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뉴욕 타임스’ 순국 100여년 만에 유관순 ‘부고’ 기사

‘한국 독립을 위해 싸운 10대 순교자’라는 제목의 기사다.

ⓒFrankvandenBergh via Getty Images

미국 뉴욕 타임스가 “한국 독립을 위해 싸운 10대 순교자”라는 제목으로 유관순(1902~1920) 열사를 추모하는 기사를 실었다.

이 신문은 29일 인터넷판 첫 페이지에 실은 기사에서 “1851년 창사 이래 뉴욕 타임스의 부고 기사(obituary)는 주로 백인 남성들에 관한 것이었다. 이제 주목할 만한 여성들을 추가하려 한다”며 유관순에 대한 기사를 쓴 이유를 설명했다. 

뉴욕 타임스는 “1919년 봄, 한국의 독립을 위한 평화적 시위가 일어났을 때 유관순은 민족의 집단적 자유를 갈망하는 운동의 얼굴이 됐다”고 평가했다. 이어 유관순이 이화학당에서 시위에 참가하고, 고향 충남 천안에 독립선언서를 반입해 만세운동을 이끈 것을 소개했다. 이 신문은 유관순이 서대문형무소에 수감돼 고문을 당하면서도 수감자들의 석방과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기개를 보였다고 전했다. “내 손톱이 빠져나가고, 내 귀와 코가 잘리고, 내 손과 다리가 부러져도 그 고통은 이길 수 있사오나 나라를 잃어버린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라던 발언도 소개했다. 1920년 9월28일 순국 직전에 “일본은 패망할 것”이라는 말을 남긴 사실도 전했다.

기사는 이어 유관순의 출생과, 당시 개화한 그의 집안 분위기, 이화학당에 진학한 배경도 소개했다. 또 유관순의 집안이 3대에 걸쳐 독립운동가 9명을 배출했다고 했다. 하토야마 유키오 전 일본 총리가 2015년 8월에 서대문형무소를 방문해 무릎을 꿇고 식민 지배를 반성한 일도 전했다.

이 기사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이 2015년 이화여대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으면서, 유관순 열사를 언급하며 폭력이 한 사람을 죽일 수는 있어도 그들의 기억과 이상을 죽일 수는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그를 잔다르크에 비유했다고 전했다. 

뉴욕 타임스는 탁월한 업적을 세웠거나, 충분히 기억될 만한 삶을 살았는데도 그동안 남성 중심 문화 속에서 제대로 평가받지 못하고 자사 부고 기사에서 다루지 않은 여성들을 ‘세계 여성의 날’인 이달 8일부터 조명하고 있다. ‘더 이상 빠트리지 않겠다’가 이 시리즈의 제목이다. 여성으로서는 최초로 1995년에 에베레스트를 무산소 등정한 영국인 앨리슨 하그리브스(1962~1995), 제인 에어를 쓴 영국 작가 샬럿 브론테(1816~1855), 초코칩 쿠키를 ‘발명’한 미국인 루스 웨이크필드(1903~1977) 등이 소개됐다. 이 신문은 “지난 2년간에도 부고 기사의 주인공들 중 여성은 5명 중 1명꼴”이라며 반성의 뜻을 밝혔다. 또 후보들을 추천받는다고 했다.

저작권자 © 허프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연관 검색어 클릭하면 연관된 모든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여성 #국제 #부고기사 #유관순 #뉴욕타임즈 #독립운동