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형' 폐허를 발견하다

광주와 부산에서 새로운 유형의 폐허를 보았다

폐허가 된 파르테논 신전 (1852년)
폐허가 된 파르테논 신전 (1852년) ⓒEugene Piot
ⓒhuffpost

지난 가을, 광주와 부산에 다녀왔다. <광주비엔날레>와 <부산국제영화제> 때문이다. 올해 <광주비엔날레>는 위성 전시의 일환으로 ‘파빌리온 프로젝트’를 새로 선보였다. 필리핀, 핀란드, 프랑스의 문화기관이 광주에 각자의 거점을 마련해 독립적인 전시를 여는 프로젝트였는데 내 목표는 ‘팔레 드 도쿄(Palais de Tokyo)’였다.

팔레 드 도쿄는 혁신적인 전시 프로그램을 짜면서 소장품을 전혀 갖지 않는 독특한 성격 때문에 유럽 내에서도 가장 진보적인 동시대 미술관으로 손꼽히는 곳이다. 그 명성에 홀려 전시를 보러 갔는데 정작 내 눈길을 끊임없이 사로잡은 건 따로 있었다. 바로 전시 공간으로 잡힌 광주시민회관이었다.

1971년 완공된 광주시민회관은 광주의 근현대사가 축적된 곳이다. 광주 지역 건축가인 임병배가 설계해 당시 한국건축상 본상을 수상할 만큼 건축적인 평가가 좋았다. 시민 결혼식을 치르는 등 문화 공간을 표방했지만 주된 쓰임새는 관이 주도하는 행사를 위한 실내 집회 시설이었다. 1980년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에 대항한 시민군이 머물면서 이 건물에 역사성이 깃들었다.

안전 상의 이유로 철거하려 했지만 2010년 보존 및 리모델링이 결정되었고 광주시민들이 심사에 직접 참여하는 유래 없는 공모 절차를 거쳐 스튜디오 케이웍스의 김광수 소장이 프로젝트를 맡았다. 참고로 김광수 소장은 올해 ‘대한민국 공공건축상’에서 대상을 받은 ‘부천아트벙커B39’를 맡은 건축가다. 부천시 삼정동에서 늘 논란이 되었던 폐쓰레기소각장을 성공적으로 재생해 상을 탔지만 그의 과거작인 광주시민회관은 운이 참으로 없었나보다.

시민문화공간으로 쓸 목적으로 국·시비 39억원을 들여 2015년 재개관했지만 건축물은 건축가가 의도한 프로그램대로 전혀 작동하지 않았다. 평상시 공연이나 행사가 없더라도 대중에게 완전히 개방되어야 했지만 관리 부실, 그 놈의 행정적 무관심 속에 방치되어 광주시에서 공간 일부를 사무실로만 사용하고 있었다. 이번 전시 때문에 정말 오랜만에 대중에게 전격 ‘개방’됐지만 후속 행사가 없으므로 이제 다시 전처럼 잊힌 장소로 복귀할 예정이다. 결국 또다시 폐허가 되는 것이다.

10년의 사용, 그리고 전투, 이후 폐허가 된 건물의 질감을 그대로 살려 재생한 공간이 다시 폐허가 된 광주시민회관. 요즘처럼 공간 재생이 인기를 끌고 도시적, 국가적 과제로 떠오르는 시대에 이곳에서 목격한 것은 재생 이후의 디스토피아, 이미 와버린 미래였다.

이중의 폐허화를 겪은 장소는 처음 들어올 때부터 방문객을 압도하는 굉장한 힘을 가지고 있었다. 사실을 고하자면 서늘하고도 외롭고, 측연하면서도 의연한, 옛것과 새것이 균형을 잡은 상태에서 생명력을 빼앗긴 그 하얀 콘크리트가 내뿜는 복잡미묘한 기운 때문에 전시에 집중하지 못할 정도였으니.

광주시민회관에 설치한 일부 작품 전경
광주시민회관에 설치한 일부 작품 전경 ⓒ팔레 드 도쿄

<부산국제영화제>를 위해 오랜만에 찾은 부산은 아주 깔끔했다. 특히 해운대와 마린시티, 센텀시티로 연결되는 도시의 높은 풍광은 매우 현대적이고 시원시원했다. 하지만 그 안정감도 잠시, 태풍 콩레이가 들이닥치면서 광풍과 폭우가 불자 가장 화려했던 고층 건물군은 위험하기로도 부산 제1순위가 되었다.

9층에 자리잡은 내 호텔 객실 창문도 스토커가 미친 듯이 방문을 두드리는 듯 밤새 울부짖었는데 50층을 넘나드는 해안가 마천루야 상황이 뻔했다. 태풍이 한국을 빠져나가고 평온해졌을 때 거리에 나와보니 온갖 물건과 사인물이 길거리에 찰싹 붙어 널부러져 있었다. 자주 보는 태풍의 뒷모습이다. 하지만 뉴스를 들어보니 부산에는 의외의 피해 공간이 있었다. 해안가의 마천루 1층이었다.

