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사우디 에너지장관이 '석유를 무기로 쓰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책임있는 역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 허완
  • 입력 2018.10.22 17:04
  • 수정 2018.10.22 17:08
ⓒSergei Savostyanov via Getty Images

사우디아라비아 왕실이 언론인 자말 카쇼기 살해에 개입했다는 의혹에 대해 미국과 서유럽 국가들의 규탄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사우디 정부가 석유를 서방 국가들에 대한 경제적 무기로 활용할 뜻이 없다고 선을 긋고 나섰다.

사우디 에너지장관 칼리드 알-팔리는 22일 1973년 석유금수 조치와 같은 식의 석유무기화 조치가 되풀이 될 가능성을 묻는 러시아 타스통신의 질문에 ”그럴 의사가 없다”고 말했다고 로이터가 보도했다.

미국 의원들이 사우디에 대한 제재 가능성을 언급하고 나선 가운데 지난주 사우디 외교부는 사우디를 겨냥한 제재 등에 ”더 큰 행동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천명한 바 있다.

이 때문에 사우디가 석유를 경제적 무기로 활용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됐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이럴 경우 국제유가가 배럴당 80달러에서 400달러 이상으로 폭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하기도 했다.

ⓒBloomberg via Getty Images

 

팔리 장관은 카쇼기 기자의 사망을 둘러싼 논란을 언급하며 ”이 사건은 지나갈 것”이라며 ”그러나 사우디아라비아는 매우 책임감 있는 국가이며, 수십년 동안 우리는 석유 정책을 책임감 있는 경제적 수단으로 사용해왔으며, 석유를 정치와 분리시켜왔다”고 말했다.

그는 ″에너지장관으로서 나의 역할은 우리 정부의 생산적이고 책임있는 역할을 이행하며 그에 따라 세계 에너지 시장의 안정을 통해 세계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지난 15일 돌연 다음달부터 석유 생산량을 일일당 130만배럴 늘리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17일에는 사우디 국영 석유회사 아람코가 동부 원유 수출항구를 통한 원유 수출량을 일일 300만배럴 늘렸다고 밝혔다. 팔리 장관은 아람코 이사회 의장도 겸하고 있다.

사우디 정부의 이같은 조치는 이란에 대한 제재가 재개됨에 따라 국제유가가 급등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는 가운데 나온 것이다. 예고했던 대로 미국 정부는 11월5일부터 이란에 대한 제재를 복원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이란산 석유 및 석유제품 구입 등을 제한하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이란은 석유수출국기구(OPEC) 내에서 세 번째로 많은 원유를 생산하는 국가다.

ⓒBloomberg via Getty Images

 

팔리 장관은 사우디의 증산 노력에도 불구하고 이란에 대한 제재가 복원되면 국제유가가 오르지 않을 것이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이란에 대한 제재가 시행되면 이란의 (원유) 수출이 어떻게 될지 그 누구도 모른다. 두 번째로, 리비아, 나이지리아, 멕시코, 베네수엘라 같은 다른 국가들에서도 (생산량이)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

그는 ”일일당 300만배럴(에 달하는 생산량)이 사라지면 우리가 그 규모를 커버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는 사우디가 원유 생산량을 일일당 현재 1070만배럴에서 1200만배럴로 늘릴 여력을 가지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 같은 OPEC 내 동맹국들이 추가로 20만배럴을 증산할 수는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1973년 ‘1차 석유파동’은 전 세계 경제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쳤다.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 사이에 벌어진 4차 중동전쟁 직후 중동의 석유 수출국들은 미국과 영국, 캐나다, 일본, 네덜란드 등을 겨냥해 석유 수출을 금지하는 조치를 단행했다. 이에 따라 국제유가는 네 배 가까이 폭등했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미국 #이란 #사우디아라비아 #자말 카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