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목포신항에 있는 세월호 선체는 앞으로 이렇게 처리된다

보존 범위부터 장소, 공간 활용방안 등 정해야 할 내용이 많다.

ⓒ뉴스1

세월호 참사 4주기를 하루 앞둔 15일, 목포신항에는 추모객 2500여명이 모여들었다. 추모객들은 노란 리본이 만장처럼 펄럭이는 부두 안으로 들어가며 “저렇게 큰 배가 넘어져 부렀어”라고 혀를 찼다. 선체 100m 앞에 멈춘 이들은 녹슬어버린 선미 갑판과 아직도 선명한 청해진 로고를 올려보며 그날의 아픔을 떠올렸다. 추모객 김희진(50·경북 포항)씨는 “이젠 저 배를 ‘국가의 의무’를 되새기는 상징으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세월호 참사는 국가가 국민을 보호할 의무를 방치했을 때 어떤 비극이 일어날 수 있는지 보여주는 상징이었다. 그래서 그 참사를 낱낱이 보여주는 현장인 선체를 어떻게 처리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선체조사위원회(선조위)는 지난 2월 미수습자 추가 수색과 사고 원인 정밀 조사를 위해 선체 바로세우기(직립) 작업에 들어갔다. 선체는 부두 60m 안쪽에 수평 방향으로 옮겨졌고, 나중에 선체를 떠받칠 좌현 쪽과 선저 쪽의 받침대(리프팅빔) 33개를 연결하는 공사를 마쳤다. 5월31일에는 1만t급 해상크레인을 동원해 선체를 똑바로 세운다. 선조위는 6월 안에 선체 처리 계획을 세우고, 7월까지 가족·국민에게 보고해 활동 기한인 8월6일까지 종합보고서에 담을 예정이다.

선체 처리 방안엔 △공간 활용 방안 △보존 범위 △보존 장소 △투입 예산 등을 담아야 한다. 먼저 선체를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지가 논의의 출발점이다. 대체로 기억·추모·치유·교육 등으로 의견이 모아지고, 큰 이견이나 쟁점은 없다. 여태껏 제시된 의견으로는 국민안전교육관, 세월호치유센터, 희생자추모공간 등이 있다.

보존 범위를 두고는 다양한 방안이 나온다. △보강해 원형 복원·보존 △객실 등 부분 보존 △닻·선수 등 상징물 보존 △녹여 새로운 형태로 보존 등이다. 활용 방안, 구조 보강, 이동 방법이 맞물려 있어 국민의 합의에 이르기까지 격론이 예상된다.

보존 장소는 목포, 안산, 진도, 인천, 제주 등 5곳이 거론된다. 주민 여론과 비용이 변수이고, 지방선거를 앞두고는 결정이 어려울 수 있다. 진도군은 지난 3월 공청회를 여는 등 발 빠르게 움직였다. 진도군에선 현장성, 상징성을 살릴 수 있다는 찬성론과 지역의 인상이 어두워진다는 반대론이 맞섰다. 목포시가 같은 시기에 시민사회단체의 의견을 물었더니 목포에 보존하기를 희망한다는 의견이 절반을 넘었다. 반면, 안산시는 추모공원 조성조차 쉽지 않은 현실이라며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인천과 제주에선 논의가 아직은 수면 아래에 있다. 세월호는 길이 148m, 너비 22m의 대형 여객선이다.

정성욱 4·16가족협의회 선체인양분과위원장은 “선조위 안이 나오면 입장을 공식적으로 밝히겠다. 우리의 원칙은 여태껏 바뀐 적이 없었고, 국민 모두가 이를 알고 있지 않으냐”고 말했다. 4·16가족협의회는 그동안 “인양된 세월호 원형을 보존해 기억과 추모의 공간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김형욱 선조위 대외협력관은 “어디에, 얼마나 보존하느냐보다 그 공간 안에 어떤 내용을 담느냐에 초점을 맞추려 한다. 선조위가 결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대통령과 국회에 처리 방안을 건의하려 한다”라고 설명했다.

선조위는 4월까지 선체처리안을 마련할 계획이었으나 지난 1월 발주한 연구 용역 결과가 늦어지면서 예정보다 더디 가고 있다. 오는 20일쯤 보고서를 받으면 선조위 안을 만든 뒤 유가족과의 협의, 지방정부들과의 논의, 국민 여론조사 등을 거친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뉴스 #사회 #세월호 #목포신항 #세월호 선체조사위원회 #보존 #세월호 선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