매년 태풍이 올 때마다 마천루의 1층 공간은 쑥대밭이 된단다. 성난 파도가 넘쳐 1층을 갈아엎고 곧 그곳은 아비규환으로 변한다. 바닷가 조망권을 확보하려 무리하게 해안가에 부지를 붙인 탓이다. 유일한 해결책은 장벽을 높이는 건데, 정작 피해를 입는 1층 상인들이 조망권을 지키려고 반대한단다.

부산 해운대구 공무원은 “애초 이곳에다 영화의 거리 조성과 태풍 등에 대비해 방수벽 높이를 1.8m로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인근 아파트 상가 등에서 주변 경관이 가려져 관광객들이 오지 않는다고 민원을 제기해 1.3m로 낮췄다”고 말했다.

도시의 모든 부분은 멀쩡한데 정작 부산의 번영을 상징하는 마천루, 부산을 방문하는 사람들이 감탄하던 고층 건물군의 밑바닥 1층에는 매년마다 폐허의 악몽이 찾아왔던 것이다. 잠시 모든 것이 쓸려 내려가 폐허가 되었다가 다시 아무 일도 없었다는 양 복구해 사람을 맞이하는 현상의 반복이란 이 얼마나 우습고 아이러니한 것이던가.

태풍으로 엉망이 된 마린시티 1층 상가
태풍으로 엉망이 된 마린시티 1층 상가 ⓒ연합뉴스

지금까지 내가 생각하는 폐허는 낭만적이거나, 음습한 곳이었다. 20세기 초에 흑백으로 찍어놓은 파르테논 신전의 모습으로 대표되는 황폐한 과거의 영광은 전자다. 영국의 낭만주의 화가, 존 컨스터블(John Constable)의 풍경화 ‘올드 새럼(Old Sarum)’은 그 이미지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옛 유적이 자신의 화려한 시간을 몇 번이고 보낸 후 풍경처럼 흩날리는 것이다. 10년 전 튀니지로 여행을 떠났을 때 마주했던 카르타고의 옛 유적지의 광경은 아직도 나를 사로잡고 있다. 햇빛이 강하게 바다 표면에 튀며 점점 기울어져 가는데 돌무더기만 가득한 그 땅엔 오직 옛 제국의 이야기만 맴돌고 있었다.

존 컨스터블의 '올드 새럼'
존 컨스터블의 '올드 새럼' ⓒWikimedia Commons

음습한 폐허는 세계 곳곳에 많다. 체르노빌 사건이 터진 지 30년이 지났지만 사고가 일어난 당일의 끔찍한 기억을 온 몸으로 간직한 건물 사진을 보면 나도 모르게 숨이 턱턱 막힌다. 소련의 해체 이후 CIS 지역에는 방치된 옛 사회주의 건물이 널려 있다. 세계 언론에서 기이한 건물을 꼽을 때마다 늘 거론되는 평양의 류경호텔을 보라. 시간이 멈춘 풍광이 뿜어내는 서늘함은 가히 초현실적이다. 이런 폐허의 모습은 경우에 따라 숭고미(sublime)의 관점으로 해석되곤 한다.

2018년 체르노빌 지역의 교실 사진
2018년 체르노빌 지역의 교실 사진 ⓒVladimir Migutin

하지만 내가 겪은 광주와 부산의 폐허는 이 어느 경우에도 해당하지 않았다. 폐허를 재생한 후 다시 폐허가 되어버린 공간이 분출하는 복잡미묘한 힘은 과연 낭만적인가? 사람들이 선망하는 부산의 명소가 태풍만 불었다 하면 만신창이가 되었다가 다시 빠르게 복구되는 양상은 사람의 손길을 느낄 수 없는 두려운 폐허와 얼마나 닮아있는가? 시간이라는 굴레가 만든 자연스런 폐허의 법칙은 두 곳에 적용되지 않는다.

결국 폐허를 만든 주체는 사회의 구성원이다. 무책임한 관공서, 돈과 안전을 맞바꾼 상인들, 그리고 이런 현상을 말없이 지켜보는 무관심한 시민들…광주와 부산에서 새롭게 찾아낸, 말로 형용할 수 없는 기이한 폐허 공간에는 숭고미가 자리잡을 심리적 공간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한숨과 두통의 공간만 끝없이 생성하고 있었다.

어쩌면 이것이 한국형 폐허일까? ‘폐허선진국’으로 새로운 폐허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담당하는 한국에 앞으로 어떤 신생 폐허가 나타나련지, 그 풍부한 가능성을 생각할 때면 나는 오직 그것이 진정 두려울 따름이다. 

* 이 글은 <ARENA HOMME+>와 PUBLY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부산국제영화제 #마린시티 #광주시민회관 #광주비엔날레 #폐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