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이용의 노래 '잊혀진 계절'은 왜 하필 '10월의 마지막 밤'이란 가사를 넣었을까

작사가의 사연이 있었다.

  • 강병진
  • 입력 2018.10.31 11:49
  • 수정 2020.11.01 16:52

10월 31일이다. 매년 이 날이면 라디오에서는 ‘잊혀진 계절’이란 노래가 나온다. 작곡가 이범희와 작사가 박건호가 만들었고, 가수 이용이 부른 노래다. 1982에 발표되어 그해 MBC 최고인가요상을 받았다.

당시에도 최고의 히트곡이었지만, 매년 10월 31일마다 이 노래가 흘러나오는 이유는 가사에 있다.

″지금도 기억하고 있어요
시월의 마지막 밤을
뜻모를 이야기만 남긴 채
우리는 헤어졌지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그날의 쓸쓸했던 표정이
그대의 진실인가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잊혀져야 하는 건가요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은
나에게 꿈을 주지만
이룰 수 없는 꿈은 슬퍼요
나를 울려요”

노래의 첫 부분부터 ”시월의 마지막밤”이 나온다. 노랫 속 화자가 10월의 마지막 밤을 보내는 중은 아닌 것 같다. 과거의 연인과 헤어진 날이 10월의 마지막 날이었고, 나중에 그날을 회상하는 내용이다. 과거의 연인이 헤어지자고 말한 것 같지는 않다. ”쓸쓸했던 표정”에서 마음의 ”진실”을 알게된 화자는 ”한마디 변명도 못하고” 헤어졌을 것이다. 하지만 ”언제나 돌아오는 계절”마다 그때를 떠올린다. 이 노래의 가사 때문에 이후 10월의 마지막날은 과거의 연인을 추억하는 날이 되었다. 그와 헤어졌던 시기가 1월이든, 8월이든 상관없이 말이다.

ⓒ지구레코드

 

그런데 이 노래의 작사가는 왜 하필 ’10월의 마지막 밤’이란 가사를 넣었던 걸까? 다른 달도 아니고 ’10월‘이었기 때문에 이 노래가 흥행할 수 있었을지도 모른다. 하지만 다른 달을 넣어도 흥행했다면, 사람들은 4월이나 8월의 마지막 날에도 ‘잊혀진 계절’을 듣지 않았을까?

 

ⓒ동아일보

1991년 11월 ‘동아일보‘의 ‘가요100년 그노래 그사연 <15> 잊혀진 계절’ 기사에 따르면, 이 노래는 작사가 박건호의 사연을 담은 노래였다.

“1980년 가을 과로와 신장염으로 성남에 있는 한 병원 병상에 누워 노랗게 빛바랜 은행잎을 지켜보며 점점 ‘잊혀진 계절’의 의미를 느끼기 시작했지요. 만났다가 헤어지는 세상 삶의 굴레에 씌워져 나 자신도 가게 되었구나하는 감상에서 이 노래말은 발상된 것입니다.”

1991년의 기사에서 감춰진 사연 중 하나는 가사 속의 이별이 실제 박건호 작사가가 겪은 이별이었다는 것이다. 2013년 ‘오마이뉴스’가 보도한 박건호 작사가와의 과거 인터뷰를 발췌한 기사에 따르면, 그가 실제로도 10월의 마지막날에 이별한 건 아니었다. 비가 내리는 9월의 마지막 밤에 헤어졌다고 한다. 그래서 노래 가사도 처음에는 ‘구월의 마지막밤을’이었다.

하지만 원래 가수 조영남에게 주려고 했던 이 노래는 당시 신인이었던 이용에게 돌아간다. 이 과정에서 음반발매시기가 9월에서 10월로 늦춰졌다. 그래서 박건호 작사가가 직접 ‘시월의 마지막밤‘으로 가사를 고친 것이다. 시기가 맞았다면, 이후 ‘잊혀진 계절’은 9월의 마지막 날에 듣는 노래가 되었을 것이다.

박건호는 ‘잊혀진 계절‘외에도 ‘단발머리‘와 ‘모나리자‘, ‘빙글빙글‘, ‘슬픈인연‘, ‘우린 너무 쉽게 헤어졌어요’ 등의 가사를 썼다. 신장과 심장수술을 받은 후 투병생활을 하다가 지난 2007년 12월, 세상을 떠났다.

노래를 부른 가수 이용은 지금도 10월 31일이면 바쁘다. 이날 ‘스포츠 경향’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용은 “10월의 일정은 대부분 비슷하다”며 ”.하루에 평균 2개 정도 행사가 있다”고 말했다. 

아래는 아이유가 불렀던 ‘잊혀진 계절’이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엔터테인먼트 #가수 #음악 #이용 #잊혀진 계절 #박건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