투자도 크게 줄였다. 2013년 3조3130억원에 이르던 케이티의 연간 설비투자(케펙스)가 지난해에는 2조2500억원까지 줄었고, 올해도 가이던스(예상치)는 2조3천억원이지만 3분기까지 집행된 금액은 1조1080억원에 그쳤다.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이날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아현국사 통신구 화재와 관련해 “사업자도 소홀했고, 정부는 말할 것도 없다”며 “주파수는 국가 재산이고, 통신사가 그것을 빌려서 사업을 하는 공공재 성격이 강한데, 개별 기업의 경영 활동에 맡겨왔다. 통신 공공성 측면에서 멀리 보고 확실히 점검하겠다”고 말했다. 정부가 통신사의 네트워크 구축·운영을 적극 감시·관리하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유 장관은 이어 통신 3사 최고경영자들을 케이티 혜화전화국으로 불러 대책회의를 가졌다.

케이티는 이런 지적에 대해 “황창규 회장의 비용절감과 설비투자 효율화 노력이 없었다면, 케이티는 이미 살아남기 어려운 처지로 몰렸을 것이다. 언론 등이 아현국사에는 왜 우회로와 화재방지 시스템 등을 제대로 갖추지 않았느냐고 질책하는데, 그렇게 하면 이용자들의 통신비 부담이 하염없이 늘어난다”고 반박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노동조합 #kt #민영화 #kt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