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한국에 처음 들어오는 공중급유기에 대해 알아보자

공군 전투력을 획기적으로 상승시킨다

12일부터 한국 공군에 공중급유기가 도입된다. 공중급유기는 이날 오후 먼저 김해 공군기지에 도착해 수락검사(품질검사 등)를 마치고 다음 달부터 실전 배치될 예정이다. 이번에 도입되는 공중급유기는 프랑스 에어버스사의 A330 MRTT이다. 이 공중급유기는 내년에 3대가 더 들어올 예정이며 4대 도입에 예산 약 1조5천억원이 든다.

 

공중급유기는 왜 필요한가?

전투기의 작전 반경은 생각보다 넓지 않다. 전투기의 연료 소모가 엄청나기 때문에 긴 시간 비행이 힘들기 때문이다. 현대군이 항공모함 등을 이용해 작전 지역까지 전투기를 싣고 이동한 뒤 전투기를 출격시키는 이유도 작전 반경의 제한 때문이다.

 

 

그런데 공중급유기가 있으면 작전반경의 제한이 줄어들게 된다. 국방일보의 보도에 따르면 공중급유기의 도입으로 작전시간이(F-15K 기준) 한시간 이상 늘어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비교적 먼 거리에 있는 작전지역, 예를 들어 독도의 경우는 기존 30분에서 1시간 30분, 이어도는 20분에서 1시간 20분으로 획기적으로 늘게 된다. 물론 급유에 재급유를 이어간다면 사실상 ‘무한대’로 작전이 가능하게 된다. 국방위원회 소속 김종대 정의당 의원이 공중급유기 4대 도입이 ”전투기 20대를 도입하는 것과 같은 획기적인 전투력 강화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장점은 여기에만 있지 않다. 전투기를 포함한 항공기는 이륙제한중량이 운행제한중량보다 낮다. 운행에는 문제가 없지만 이륙 제한 때문에 중량을 낮춰야 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공중급유기가 있으면 연료량을 조금 줄이고 더 많은 무장을 탑재한 뒤 일단 이륙하고 이후에 공중급유기를 통해 연료를 채울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전투기의 효율성도 더 높아진다.

 

공중급유기는 어떻게 하늘에서 급유하나?

공중급유기의 급유 방식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붐방식과 프로브방식인데 붐방식은 말 그대로 붐(막대)이 급유대상 항공기까지 쭉 내려와 꽂히는 방식이다. 조종이 어렵기 때문에 붐 방식의 공중급유기에는 붐만 별도로 조종하는 승무원이 탑승해 조종한다. 붐 방식은 급유봉이 프로브방식에 비해 굵기 때문에 빠른 급유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붐 방식이 ‘막대기‘로 급유한다면 프로브 방식은 긴 호스로 급유한다. 급유기가 긴 호스를 늘어뜨리면 급유받을 전투기가 급유호스에 직접 연료관을 갖다 대는 방식이다. 붐 방식은 한 번에 한 대의 전투기에만 급유할 수 있는 반면 프로브 방식은 한 번에 여러대에 급유할 수 있다. 다만 ‘붐’보다는 좁은 ‘호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급유 시간이 비교적 오래 걸린다.

 

 

 

에어버스 A330 MRTT의 특징은?

에어버스 A330 MRTT는 민항기인 A330-200을 개량해 만든 다목적 공중급유기로 길이 58.8m에 날개 폭 60.3m, 동체 폭이 5.6m에 달한다. 전 세계 차세대 급유·수송기 중에서 가장 큰 항공기에 속한다.

 

ⓒHuffpost KR

 

연료만 111톤을 실을 수 있고 45톤의 화물도 적재 가능하다. 최대 300여명의 승객을 태울 수 있어 수송기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급유 방식은 붐(Boom)과 프로브(Probe) 방식 모두 가능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뛰어나다.

한편 공군은 공중급유기 도입을 앞두고 조종사와 정비사, 급유통제사를 선발해 사전 교육을 마쳤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공군 #에어버스 #공중급유기 #A330 MRT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